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호"(으)로 총 3,1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카드뉴스] 마지막 임무를 준비하는 토성 탐사선 ‘카시니’의 성과 9가지동아사이언스 l2017.09.15
- 목성을 거쳐 도착했다. 4. 토성을 네 번째로 방문 파이어니어 11호, 보이저 1호, 보이저 3호에 이어 토성에 네 번째로 근접했다. 5. 발사 이후 50억 마일 비행 카시니는 80억㎞(50억 마일)을 비행했다. 2008년 임무 종료 예정이었으나 타이탄을 127회 플라이바이 함으로써 가능했다. 6. 635GB 분량의 자료 ... ...
- [수고했어! 카시니] 임무 끝내는 토성 탐사선의 20년 여정동아사이언스 l2017.09.15
- 카시니와 유럽우주국(ESA)이 만든 탐사선 하위헌스 호가 짝을 이뤘지만, 2005년 하위헌스 호가 토성의 최대 위성 타이탄에 착륙하면서 헤어졌습니다. 2000년 목성 근처에 도착해 목성을 관측했으며, 출발 후 7년이 지난 2004년 토성 궤도에 진입해 관측 임무를 시작했습니다. 카시니는 지구로부터 약 1 ... ...
- 9가지 숫자로 본 토성 탐사선 카시니의 일생동아사이언스 l2017.09.15
- 속도로 달려도 약 1시간 10분이 걸릴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다. 8: 새로 발견한 위성 카시니호가 토성을 공전한 덕분에 지구에서는 보이지 않던 토성 뒷면의 위성 8개가 새로 발견됐다. 그중 질량이 1000억 kg보다 작은 두 개를 제외한 6개 위성에 이름이 붙었다. 다프니스, 아에가에온, 메토네, 안테, ... ...
- 멸종위기 산호발견, 한국에도 산호가 많았던 때가 있었나?동아사이언스 l2017.09.13
- 세계최대의 산호초지역인 호주의 그레이트 베리어 리프 - UNESCO 제공 휴가철 열대 바다를 찾아가 수중 다이빙 투어를 해야만 만날 수 있는 바다의 비 ...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 측은 2020년까지 해상국립공원 내 400여개 섬을 조사해 산호종을 포함한 생태 상황을 확인할 계획이다 ... ...
- 25톤 거대한 고래 떠밀려와팝뉴스 l2017.09.12
- 8일 유튜브에 공개된 영상을 보면 고래의 크기는 실로 어마어마하다. 니카라과 엘 비에호 마르빈 멜렌데스에서 발견된 고래는 무게가 25톤이 넘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인은 현재로서는 불명확하며 부패가 진행된 상태에서 태평양 바다로부터 밀려온 것으로 보인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 ...
- 2022년, 한국 해저탐사선 전 세계 바다 누빈다동아사이언스 l2017.09.01
- 2, 3호는 산업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자원 탐사가 주 목적이다. 구 본부장은 “탐해 3호를 투입하면 조사 지역의 정밀한 3차원(3D) 지층영상을 얻을 수 있어 지층의 단면만 파악할 수 있던 기존 장비보다 석유가스자원 탐사의 시추 성공률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 [사이언스 지식IN] 허리케인, 사이클론, 태풍 뭐가 다른가요?동아사이언스 l2017.08.28
- 나왔는데 원래 뜻은 '폭풍의 신'이라고 해요. 지역별로 부는 열대성저기압의 명칭으로 호주지역에서 불렸던 명칭인 윌리윌리는 2006년 경부터 사이클론으로 통합됐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Q2. 지난 주말 미국을 강타한 하비, 중국을 덮친 파카르 같은 열대성 저기압의 이름은 어떻게 정해지는 ... ...
- [윤신영의 마이너리티 리포트-1] 학생들이 만든 과학기술비평잡지 ‘과학뒤켠’동아사이언스 l2017.08.27
- 문제에 대해서는 “현장에서는 대면적 소통을 중시하기에 기존의 음성 기반 통신을 선호할 수는 있다”며 “하지만 예를 들어 1000명 규모의 인원이 움직여야 할 경우, 작전을 세우고 지휘하는 입장에서는 반드시 멀티미디어 기반의 통신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전공도 그렇고 아무래도 ... ...
- [카드뉴스] 초롱초롱 건강한 눈 만드는 법동아사이언스 l2017.08.27
- 좋은 비타민이 많은 야채나 과일, 단백질이 많은 콩이나 두부와 생선, 무기질이 풍부한 호두와 잣등 모든 식품을 골고루 먹어야 합니다. 눈을 비비지 말자! 눈을 비비면 각막에 상처가 나고 난시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눈이 간지러울 때에는 눈 주위를 차갑게 하면 간지러움이 덜해집니다. 손을 ... ...
- [ESC의 목소리 (17)] 노벨 물리학상을 통해 본 일본 과학 발전의 역사성2017.08.20
- 지금은 다르다고 말씀드렸는데요. 반세기가 지난 지금, 강렬한 결핍이 해소됨으로써 호기심이 거할 자리가 늘어난 것은 아닌가. 그런 생각도 해봤습니다. 미숙한 대학원생으로서 잠시 힘을 보탰던 프로젝트는 만약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할 경우 노벨상 수상 가능성이 다분한 분야였어요. 그러나 ... ...
이전2332342352362372382392402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