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4,217건 검색되었습니다.
2005 서울모터쇼를 가다
과학동아
l
200505
배려가 스며있다. 길고 단순한 선, 투명한 지붕이 강조된 렉서스의 LF-S도 물론 이런 개념
아래
탄생했다.유럽 자동차 기술의 선두주자 아우디 역시 미래형 차량을 내놨다. 지난 3월 제네바 모터쇼에서 첫선을 보인 RS4는 최고출력 420마력, 최대토크 43.9kg·m, 시속 100km까지 가속시간 4.8초라는 성능을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05
그 생각밖에 없다. 더 이상 버티다가는 반디가 얼음으로 뒤덮이게 된다. 이미 반디는
아래
로 곤두박질치고 있었다.구름에서 빠져나오니 고도가 550m까지 떨어졌다. 착빙 탓이다. 원래 6000m까지 거뜬히 올라가는 반디가 맥을 못 춘다. 그래도 여기서 포기할 수는 없다. 다시 고도를 높였다. 밖에서 바라 ... ...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05
계획이 한 몫 했다. NASA는 1986년을 우주왕복선 사업의 획기적인 해로 만든다는 계획
아래
총 14번의 발사를 염두에 두고 있었다. 그런데 챌린저호 발사가 계속 연기되면서 이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었다. 이런 까닭에 NASA 관계자들은 한번 정도 발생한 오링의 부식 문제는 무시할만한 것으로 ... ...
걸음걸이 돕는 힘줄 지킴이 무릎뼈
과학동아
l
200505
물의 관절은 사람과 구조가 비슷하지만 보이는 위치가 달라서 그 이름을 오해하기 쉽다. 예를 들어 새의 다리나 기어다니는 짐승의 다리를 ... 그래서 다른 관절과 달리 무릎관절에는 무릎뼈가 있다. 무릎뼈는 무릎 앞쪽에서 위와
아래
힘줄 사이에 놓여 힘줄이 닳아 끊어지는 것을 막아준다 ... ...
"빨대로 무거운 책을 지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5
구할 수 있다. 물체의 한 점을 실에 매 공중에 매달면 무게 중심은 반드시 매단 점에서
아래
로 그은 연직선(중력을 나타내는 선) 위에 오게 되어 정지한다. 따라서 물체의 무게 중심은 각각 다른 점에서 매달았을 때의 연직선이 서로 만나는 점으로 구할 수 있다 힘의 분산한강에 있는 다리 중에서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05
폭발물이 설치된 트럭
아래
로 들여보냈다. 무릎 높이 정도인 롭해즈는 1.5t 군용 트럭
아래
를 천천히 훑으며 차에 설치된 모의폭탄을 찾기 시작했다. 시속 4km로 차량 사이와 직경 1m가 채 안되는 송수관 속을 자유자재로 누볐다.하지만 물포총을 이용해 폭발물을 제거하는 훈련은 하지 못했다.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05
건 기적이다시각체계는 망막에서 뇌의 각 부분으로 평행경로를 따라 구성돼 있는데,
아래
관자경로는 무엇을 보는가, 뒤관자경로는 어디를 보는가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같은 시각경로는 서로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부위에서 서로 정보를 교환해 단순한 ‘보는 것’이 아닌 ‘지각’을 ... ...
추운 겨울을 이겨 낸 봄꽃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4
! 찬바람이 부는 산마루 흰 눈
아래
에서 어느새 봄이 살금살금 찾아오고 있어요. 이렇게 추운데 무슨 봄이냐구요? 벌써 봄꽃들이 차가운 눈을 뚫고 나와 예쁜 얼굴로 봄 인사를 하고 있답니다. 누구보다 먼저 피어나 봄을 알리는 꽃들을 만나 볼까요? 눈 속에서 꽃이 핀다고?복수초, 노루귀, ... ...
동굴 탐험가 어둥굴차스키의 실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4
한다.네 번째 문제의 답세 번째 망치의 수염 모양이 잘못되어 있다. 정답은 세번째 망치
아래
의 3번 문으로 들어가야 한다. 찾아낸 어둥굴차자스키우여곡절 끝에 살아남은 썰렁 홈즈. 그런데 어떻게 된 일? 마지막 동굴을 통과하고 나니 화려한 건물이 하나 나타나는 게 아닌가? 사실 그 동굴은 ... ...
플라스크 속에서 별이 빛났다
과학동아
l
200504
주면 기포의 부피가 늘었다가 줄면서 빛을 낸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횡파인 수면파가 위
아래
로 물결을 이루며 사방으로 퍼지는 것과 달리 종파인 음파는 공기의 밀도가 낮은 영역과 높은 영역이 주기적으로 바뀌면서 주위로 퍼진다. 이때 밀도가 낮은 영역에서 팽창된 기포는 밀도가 높은 영역에 ... ...
이전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