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뉴스
"
볼
"(으)로 총 6,943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종 양서류 '수원청개구리' 북한에도 산다…충남·전북에선 신종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습지지역인 문덕에서도 발견돼, 북한에서도 동일한 종이 서식한다는 사실이
볼
제 교수팀의 현장 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공동연구자인 장이권 교수는 전화통화에서 “북한은 상대적으로 수원청개구리의 서식지인 습지가 상대적으로 잘 보전돼 있다”며 “문덕 외 다른 습지에도 수원청개구리가 ... ...
하수도는 알고 있다 '누가 아픈지'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중심으로 폭발적인 확산이 이어졌다. 방역 전문가들은 바이러스의 확산 속도로 비춰
볼
때 이미 지난해 말 이 지역에 코로나 19가 광범위하게 퍼져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이 확인할 방법은 없었다. 전문가들의 추정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엉뚱한 곳에서 나왔다. 이탈리아 ... ...
UNIST·삼성전자, 전기 적게 쓰고 정보처리 속도 빠른 반도체용 소재 내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와 유전율(왼쪽 아래 그래프)에서도 다른 소재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볼
수 있다. 600˚에서 가열해도 비정질 질화붕소가 코발트 원자가 실리콘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배리어 역할을 함을 확인할 수 있다 / 과기부 제공 연구팀은 비정질 질화붕소를 얇고 정밀하게 만들어 원자를 ... ...
하늘의 벌을 받은 람보르기니
팝뉴스
l
2020.06.24
제공. “하늘이 저주했다고 밖에는
볼
수 없다”고 많은 네티즌들이 평가한다. 트위터 등 SNS에서 화제가 된 위 사진은 6월 중순 미국의 한 네티즌이 공개한 것이다. 자세한 상황 설명은 없고 다만 우박이 하늘에서 쏟아져서 슈퍼카가 파손되고 말았다는 설명만 있다. 많은 네티즌들이 애도(?)의 ... ...
강력한 방역정책 근거들 점점 쌓여가는데 안 보나 못 보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6.24
9 환자가 계속해서 발생하는 상황을 감안하면 강력한 방역정책의 효과가 증명됐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연구팀이 강력한 방역정책의 효과를 증명하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샤오밍 장 중국 선전인민병원 응급학과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 환자와 접촉자, 유행지역 ... ...
"편리하고 안전한 커넥티드카"…현대모비스 핵심기술 국산화
연합뉴스
l
2020.06.24
연결해 차량 운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아 분석한다. 이 데이터는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커넥티드카에 장착된 멀티미디어 스크린을 통해 제공된다. 운전자는 스크린으로 차량의 연비와 장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또 차량의 주요 파워트레인 상태와 연비뿐 아니라 운전자의 운전 성향까지 ... ...
”코로나19 집단면역 효과 발휘하려면 인구 43% 면역력 가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6.24
일본도 이달 10일까지 0.43%, 스페인은 이달 4일까지 5.2%에 머문다는 결과를 내놨다.
볼
교수는 “백신을 통한 면역 형성보다 질병이 퍼지는 것을 통해 인구의 면역을 형성할 때 더 낮은 수준에서도 집단면역이 이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집단면역이 형성되는 조건도 활동 수준과 같은 개인의 ... ...
[IBS 코로나19 리포트] 'K진단'과 과학자들의 연대
2020.06.24
로스앤젤레스캘리포니아대(UCLA) 연구진은 실험용 면봉이 부족해 실험을 검증해
볼
수가 없다며, 면봉을 보내줄 수 있냐는 부탁을 해오기도 했다. 스리랑카 페라데니아대 연구진은 코로나19로 인해 스리랑카의 프라이머 제작 회사가 가동되지 못한다며, 프라이머를 요청해오기도 했다. (코로나19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강미생물이 대장에 진출할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6.23
사이는 치실이 깨끗해도 냄새가 났다. 치아 또는 부근 잇몸 표면에 냄새가 배어있다고
볼
수밖에 없는 결과다. 이런 현상은 필자가 구강미생물의 생태계를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됐다. 구강미생물도 장내미생물처럼 박테리아(세균)와 아케아(고세균) 수십~수백 종이 얽히고설켜 입안이라는 ... ...
[영상+]의료진 대신해 검체 채취하는 로봇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제공 의료 시 발생하는 위험도 줄였다. 의료진이 환자의 콧구멍과 입, 면봉 위치를
볼
수 있도록 카메라가 설치됐다. 또 면봉이 들어갈 때 나오는 힘을 검사자가 수치로 바로 알 수 있어 정확성과 안정성을 높였다. 연구팀은 바이러스 검체를 비대면으로 채취해 감염 위험을 크게 줄이면서도 환자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