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섯 가지 과학을 입으면 IRON MAN 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위급한 상황이 닥치면 바로 알 수 있지. 또 라이프셔츠에는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이 달려 있어 길 잃은 어린이나 산에서 조난당한 사람도 구할 수 있어. IRON MAN 조건 5 생각을 읽고 움직여라!아악, 공중에서 격투를 벌이다가 악당에게 공격받은 아이언맨이 중심을 잃고 ... ...
- [체험] 정육면체와 정팔면체의 합체! 자이로스코프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8호
- 만나 사방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장치다. 축이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도 자신의 위치를 유지한채 빠르게 회전하기 때문에, 다양한 장치에 활용되고 있다.최초의 자이로스코프는 독일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요한 보넨베르거가 1817년에 만들었다. 그는 이 장치를 단지 ‘기계’라고 불렀다. 그런데 ... ...
- Part 1. 8월 바이러스 대습격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통해 들어와 하기도에 감염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기도는 상대적으로 호흡기 깊은 곳에 위치해 있어 쉽게 감염되지 않는 부분이지만, 일단 감염되면 폐와 맞닿아 있어 피해가 크다. 주요 증상은 심한 폐렴과 신부전증이다.이 바이러스의 근원은 집박쥐(Pipstrellus)로 추정되고 있다. 발병 인근지역의 ...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가정해보자. 과정은 알 수 없지만 세포는 자가복제능력의 결정판으로서 현재의 당당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바이러스가 오늘날까지 살아남기 위해서는 세포와 같은 언어를 쓰는 것은 당연하다. 바이러스는 세포를 이용해 증식하기 때문이다. 사실 바이러스 유전체가 가장 먼저 ... ...
- [photo] 기계 생명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강한 권력을 상징한다.박기일_Ready기계부품들은 복잡하지만 나름의 질서를 갖고 필요한 위치에 존재한다. 지극히 기능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것이지만, 작가는 꾸밈없는 모습에 매력을 느꼈다고 한다.박기일_Green장재록_Another Landscape-Bentley전자제품 속 부품들은 모두 제 역할이 있다. 그러나 ... ...
- 이제는 네발로봇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발씩 움직이는 것이다. 그런데 네발 동물이 발 하나를 들었을 때, 남아 있는 발 세 개의 위치를 선으로 연결해 보자. 삼각형을 그릴 수는 있지만, 안정적으로 중심을 잡을 수 있는 정삼각형 형태는 아니다. 그러니 들어 올린 발쪽으로 몸무게가 쏠려 넘어지기 마련이다. 넘어지지 않으려면 남아 있는 ... ...
- 뒤통수 함부로 때리지 마라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부분이 활발해졌다.특히 영재의 뇌가 더 많이 활성화됐으며, 머리의 정수리 뒤쪽에 위치한 후두정엽 피질에서 이런 결과는 두드러졌다. 영재라면 높은 지능지수도 필수요소다. 연구팀은 지능지수(IQ)도MRI 뇌 사진으로 판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후속 연구에 착수했다. 그 결과 언어능력처럼 ... ...
- [통계이야기] 국가의 나침반, 지표와 지수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낄낄낄~. 보물 지도가 있다고 모두 보물을 찾는 건 아니지. 지도에서 우리 배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바람에 의해 어느 방향으로 가는지 등 지표를 잘 활용해야 한다구!국가 운영의 길잡이, 지표와 지수1800년대 후반까지는 바닷길에 대한 지도가 없었어요. 미국의 해군 장교였던 매슈 폰테인 모리가 ... ...
- 508억 년에 1초 느려지는 새 원자시계 개발과학동아 l2013년 07호
- 1초)의 오차가 생기면 GPS 위치 정보는 30cm 가량 벗어난다. 하지만 새 원자시계를 사용하면 위치 정보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지구의 형태와 중력장의 미세한 변화를 장기간 추적하는 측지학 분야도 새로운 전기를 맞는다.루들로 박사는 “오차 범위 안에 있던 빙하 두께의 변화나 판의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보낼 수도 있었다. 연구팀은 3가지 바닥 종류를 조합한 6가지 경우의 수에 대해 먹이의 위치를 조금씩 바꿔 가며 다양하게 실험했다.연구팀이 상자에 개미 무리를 넣자 먹이를 향해 가는 경로가 페르마의 원리에 따라 예측한 경로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직선 경로를 따른 게 아니라 속도가 느린 ... ...
이전2322332342352362372382392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