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는
건
물에 무사히 닿을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이용해 속도를 계산했지요. 그 결과 소여가 1초에 12.7m 이상을 달려야 무사히
건
물에 닿을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어요. 1초에 10.43m를 달리는 우사인 볼트보다 빨라야 하는 거지요. 이외에도 존슨의 궤적을 포물선으로 나타내거나 상승기류를 이용하면 닿을 수 있다는 이용자도 있었어요. 이를 본 ...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크기 결정하는 기후?1800년대 말 영국의 인류학자이자 해부학자인 아서 톰슨은 춥고
건
조한 나라 사람들은 코가 좁고 길고, 덥고 습한 나라사람은 코가 뭉툭하고 넓다며 코 모양이 기후와 관련 있을 거라고 주장했어요. 이걸 ‘톰슨의 코 법칙’이라고 해요. 경험에서 볼 때 톰슨의 코 법칙은 잘 맞는 ... ...
통째로 뒤집어라! 콰트레인먼트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앞에서 숫자로 나타낸 시작보드를 A, 도착보드를 B라고 합시다. 시작보드를 뒤집는
건
M1~M9 중 일부를 반복해서 더한다는 거예요. 행렬의 상수배를 이용하면 이 과정을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만약 시작보드(A)를 첫 번째 모양(M1)에 맞춰 c1번 뒤집었으면 A+c1M1으로 나타낼 수 있어요. 결국 ... ...
백신 맞아도 걸리는 ‘돌파 감염’ 우려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이후 지금까지 국내 유래 홍역 발생수는 0
건
이다. 인혜경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감시과 보
건
연구사는 “최근 국내 홍역 환자 6명에게서 홍역바이러스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모두 ‘D8’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는 국내에서 자생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형태의 홍역바이러스”라고 ... ...
[Issue]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
건
’의 진실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검시사무관을 맡고 있는 법곤충학 전문가다. 유병언 세모그룹 회장 변사 사
건
수사에 참여해 국내 최초로 곤충을 통해 사후 경과시간을 추정했다. 순천향대, 충남대 법과학대학원, 경찰수사연수원 외래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반응으로 새로운 물질을 만들었다. 그러나 화학 반응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기 시작한
건
그로부터 한참 지난 18세기 후반이었다. 프랑스의 화학자 라부아지에는 어떤 물질의 화학반응 전과 후의 전체 질량이 동일하다는 ‘질량 보존의 법칙’을 1774년 발표했다.또 프랑스의 화학자 프루스트는 인공과 ... ...
[Origin] 충치가 미생물 탓?! 충치에 관한 다섯 가지 오해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잔해물도 혈관 내 독소로 작용해 동맥경화 위험을 높입니다. 잇몸이
건
강해야 혈관도
건
강합니다. 5. 충치는 예방 못 한다? 충치는 30세 이상 성인에게는 잘 생기지 않습니다. 대체로 어린이에 비해 법랑질이 단단하고 치아 표면이 편평하기 때문입니다(좋아하긴 이릅니다. 30세를 ... ...
Part 4. 별별 행성사냥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커지고 있어요. 이처럼 인류의 궁금증들을 해결하는데 과학자와 시민이 함께할 수 있는
건
정말 행운이라고 생각해요. 앞으로도 시민과학자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제2의 지구를 찾아라! 행성 사냥꾼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Part 2. 행성사냥꾼들의 ... ...
Part 4. 바람에 넘어가진 않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사실 초고층
건
물을 가장 위협하는
건
지진보다 바람이다. 바람의 세기는 땅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급격히 커지기 때문이다. 바람의 영향을 덜 받기 위해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 바람에 넘어가진 않을까?Part 5. 수학으로 새 옷 입은 초고층
건
물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
건
물의 끝은 ... ...
러시아 월드컵의 또 다른 스타 텔스타 18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누빕니다. 월드컵의 역사는 193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공인구를 도입한
건
그 뒤로 40년이 흐른 1970년 멕시코 월드컵부터입니다. 그전까지는 대회를 위해 공식적으로 만든 공인구가 없었습니다. 첫 월드컵이었던 1930 우루과이 월드컵 결승전에서는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가 서로 자기에게 ... ...
이전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