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셈"(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돼 있고 이 안에 100여 개의 신경세포가 존재한다. 결국 미니컬럼이 뇌의 논리회로인 셈이다. 따라서 그보다 아래 수준까지 알 필요가 없다. 단 미니컬럼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풀어내는 게 숙제로 남아 있다.그래프 이론으로 커넥톰 연구 도와뇌과학이라고 하면 신경생물학자나, 뇌에 관련된 질병을 ...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DNA의 탄성을 측정할 수 있다. 세포 또는 분자의 특성을 이해하는 강력한 도구가 되는 셈이다.노벨상도 인정한 빛의 집게광집게는 원하는 모양의 마이크로 구조를 만드는 데도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수mm보다 작은 입자로 이뤄진 구조는 조립하지 않고 반도체 공정에서 많이 쓰는 식각이나 ... ...
- 반짝 반짝 빛이 그린 그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불리는데, 지름이 무려 13.35m예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키의 10배 가까이 되는 셈이죠. 이 창문은 납으로 만든 창틀에 빨강, 초록, 노랑, 파랑 등의 색으로 빛나는 유리를 끼워서 만들었어요. 예쁜 색을 내면서도 건물이 무너지지 않도록 설계해, 오늘날까지도 아름다운 장식을 볼 수 있는 ...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수학동아 l2010년 05호
- 끓는점을 0도로 하고 그 사이를 100등분한 온도 체계였다. 뜨거울수록 온도가 낮아지는 셈이었다. 하지만 셀시우스가 죽은 뒤 지금과 같이 뜨거울수록 온도가 올라가는 온도체계로 바뀌었다.현재 대부분의 나라에서 섭씨온도를 쓰고 있지만, 미국과 같이 화씨온도를 계속 쓰는 나라도 있다. 그래서 ...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칸에 돌 2개가 있으므로 5와 5를 더해서 10의 자리에 셈 돌을 올린다. 100의 자리에는 셈돌 7개가 있으므로 그 중 5개를 1개로 바꿔 500의 자리에 올린다. 그러면 500의 자리에 3개가 생기므로 2개를 1개로 바꿔 1000의 자리로 올린다. 인도-아라비아 십진법이 수 세계를 평정하다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수 ...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물질로 이뤄져 있어 전류를 흘리면 빛을 낸다. 빛을 이동시키는 전선이 곧 광원이 되는 셈이다. 또 광결정은 특정 빛을 100% 반사하는 성질이 있어 내부에 반사된 빛을 가두고 증폭시킬 수 있다. 이 공간에 구멍을 뚫고 길을 내면 광집적회로가되고, 이 빛을 한쪽으로 유도하면 레이저가 된다. 박 ... ...
- 원자번호 117번 원소 만들었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117번이 확인됨에 따라, 2000년 확인된 116번과 2002년 확인된 118번 사이의 빈자리가 채워진 셈이다. 연구자들은 5개월 동안 초당 7조 개의 칼슘-48 이온을 버클리움-249 원자핵에 충돌시켜 얻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17번 원자 6개를 확인했다.핵융합 과정에서 중성자 3개가 소실되며 형성된 Uus-294(양성자 ...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때문에 사실상 수 주 동안만 작동할 수 있었다. 미생물연료전지 실용화 연구의 큰 장벽인 셈이다.그런데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전달매개체를 이용한 미생물연료전지의 근본적 한계를 극복하는 데 성공했다. 1990년대 중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김병홍 박사팀은 철이나 망간 같은 금속의 산화물을 ...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단단한 재료로부터 부드럽게 씹히는 맛을 이끌어내기 위한 어쩔 수 없는 방법이었던 셈이다. 끓여도 사라지지 않는 독황복의 뛰어난 맛과 우스꽝스런 모습 이면에는 무서운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황복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갈 만큼 강한 독을 가졌기 때문이다. 복 요리의 천국인 일본에서는 복을 ... ...
- 한의학으로 본 ‘애가 타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치솟아 오행의 발생순서상 화(火)를 생성한다. 즉 애가 왕성해지다 못해 타들어 가는 셈이다.실제로 걱정을 많이 하면 간의 기운이 너무 왕성해져 열이 발생하는 간화상염(肝火上炎)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기운이 제대로 올라가지 못하고 심하게 뭉치는 간기울결(肝氣鬱結)이 발생할 수 있다. 흔히 ... ...
이전2332342352362372382392402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