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올해 KSTAR는 500kA의 플라스마 전류를 발생시켜 토카막 안의 온도를 5000만℃(전자온도 기준)까지 높이는 데 성공했다. 작년 2차 실험에서는 300kA의 전류를 발생시킨 데에 비하면 큰 진전이다. 플라스마가 사라지지 않고 남아 있는 시간도 작년의 3.6초에서 올해 약 6초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다른 스타인 존박은 음역대가낮다. 같은 3옥타브를 올라간다고 해도 남들보다 낮은 도를 기준으로 옥타브를 형성하는 식이다. 반대로 또 다른 참가자인 박보람은 저음이 나지 않는다. 이는 성대의 길이와 관련이 있다. 성대가 짧을수록 빠르게 진동해 고음이 잘 난다. 존박은 성대가 길고 박보람은 ... ...
- 노벨상이 최고의 상인가?수학동아 l2010년 11호
- 크라포드 수학상, 네반린나상, 라마누잔상, 가우스상, 천상 등이 있다. 상마다 선정 기준이 달라 다양한 수상자가 배출되고 있다.상금 많고 제한 없는 아벨상닐스 헨리크 아벨은 노르웨이 출신의 세계적인 수학자로 5차 이상의 방정식에서 근의 공식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한 천재다. ... ...
- 부등식, 동물세계의 재판관 되다수학동아 l2010년 11호
- 기회를 어찌 사용해야 할지는 모두들 아시겠지요. 앞서 결백이 입증된 개 장군의 금상을 기준으로 삼고 싶은데 개 장군, 괜찮겠습니까?개 장군 : 얼마든지 그렇게 하세요. 바라건대 우리나라의 쥐 장군은 범인이 아니었으면 좋겠습니다.뱀 장군 : 아니 그럼 내가 범인이란 말이오! 마지막 저울에는 제 ... ...
- [부록] 비교의 여왕, 부등식수학동아 l2010년 11호
- 한계가 최소 눈금의 절반으로 구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여기서 참값의 범위는 720g을 기준으로 최소 눈금의 절반인 ±5g 사이에 존재합니다. 참값의 범위를구할 때는 근삿값에서 오차의 한계를 뺀 것은 범위에 포함되지만 더한 것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최소 눈금이 10g인 저울이므로 725g은 ... ...
- 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외계행성 찾기 방법으로 알아낼 수 있다. 질량이 별과 행성을 나누는 가장 기본적인 분류 기준이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목성과 같이 무거운 행성은 가스 행성,지구와 같이 가벼운 행성은 암석 행성으로 판단한다. 가스 행성과 암석 행성을 구분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행성의 밀도인데, ...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함량”이라며 “품종보다는 형태와 색깔 등을 중요시해 고를 것”을 추천하고 있다.이 기준에 따르면 배추는 중간 정도 크기(2~3kg)로 잎이 얇고, 잎 수가 많으며 큰 바깥 잎이 배추 속을 완전히 감싸고 있는 ‘결구형’ 배추가 좋다. 적당히 단단하고(0.55kg/㎠), 싱싱한 푸른 잎이 붙어 있지만 속은 ...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훨씬 적은 0.008% 정도만 밝기가 변한다. 이 방법으로는 별인지 행성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인 질량을 구할 수 없다. 하지만 시선속도 관측을 추가하면 행성의 크기와 밀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측성학적 방법도 행성을 찾는 데 쓰인다. 측성학적 방법은 천구 위에서 별의 위치를 정밀하게 관측해 ...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관광객과 낚시꾼 21명이 숨지고 14명이 다쳤다. 기상청은 “충남 보령의 해일주의보 기준은 해면이 844cm일 때인데, 사고 당시 해면은575cm로 사전에 예보할 수준이 아니었다”고 밝혔다. 해일을 예측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해일이 발생했을 때 해안에 미치는 피해를 미리 파악하는 일도 중요하다는 ...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찾아야할까. ‘지식의 길을 묻다’ 이번 호에서는 과학과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과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에 대해 고민해 봤다. 배아줄기세포 관련 논문조작으로 불명예를 안은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는 ‘과학에는 국경이 없지만, 과학자에게는 조국이 있다’는 ... ...
이전2342352362372382392402412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