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석
비교
d라이브러리
"
비교분석
"(으)로 총 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적성과 진로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문 수학은 이공계진학의 필수라고들하는데, 수학점수가 좋지 않은 사람이 이공계에 진학해도 좋은가? 답 어떤 과목보다도 수학이 이공계 학문의 기본과목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수학점수가 나쁘다고 해서 적성이 이공계와 맞지 않는다고 속단하기는 어렵다. 이 말은 수학을 잘한다고 해서 이공 ... ...
은행잎 수출, 논쟁의 내막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노랗게 물들기 직전의 푸른 은행잎이 약효가 뛰어나.엑기스를 추출해 성인병치료제로 개발 가을의 정취를 물씬 풍기는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잎-. 이 아름다운 은행나무잎속에 성인병 특효약의 원료가 감추어져 있다는 사실이 알려진건 이미 오래된 일이다. 그러나 최근 이 은행나무잎을 둘러싸고 ... ...
졸업 후 취업 전망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문 장래의 취업전망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정부가 구상하고 있는 과학기술인력수급계획을 참고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이런 측면에서 90년대초에 수요가 많은 분야는 어떤 곳인가? 답 한국과학기술원에서 펴낸 '2천년대를 향한 과학기술발전 장기계획 협의회 자료집'에 의하면 전공별로는 수학 ... ...
한국과학기술대학 과학영재의 산실로 뿌리내리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설립 당시부터 숱한 화제를 뿌렸던 한국과학기술대학은 설립 3 년째를 맞아 과학영재양성의 산실로서 그 틀을 완비해 나가고 있다.'미래 고도 산업사회가 요구하는 정예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목표로 설립된 한국과학기술대학이 85년 6월 개교 이래, 3번째 신입생 선발을 완료했다. 일반대학과는 달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바닷물의 염해를 줄이려는 낙동강 하구언공사나 도시폐수로 오염된 한강을 깨끗하게 하려는 개발사업이 자연생태계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생태계가 잘 보존되었던 낙동강 하구 낙동강하구언 공사가 착공 4년7개월만인 1987년 11월에 완공된 후 생태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광활했던 갈대밭과 ... ...
포항공과대학 단숨에 명문으로 떠오르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캠퍼스 곳곳에 설치돼 있는 컴퓨터를 마음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영어수업은 영어로만 이루어지고 있다.국내최초의 연구중심대학을 표방하고 개교한 포항공대(포항시 효자동)의 두학기째 강의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한국의 MIT' '한국의 칼텍(캘리포니아공과대학)'이라는 말이 나돌만큼 개교 이 ... ...
구멍뚫린 방사능 오염 감시체제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체르노빌」원전사고의 영향으로 서울지역 강수물에 허용농도의 1백배가 넘는 방사능이 포함됐다는 충격적인 사실등이 에너지연구소의 보고서로 밝혀졌다.환경오염문제는 이제 한 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며 이미 국경을 초월한 국제적 문제로 비회되고 있다. 그것은 우리가 호흡한 대기가 수주일 ... ...
환경 방사선의 정체 인공방사선의 위협이 가장 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방사선은 꼭 원자력발전 혹은 핵폭발에 의하지 않고도 곳곳에 산재해 있다.우주에서 날아들어오는 방사선이 있는가 하면 우리가 딛고 서있는 지표면 혹은 지구의 중심부에서도 방사선은 항상 존재해 있다. 이같은 것을 통틀어 부르는 환경방사선은 크게 자연방사선과 인공방사선으로 분류되며 ... ...
금세기 최대의 흥미거리 인공지능의 상품화는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과연 인공지능은 인간에게 유용한 상품으로서 자리잡을 것인가, 아니면 연구 그 자체에 머물러 학문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할 것인가.인공지능은 금세기의 가장 흥미있는 과학적 사업으로 믿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인공지능의 앞날은 어둡고 결국 잘못 쓰이게 되리라고 염려하는 사람들도 ... ...
극한의 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첨단과학기술의 성패는 극한과학기술과 신소재의 발달 여부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이 분야의 관심이 드높아지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정부는 극한기술의 국내수요가 2000년에는 4조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우선 91년까지 1백80억을 이 분야에 투입키로 결정했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