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2,38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상 최대의 초전도 입자가속기 제작
과학동아
l
198605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에서 지상 최대의 새로운 입자가속기의 모델실험이 완료되었다. '테바트론'이라는 이름의 이 모델은 실제의 20분의1 에너지 수준인데 오는 95년 가속기가 완성되면 현재 가장 강력한 '바타비아' 가속기 보다 20배 이상 큰 출력을 낼 것이다. 완성될 입자 가속기의 명칭은 SSC ... ...
인도
과학동아
l
198605
현재 야생동물을 보호하기위해 47개의 보호구역과 23km²에서 1천5백50km²에 이르는
국립
공원이 설치되었고 사자는 인도의 국민수(國民獸)로 지정되어 있다.3만여종의 다양한 식물열대정글에 가까운 상록수림에서 사막의 선인장까지 다양하여 3만여종이나 된다. 버마 중국종과도 비슷하고 또 호주 ... ...
바다위에 해상도시를 만든다
과학동아
l
198605
물속산책로(海中步道)가 착상되고 있다.실제 우리나라는 서산 해안
국립
공원, 한려해상
국립
공원 , 다도해 일원 해중공원, 제주도 중문종합관광단지 등 자연경관이 수려한 곳이 많으나 아직까지 이같은 해양레저 시설들이 건설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국민의 해양레크리에이션 ... ...
푸짐하게 보낸 '과학의날'행사
과학동아
l
198605
위해 포스타 1만 5천부와 표어 3종 15만3천매를 전국 1백42개 기관을 통해 배포했다.기타
국립
과학관과 각 시도 학생과학관은 25일 하룻동안 무료로 개방됐고 과학기술처산하 정부출연연구소 등의 각종 과학시설이 4월중에 공개됐다.한국에너지연구소부설 원자력병원은 19일 하룻동안 서울지역 ... ...
레이저 핵융합
과학동아
l
198604
Nd·유리형이다.핵융합 레이저 중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것은 미국 '로렌스 리버모아'
국립
연구소의 '노바'로서 1억7천6백만 달러를 들여 1978년부터 계획이 시작되었으며 현재 10개의 레이저 발진기 중 8개가 가동하고 있다. 기종은 Nd·유리형으로 파장1. 05㎛에서 57조W의 출력을 낸다.레이저 핵융합이 ... ...
다국적도서관리시스템 공급
과학동아
l
198604
캐나다의
국립
과학기관(IDRC)과 기술제휴로 도서관리 및 정보검색시스템인 '미니시스'(MINISIS)의 한글화 작업을 완료하고 국내 중·소도서관 및 기업자료실을 대상으로 판매에 착수했다.이 프로그램은 한글, 영어, 불어 스페인어 등 4개국어로 도서 및 문헌을 검색할 수 있는 다국적 도서관리시스템으로 ... ...
핵은 격렬한 분화구
과학동아
l
198604
선택이라 하겠다. 남쪽지방과 주위의 불빛이 없는 한적한 야산지대를 찾으면 된다.
국립
천문대에서는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4월23일~24일 이틀간 전국적으로 천체관측을 개최할 예정이다. 핼리가 어느 정도 쇠퇴했을지라도 관측고도나 관측환경을 고려하면 상당한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 ...
폐암은 방사능 때문
과학동아
l
198604
화학물질이 암을 일으키는게 아니고 방사선때문이라는 것이다.미국 콜로라도주에 있는
국립
환경연구소의 에드워드 마텔 (방사선화학전공)은 "대부분의 폐암환자가 방사선 때문에 발병(発病)됨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그럼 담배연기가 어떻게 방사선이 될 수 있단말인가. 담배는 땅에서 자라면서 ... ...
결함DNA를 잘라낸다
과학동아
l
198604
가능할것으로 보인다.지난 3월11일 미국 심장학연례총회에 보고된 '토마스 로버슨'박사(
국립
건강연구소)의 논문에 따르면 뇌일혈로 쓰러진 1천1백16명을 조사한 결과 아침 8-9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했고 12시전후에는 뚝 떨어졌으며 오후 3-4시사이에 다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는 것.'로버슨'박사는 ... ...
외계인은 존재할까
과학동아
l
198603
'타우'별과 '에리다누스'자리의 '입실론'별을 탐사하였다. 그러나 3개월간 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에서 시행된 이 계획은 결국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그 후 1968년에는 소련 '골키'(Gorky)대학의 '트로이츠키'(Troitsky)는 파장 21㎝와 30㎝로 태양과 비슷하고 우리에게서 가까운 별 12개를 탐사하였다. 또한 197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