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가
국토
국민
겨레
민족
세상
배달나라
d라이브러리
"
나라
"(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에서 찾은 지구열병 특효약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기후변화의 책임을 두고 공방을 하기도 했지만 “지구온난화 문제는 특정한
나라
의 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는 데 동의했다. 그리고 열띤 토론 끝에 마침내 생활 속의 실천으로 지구의 온도를 1.5℃ 낮출 수 있는 방법 18가지를 제시한 ‘1.5℃ 다운 의정서’를 만들었다.캠프의 마지막 날인 8월 ... ...
ISS를 신나는 '과학교실'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결과를 얻었다.물방울 속에서 피는 ‘우주무궁화’ 내년 4월 첫 우주인을 배출하는 우리
나라
도 ‘우주꿈나무’를 위한 교육실험을 개발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국교원대 물리교육과 김중복 교수팀은 지난해 전국의 초중고교생이 제안한 실험아이템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교육실험을 ... ...
세계의 어린이날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밤에 창문에 신발을 가지런히 올려놓으면 동방박사가 와서 선물을 주고 간다고 해.우리
나라
와 가까운 곳으로 다시 돌아와 볼까? 싱가포르는 4월에 어린이 주간이 있대. 다양한 축제가 열리지. 인도는 11월 14일이 어린이날이야. 11월 20일은 태국, 7월 23일은 인도네시아, 6월 1일은 러시아의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전신전화 가설자이다1881년 덴마크에서 전기 통신기사로 근무하다가 중국으로 건너가 청
나라
전보총국에서 일했다 85년 8윌 전보총국이 한국 최초의 서로전신선(西路電信線 ; 京仁·京義線)을 가설할 때 내한하여 기술자로 일했다이후에도 한국에 남아 한성전보총국의 양장(洋匠) 신분으로 한국인 ... ...
'아이디 2.0' 오픈아이디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 오픈아이디를 사용할 수 있는 곳은 RP(Relying Party)라 부른다. 마치 하나의 여권으로 여러
나라
를 여행할 수 있는 것처럼 OP에서 발급받은 오픈아이디 하나로 여러 RP를 이용할 수 있다. 오픈아이디는 ‘인터넷 여권’인 셈이다.블로그 주소가 아이디오픈아이디가 등장하기 이전에도 하나의 아이디로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여긴 제법 덥군요.26℃ 정도 되려나……. 허나 이건 조명 탓도 있지만 여기 모인 분들의
나라
사랑의 열정 때문입니다. 이런 뜨거움은 에어컨으로 식히기엔 너무 아깝지요. 굵은 땀방울을 쏟더라도 오늘 많은 조언을 듣고 또 성심껏 답하려고 합니다. 26℃ 아니라 46℃라도 행복합니다.” 첫 번째 박수가 ... ...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나오기를 기대한다”고 희망했다.20년 뒤 사회에 기여할 인물이 모인 곳KAIST가 잘 되면
나라
가 잘 산다!KAIST 총장 서남표2006년 7월 KAIST의 수장이 된 서남표 총장은 취임하자마자 거침없는 개혁정책을 폈다. 우수한 연구 성과를 낸 교수에게는 정년보장이라는 ‘당근’을,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 ...
중국·러시아, 손잡고 화성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타원궤도를 돌고 러시아 탐사선은포브스에 착륙해 그 곳의 흙을 가져올 계획이에요. 두
나라
는 달탐사에도 서로 협조하기로 약속했어요. 중국은 올해 중국 최초의 달 탐사위성 창어 1호를 발사하고, 2012년까지 달에 착륙하는 탐사선을 보낼 계획이에요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이 사건 이후 세계는 원자력발전소의 위험성에 충격을 받았고 최근까지 유럽의 많은
나라
가 원자력발전소를 폐쇄하거나 줄여나갔다.미래속으로지구 반대편까지 2시간에 날아가요오늘은 수학여행 가는 날! 미국 워싱턴에 있는 스미소니언 자연사박물관으로 간다. 인천 공항 가서 비행기 타고 가는 ... ...
한국에'인공태양'이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가능하다는 정도만 확인된 상태였다. 한국은 핵융합 연구의 불모지나 다름없었다.
나라
살림이 어려워지면서 일각에서는 돈이 많이 들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기술에 대한 확신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KSTAR 프로젝트를 중단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핵융합연구센터 이경수 선임부장은 “KSTAR를 통해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