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기
바람
에어
그릇
외기
상황
느낌
d라이브러리
"
공기
"(으)로 총 4,119건 검색되었습니다.
안형준 기자의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Ⅱ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2 우주공간에서는촛불모양도 땅 위와 달라요. 땅위에서는 불꽃에 의해 뜨거워진
공기
가 가벼워져 위로 올라가면서 긴 촛불 모양을 만들죠. 하지만 중력이 없는 우주공간에서는 무게가 없기 때문에 기체가 가열된다고 해서 위로 올라가지 않아요. 그래서 둥근 공 모양의 불꽃이 생긴답니다.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산소, 이산화탄소, 수소, 메탄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질소와 산소는 입으로 들이 마신
공기
에서 만들어졌고, 나머지 성분은 몸속에서 소화 와 발효를 거치며 생겨난다.보통 사람이 하루에 뀌는 방귀는 작은 생수 한 병 정도의 양(600㎖)이다. 원래 방귀는 냄새가 없지만단백질을 분해할 때 나오는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분의 일까지 측정한다. 진공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전자현미경의 단점을 극복하여
공기
중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손가락 끝으로 물체를 만지는 것처럼 원자현미경의 끝에 달려 있는 예민한 탐침이 물체의 표면을 더듬으며 원자의 모양을 읽어 낸다.속을 꿰뚫어보는 X선현미경물체의 표면이 아닌 ... ...
여드름 싫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8호
많지요. 여드름에 대한 잘못된 오해를 풀어드립니다.오해 1 여드름이 점이 된다?피지가
공기
와 만나 검게 변하는 블랙헤드나 여드름으로 인해 피부색이 검게 변하는 것을 보고 여드름이 점이 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여드름이 점이 되는 것은 아니랍니다. 블랙헤드는 빠지면 ... ...
여기는 화성, 지구 나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탐사로봇 대신 축구로봇이었어요. 올해 월드컵이 열렸잖아요. 화성에서 공을 차면
공기
가 적어 스핀킥이 반대로 휜다고 해요. 친구들과 먼 미래에 우리가 만든 축구로봇을 화성에 보내 로봇월드컵을 열기로 약속했어요.2박3일 동안의 화성캠프는 너무너무 재미있었어요. 우주와 화성에 대해 많은 ... ...
너는 너무 물질적이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다른 걸까? 물이 끓어 기체로 변하면 수증기가 되는데, 눈에는 보이지 않아. 수증기가
공기
와 만나 작은 물방울로 변하면 흰색의 김이 되지. 따라서 냄비의 뚜껑에서 뿜어져 나오는 건 수증기가 아니라 김인 거알겠지?이제 라면을 끓는 물에 넣어 볼까?그런데 면이 먼저야? 수프가 먼저야?물보다 ... ...
볼록한 몸매가 맛을 좋게 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200분의 1 정도 밖에 안 되기 때문이지요.빗물이나 습기는 통과하지 못하고 신선한 바깥의
공기
만 들어오면서 옹기 안은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그래서 옹기를‘살아 숨쉰다’라고 하지요.살아 숨쉬면서 자신이 담는 음식물도 살아 숨쉬게 만드는 옹기. 아무리 냉장고가 편리하다고 하지만 ... ...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6호
양의 바닷물이 증발하여 수증기가 돼. 이 수증기가 상승하며 거대한 에너지를 가진
공기
의 소용돌이로 변하지. 중심최대풍속이 초속 17m가 되면 비로소 태풍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단다. 태풍이 가진 위력은 어마어마해서 1945년 히로시마에 떨어진 원자폭탄보다 10만 배나 큰 에너지를 가져. 하지만 ... ...
서양귀신 VS 동양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이상한 모양으로 찌그러지기도 하고 나눠지기도 한다. 먼 곳의 불빛이 밀도가 다른
공기
층을 통과하면서 이상굴절을 일으켜 도깨비불처럼 보일 수 있다. 동양 귀신 대표 ➋ 처녀귀신하나같이 다 칠칠치 못하긴. 얘기를 들어 보니 정말 한심하군. 진짜 무서운 귀신은 나처럼 억울한 죽음을 당해 ... ...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암석에 스며든 물은 단단한 바위를 깨뜨린다. 물이 얼면 부피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공기
나 흙 속에 섞여 있는 이산화탄소는 암석을 녹인다. 또 암석 틈에서 자라는 이끼나 나무의 뿌리는 암석을 약하게 만든다. 이처럼 지표의 암석이 오랜 시간 동안 서서히 부서지며 작은 알갱이로 변하는 현상을 ... ...
이전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