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꿀록 탐정, 수사에 나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밝은 방의 모습만 거울처럼 반사되어 보이게 된답니다. 그런데 지난해 12월, 핀란드 알토대학교의 연구팀이 새로운 방식의 한 방향 거울을 만들 수 있는 연구를 발표했어요. 바로 특정한 각도에서만 내 얼굴이 비치는 거울인 ‘비대칭 거울’이에요.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나는 걸까요? 비밀은 ... ...
- Part 2. 올림픽이 남긴 환경 파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허걱…! 올림픽 후 환경을 복원하기로 한 약속을 이렇게 쉽게 깨버리다니, 이해할 수가 없네요. 혹시 올림픽을 개최한 다른 나라에서도 이런 일이 흔한가요? 도로가 서식지를 쪼개다올림픽을 개최하려면 경기장과 숙소 등 시설을 잇는 도로도 건설해야 해요. 2010년 캐나다 밴쿠버올림픽은 밴쿠버 ... ...
- Part 5. 작은 축제에서 찾아보는 올림픽의 미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과염소산염은 하천으로 흘러들어가 독성 물질을 만들지요. 그래서 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 니콜 버네트 박사는 과염소산염 대신 니트로셀룰로오스를 넣었어요. 니트로셀룰로오스는 폭약이나 로켓연료에 쓰이는 물질로, 잔여물이 거의 없거든요. 버네트 박사는 “니트로셀룰로오스는 반응성이 큰 ... ...
- 소수계의 슈퍼스타★ 쌍둥이 소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오늘 쌍둥이 소수를 사랑해 주신 분들을 위한 특별한 파티가 열립니다. 오랜 세월 다양한 연구로 쌍둥이 소수를 소수계 슈퍼스타로 만들어 준 수학자는 물론, 연구 소식 ... 수학연구소 교수), 샤오펑 셰(WIOMAX 공동 설립자), 앤드루 서덜랜드(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수학과 수석연구원 ... ...
- [맛있는 수학] 수학자의 팬케이크 정렬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3호
- n장일 때의 뒤집는 수의 상한값을 로 제시했고, 이후 30년이나 지난 2009년 미국 텍사스대학교 연구팀이 로 개선했습니다. 하지만 이것 역시 정확한 답은 아니었죠. 팬케이크 문제는 NP-난해빨래를 개다 장난스럽게 만든 문제의 답을 이렇게 찾기 어렵다니! 도무지 풀리지 않던 팬케이크 문제는 201 ... ...
- [가상인터뷰] 수컷 벌새가 암컷을 유혹하는 복잡한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올라가는 비행이야. 그리고 금세 또 내려올 준비를 하지. 지난 12월 18일,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와 록키마운틴 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이 벌새들의 비행을 촬영해 추적 프로그램으로 속도를 측정한 결과 최대 초속 23.25m로 내려갔어. 사실, 이 U자 비행은 아주 중요해. 일리 : U자 비행에 숨겨진 비밀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현대인도 100시간이 넘는 연습을 해야 손도끼를 만들 수 있다고 하죠. 미국 에모리대학교 구석기기술실험실의 디트리히 스타우트 교수는 직접 석기를 만들며 실험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의 뇌가 석기를 만들면서 발달했다고 주장했답니다. 1780년, 영국의 약사 윌리엄 배시는 배를 움직이는 기계를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삼각형으로 둘러싸인 n차원 구 문제 g-추측수학동아 l2019년 02호
- 2018년 12월 26일 독일 출신 젊은 수학자 카림 아디프라지토 이스라엘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 교수가 g-추측을 해결했다고 주장하는 논문을 인터넷 논문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에 올렸습니다. 이 논문에는 맥뮬렌의 g-추측보다 더 강력한 성질의 증명이 담겨 있습니다. 이 결과를 쓰면 르네 ... ...
- 나도 스토리 어드벤처 게임 디자이너수학동아 l2019년 02호
- 1월 10일~11일 열린 게임카페에서 주인공 캐릭터를 조종해 마을과 필드, 던전을 돌아다니며 단서를 얻고, 원하는 아이템을 찾아 임무를 완수하는 ‘스토리 어드벤처’ 게임을 직접 만들어 봤습니다. 게임카페 참가자들은 각자 상상한 이야기로 게임을 디자인하고 프로그래밍했지요. 지금 바로 그 ... ...
- Part 2. 특징 - 뇌가 크면 인간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추측했죠. 도구를 만드는 데 꼭 큰 두뇌가 필요하지는 않다는 얘기예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인류학과의 이상희 교수는 “인류를 구분하는 절대적인 특징이 있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어요. 단지 다른 동물과 비교했을 때 지능이 더 뛰어나거나 도구를 훨씬 더 많이 쓰는 등, ... ...
이전2332342352362372382392402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