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2015년, 지금은 빙하시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높다. 예를 들어 경기도 하남시의 꽃가루 화석을 분석한 이상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팀의 연구 결과를 보면, 최종빙기에 이 지역은 건조하고 추웠으며 침엽수림이 발달해 있었다. 춥고 덥고 ‘기후의 롤러코스터’최후빙하전성기는 약 1만 년 동안 지속됐다가 서서히 물러났다. 전 세계의 평균 ... ...
- [과학뉴스] 페이스북 ‘좋아요’가 내 성격 맞춘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가족보다 더 정확하게 성격을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케임브리지대 심리측정센터 우 유유 박사는 “10개 이상의 ‘좋아요’ 정보를 분석하면 직장 동료보다 정확하게, 150개 이상을 분석하면 가족보다 정확하게 개인의 성격을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연구진은 페이스북 이용자가 누른 ‘좋아요’ ... ...
- [Knowledge] 그 많던 플라스틱은 누가 다 먹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수 없는 큰 쓰레기까지 모두 계산에 넣었기에 기 존보다 크게 증가했다. 그런데 에릭슨 박사는 갸웃했다.* 작년 12월 10일 미국 공공과학도서관(PLoS ONE)에 발표한 논문.에릭슨은 “5가지 가설이 모두 가능하다”면서도 “특히 다섯 번째 가설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식과 달리 환류대 표층이 ... ...
- [Life & Tech] 사랑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입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제 친구 아트 아론 박사의 연구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아론 박사는 커플들에게 16가지 활동을 보여주고, 각 활동마다 새로움과 즐거움 점수를 물었습니다. 그리고는 한 집단에게는 ‘즐겁지만 상대적으로 새롭지는 않은’ 활동을 하게 하고, 반대편에는 ‘새롭지만 ... ...
- [수학뉴스] 개와 늑대의 계산 대결, 그 승자는?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치즈 대신 돌을 넣는 방해공작에도 잘 속지 않았습니다.연구를 이끈 프리데리케 레인지 박사는 “야생동물에게 있어 먹이의 양을 구별하는 능력은 생존에서 매우 중요한데, 개는 오랜 기간 사람과 함께 살면서 직접 먹이를 구하지 않아도 돼 숫자를 인지하는 능력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 ...
- PART 2. 빙하동물의 천국, 매머드 스텝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빙하시대의 춥고 건조한 기후는 지구의 식물에 큰 변화를 불러왔다. 식생의 변화는 동물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식물, 지구의 ‘풍경’을 바꾸다빙하기와 간빙기는 상대적인 개념이 다. 지구적인 관점에서 빙하기는 빙하가 간빙기 때보다 더 확장되고, 지구의 표 면 온도가 더 낮고 건조해지는 시 ... ...
- [Knowledge]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훨씬 싼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과 한국의 기술격차는 3년 정도다(일본•유럽과 유사). 백 박사는 “실증을 통한 기술력 확보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 분야의 세계 이슈가 ‘설계한 대로 운전하자’입니다. 그만큼 실증이 중요하죠. 아직 누구도 해보지 못했으니까요. 향후 5년 내에 수백 kW급 기술을 ... ...
- [Knowledge] 끈 매고 뛰는 우주 런닝머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단련실로 들어가자 교관 줄리아가 하우스 박사로부터 받은 검사 결과를 보고 있었다. 줄리아는 엄격하지만 똑똑하고 매력적인 40대 초반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교관이다.“김선홍 대원님, 결과가 나쁘지 않네요. 그렇지만 우주비행을 하는 동안 골밀도가 낮아졌어요. 골다공증에 걸릴 수 있으니 ... ...
- PART 3. 빙하시대의 거대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연구와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미국에서 자연사 박물관학과 척추고생물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공룡과 매머드 등의 전문가로 꼽힌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매머드왕국의 최후PART 1. “2015년, 지금은 빙하시대”PART 2. 빙하동물의 천국, 매머드 스텝PART 3. 빙하시대의 ... ...
- [Fun] 이 책을 여는 순간, 당신의 뇌가 열린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놀라운 건, 파리넬라 역시 2013년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에서 신경과학 박사 학위를 받은 과학자라는 사실. 그들이 표현해 낸 뇌 신경과학의 세계는 정확하면서도 기대만큼 위트가 넘친다. 신경 세포 하나하나는 살아 있는 생명체처럼 다가온다. 기억의 동굴로, 속임수의 성으로 여행하는 ... ...
이전2332342352362372382392402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