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재
등록
서류
문서
등기
각서
기입
d라이브러리
"
기록
"(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이종 장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해결이 숙제동물의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하려는 시도의 역사는 짧지 않다.
기록
에 따르면 17세기 후반에 한 러시아의 귀족이 개의 뼈를 떼어다 머리에 이식한 적이 있다. 1960년대에는 영장류인 침팬지의 심장, 간 등을 환자들에게 이식했다. 하지만 대부분 2달을 넘기지 못하고 사망했다. ... ...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수중 발굴 역사상 처음으로 죽간이 발견된 것이다. 죽간은 종이가 발명되기 전 글자를
기록
하던 대나무 조각을 말한다. 마도의 고선박에서 나온 죽간에는 당시의 ‘택배 목록’이 적혀 있었다. 마도 1호선에서 발견된 한 죽간에는 ‘무신정권 대장군인 김순영에게 1208년 3월까지 배달해야 하는 ... ...
과학창의재단 ‘생활과학교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잠시 떠 있다가 프로펠러가 멈추면 즉시 떨어진다. 헬리콥터가 공중에 떠 있는 시간을
기록
하는 모습도 보인다.“헬리콥터는 어떻게 하늘로 뜰까요?”교사의 질문에 학생들이 앞다퉈 손을 든다.“프로펠러가 빙빙 돌면 헬리콥터가 날 수 있어요.”교사가 헬리콥터의 원리를 설명하기 시작하자 ... ...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있다. 입자빔을 이용하면 수 나노미터(1nm=10억 분의 1m) 크기의 미세한 나노 구조를 읽거나
기록
할 수 있다. 현재도 액체 금속을 이용해 입자빔을 만들고는 있지만, 환경 오염 문제가 있어서 널리 쓰이지는 못하고 있다.또 입자 광선을 물질에 부딪히게 해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면 중성자를 뽑아낼 수 ... ...
겨울에는 ‘춥게’ 입어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때 실험참가자가 느끼는 춥고 더운 정도, 쾌적하고 불쾌한 정도를 시간과 함께
기록
하게 했다. ➊ 겨울에 실내가 너무 따뜻하면 오히려 감기에 걸리거나 체력이 약해질 수 있다.➋ 강원 평창군 황병산 훈련장에서 해병대원들이 눈밭을 구르며 동계 혹한기 훈련을 받고 있다. 추운환경에서 ... ...
제2게임 행렬로 푸는 흑백 게임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다른 선수들 허탈하겠는데요. 대체 탑 선수에겐 어떤 비법이 있기에 엄청난
기록
을 세운 걸까요? 탑 선수를 직접 만나 보도록 하겠습니다.탑 선수, 어떻게 해서 이렇게 빨리 게임을 마칠 수 있었나요?저는 모든 돌을 흑으로 만들기로 결정했습니다. 먼저 첫줄을 모두 흑으로 만들기 위해서 두 번째 ... ...
[부록] 비교의 여왕, 부등식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또한 부등호 기호를 사용하여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을 연구했습니다. 그의 연구
기록
은 17세기에 뒤늦게나마 알려져 부등식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세계 기업 GE의 경영자인 미국의 잭 웰치는 “최고의 상품을 최저의 가격으로 팔아야 한다” 며, “고객을 잃지 않으려면 고객에게 더 ... ...
승객의 경로를 분석하는 '복잡계' 와 '그물얼개' 이론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그물과 같은 그래프가 됩니다.성신여대 지리학과 이금숙 교수는 “외국에서는 승하차
기록
을 담은 교통카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별 이동경로 자료가 없다” 며 “교통카드를 이용해 승객의 이동경로를 연구한 것은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일” 이라고 밝혔습니다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때문이다. 연구에 쓰려면 죽은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채취한 뇌 조직과 그 사람의 병력
기록
을 다수 확보해야만 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던 2007년 희소식이 전해졌다. 레아 그린버그 박사 이끄는 브라질의 뇌조직 은행이 50~70세의 브라질 백인 남녀의 뇌조직 1600여 개를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언제부터 김치에 쓰였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1614년에 발간된 ‘지봉유설’에 처음
기록
이 나온다. 적어도 국내엔 조선 중기 이전, 임진왜란보다는 앞서 도입됐다는 설이 유력하다. 고추의 품종 역시 세계적으로 여러 가지가 있지만 김치를 담글 때는 ‘신미종’이라는 한국산 재래종이 주로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