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옆"(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신비 해결의 열쇠 리만 기하학과학동아 l1995년 05호
- 그것을 중심에 둔 행성들은 각각 공간속에서 휘어짐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이들 행성의 옆을 지나는 광선이 휘어진다. 이 사실은 일식을 이용해서 실제 별의 위치와 겉보기의 위치에 차이가 있음이 관측된 것이다. 아인슈타인도 리만기하학이 없었더라면 도저히 생각할 수 없었던 구상이다.이집트 ... ...
- 북미산 검둥오리, 깃털 화려한 새끼 편애한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수 있는 자격이 될 것이다.동물들 중에도 인간들처럼 새끼를 돌보는 종들이 많다. 옆으로 쓰러져 젖을 물고 있는 새끼를 편안히 바라보는 개나 처마 밑에 집을 짓고 서로 먹겠다고 짹짹되는 새끼들에게 먹이를 주는 제비 등을 아주 쉽게 떠올릴 수 있다. 좀 어리석은 질문 같기는 하지만 이런 ... ...
- 과학고 1회·과기대 1회·박사 1호 정근창박사과학동아 l1995년 05호
- 때문에 집에서 토론을 많이 한다고 한다.유학시절 공부하는데 어려움은 없었냐고 묻자 옆에 있던 부인이 "겉보기와는 달리 집착력이 강해 어려운 과정을 잘 극복하는 것 같다"고 대신 대답해준다. 가만히 듣고 있던 정박사가 하는 말이 흥미롭다. '결혼을 결심하게 된 것은 논문 테마도 정해지고 ... ...
- 1 안방 앉아서 네트워크 통해 원격수업과학동아 l1995년 04호
- 있는 도서관이나 학생회관이나 축구팀도 없다. 캠퍼스도 물론 없다. 주정부 청사 바로 옆에 5층짜리 대학본부와 몇 블럭 떨어진 곳의 2층짜리 사무실, 그리고 인근 뉴어크시와 캠던시의 작은 연락사무실이 대학시설의 전부다.외형은 웬만한 기업의 본사 규모에 불과하지만 현재 미국전역과 세계 6 ... ...
- 4월15일 부분월식, 대풍년 예고과학동아 l1995년 04호
- 그 가운데는 14등급의 중심별이 있다. M108은 10등급의 나선은하이며 우리는 이것을 옆에서 보고있기 때문에 납작한 모양을 하고있다. 그외에도 큰곰자리 주변에는 M101 M106 M109와 같은 은하들이 많이 있다. AD 647년 4월 어느날 밤, 첨성대에 덩그러니 걸린 쟁기*를 바라보는 선덕여왕의 얼굴을 그려본다. ... ...
- 인간진화, 성공의 드라마과학동아 l1995년 04호
- 이 관찰한 침팬지는 흰개미를 낚기 위해 나뭇가지를 꺾어 흰개미굴에 집어 넣는데, 이때 옆의 잔가지를 제거하기 위해 나무 껍질을 벗겨 매끈하게 한다.침팬지나 나무쪼기핀치의 행위는 단순한 도구사용 행위는 아니다. 그것은 대상에 일정한 변형을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내피어는 이것을 ... ...
- 2 우주의 지름길 웜홀 통해 과거여행과학동아 l1995년 04호
- 타임머신이 존재하는 시간이 유한한 경우를 말하는데, 이 때는 웜홀의 입구를 서로 옆으로 엇갈리게 운동시키면 가능하다. 자세한 것은 (그림3)을 보면 이해할 수 있다. 타임머신의 장애물들이렇게 웜홀을 이용하여 타임머신이 될 수 있다고 하나 이때 생기는 문제점들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그 ... ...
- 2 모델 동물실험 의약산업 혁명 눈앞에과학동아 l1995년 04호
- 많이 먹은 뚱보 쥐의 혈액에 '지방이 너무 많다'는 신호를 갖는 호르몬 양이 높아진 것이 옆의 쥐에게로 흘러가서 그의 뇌에 전달되어 배부르다고 느끼게하기 때문이다. 이 호르몬의 정체는 역시 모델동물인 생쥐를 연구함으로써 최근에 밝혀졌다.이 생쥐는 '비만생쥐'라 불리는 돌연변이 생쥐로서 ... ...
- 화학- 달콤한 솜사탕 내 손으로과학동아 l1995년 04호
- 위한 스냅을 연결한다(사진4).④ 바퀴살의 암나사와 수나사를 끼운다. 건전지를 모터의 옆에 테이프로 붙이고(사진5)처럼 스냅을 꽂으면 완성된다.⑤ 알코올램프 만들기 : 다른 알루미늄 캔을 바닥으로부터 5㎝정도 가위로 잘라서 그 속에 솜을 반쯤 채운다. 알코올을 솜이 머금을 정도만 부어준다. ... ...
- 성경 속의 식물이름, 잘못 번역된 것 많다과학동아 l1995년 04호
- 정도까지 자라고 가지가 위로 향하기 때문에 나무 전체가 촛대같이 된다. 그러나 가지가 옆으로 퍼지는 변종도 있다. 중국에서 자라는 백목과 비슷하지만, 가지의 단면에 모가 나기 때문에 방백목으로 구분한다. 당시에는 이 나무가 많이 자랐다는 사실이 화분분석 결과 나타났으며 건축재로 ... ...
이전2332342352362372382392402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