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썰렁홈즈와 함께하는 매머드 발굴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근육이 생생하게 남아 있어서 과학자들의 인기를 한몸에 받고 있어요. 만약 러시아와 일
본
과학자들이 매머드 복제에 성공한다면 살아있는 매머드를 볼 수도 있겠지요 ... ...
국어도 만화도 쑥쑥 ~ 조주희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희망이 담긴 재밌는 만화역시 어린이과학동아 만화 작가는 범상치 않군. 자, 그럼 이제
본
격적으로 만화로 지구를 정복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고. 그렇게 재밌는 만화를 그리는 비결이 대체 뭘까? 나도 그 비결을 알아서 온 세상 어린이들을 사로잡아 지구를 정복하겠어!만화뉴스에 나오는 ... ...
날카로운 자아발견의 시기, 사춘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게 중요한 게 아냐. 2차 방정식이 왜 생겼는지 생각해
본
적 있어?” “그런 생각은 해
본
적 없어요.” “이제 해봐. x²-2x-3=0을 인수분해하면 (x-3)(x+1)=0이 돼. 계산만 하지 말고 ‘왜 이런 형태로 바꿔야 할까’ 그런 생각을 해보렴. 그래야 네가 하고 싶은 교수를 하는 데도 도움이돼. 학생들이 궁금해 ... ...
진화에서 인공지능까지, 똑똑한 유전 알고리즘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오래 걸리는 계산도 척척!듣고 보니 유전 알고리즘은 내가 발견한 진화를 많이
본
땄군. 이걸로 수학 난제도 풀 수 있다고 하는데, 정말인가? 뭐? 난제뿐만 아니라 프로야구 일정도 짠다고?유전 알고리즘은 아주 복잡한 계산 문제를 푸는 데도 유용하다. 계산문제는 문제의 난이도에 따라 P문제와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것은 1969년이었지만, 인간이 직접 바다 속으로 들어가 두 눈을 통해 5km 수심의 바다 속을
본
것은 2011년이 처음이었다는 사실을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이상 파랑(Freak wave)이 덮치는 모습. 높이 20m가 훨씬 넘는 이상 파랑은 선박을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손상시킨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때문이다. 배가 아파 병원을 찾아
본
사람이라면 스트레스성 장염이라는 진단을 받아
본
적이 있을것이다. 하지만 조금만 더 생각해보면 고개를 갸우뚱하게 된다. 스트레스는 머리가 받는데 왜 애꿎은 장에 염증이 생기는 걸까.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픈 이유미국 장내염증질병센터가 지난 2009년 ... ...
진화심리학-레밍, 그들은 왜 자살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투신자살을 함으로써 생태계의 평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유전자 선택론에서
본
레밍의 자살 원인은 그들이 지니고 있는 ‘이기적 유전자’ 때문이다. 즉, 종족보존이 목적이 아니라 그들 자신에게 이익이 되기 때문에 자살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과연 자신의 자살이 자신에게 이익을 ... ...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맡고 있던 로버트 벤저민 박사와 함께 최신 자료를 모두 모아 ‘우리은하를 위에서
본
모습’이란 작품을 완성해내기 위해 애썼다. 예를 들어 어떤 자료에서 우리은하가 대칭적이란 사실을 발견하고는 대칭성을 구현하기 위해 우리은하 이미지에 몇몇 특징적 구조를 그려 넣기도 했다.허트 박사는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적게 소모하면 열도 줄어든다. 보통 노트북이 쓰는 전력은 30W다. 30W의 전구를 직접 만져
본
사람은 어느 정도 뜨거운지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저전력으로 설계된 3D 반도체는 이런 발열도 줄일 수 있다.반도체는 얼마나 더 발전할까. 오래전 반도체의 한계라는 말이 유행했지만 반도체 기술자들은 ... ...
x-ray 숨은 그림을 찾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마감에 임박해 쇼팽의 즉흥환상곡보다 더 빠르게 키보드를 두드리는 기자의 손을 꿰뚫어
본
다면 아마 이럴 것이다. 자잘한 것 없이 휑한 스크린과 복잡하게 얽혀있는 부품들이 신기하다.[5층 건물의 정체모를 속사정]이것은 인형의 집일까, 실제 건물일까. 사물들이 가지런히 놓여 있는 깔끔한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