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유지"(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적당한'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2018.02.03
- 또 건강을 잃을까 걱정하는 사람들이 더 건강검진을 잘 챙겨 받고 건강한 생활습관도 잘 유지하는 모습을 보인다. 남들은 다 당뇨, 고혈압 등 다양한 병에 걸리지만 왠지 모르게 나는 멀쩡할 거라는 자신감에 건강을 전혀 챙기지 않다가 뒤늦게 후회하는 경우를 종종 보았다. 공포가 도망을 유발하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판단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연습 2018.01.27
- 상처 등을 좀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되고, 삶의 다양한 고통에 대해 평정심을 유지하는 동시에 고통을 더 잘 ‘이해’하게 된다고 한다. 그리고 바로 이 점이 자신의 고통뿐 아니라 타인의 고통에 대한 이해심과 포용력을 높여줄 것으로 이야기 된다. 누군가의 고통을 이해하고 배려심을 보이기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의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2018.01.20
- 좋거나 기분 나쁜 일에 의해 기분이 요동을 치는 정도가 덜 한 등 ‘평정심’을 더 잘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를 포함, 글을 쓰는 등의 창작 활동을 하는 사람들 중에도 일이 조금 잘못되기라도 하면 마치 ‘나’라는 사람 전체가 우르르 무너져 내린 것처럼 힘들어 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의 시선과 의무감을 벗어던질 때 최고의 성과가 나온다 2018.01.06
- 경향을 보이지만, 그저 혼자만의 생각을 적기 위해 쓸 때는 누가 보든 말든 상관없이 유지되는 본질적 즐거움을 가져다준다. 2018년에도 이들이 나의 행복과 정신건강을 잘 지켜주길 바라며, 새해에는 좀 더 내가 만족할 수 있는 나를 위한 활동을 많이 만들어두자. Baumeister, R. F. (1984). Choking under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2018.01.02
- 예를 들어 물이 든 술잔에 위스키를 살살 따르면 두 액체가 섞이지 않고 두 층을 유지하는데 경계도 비교적 뚜렷하다. 즉 경계 영역의 밀도차가 가파르다는 말이다. 마찬가지로 우유에 에스프레소를 조심스럽게 따를수록 경계 영역의 밀도차가 가파르게 된다. 이 경우 온도차로 유리잔에 가까운 ... ...
- 정신적으로 성숙해진다는 것2017.12.30
- 수 있다고 믿는 것 등이다. 다가오는 2018년에도 특히 힘든 상황 속에서 평정심을 잘 유지하며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배우고 성장할 수 있다면 좋을 것 같다. ※ 참고문헌 Bonanno, G. A. (2004). Loss, Trauma, and Human Resilience: Have We Underestimated the Human Capacity to Thrive After Extremely Aversive Events? American Psychologist, 5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메가3 지방산, 몸에 좋은 것만은 아니다2017.12.27
- 혈관생성에 문제가 생겼다. 즉 적절한 농도의 19,20-DHDP는 혈관생성 등 망막의 구조 유지에 관여하지만 지나치면 오히려 구조를 파괴한다는 말이다. 그런데 왜 당뇨인 사람들의 망막의 뮐러아교세포에서 sEH 효소의 활성이 높아지는 것일까. 이에 대해 저자들은 논문 말미에서 “혈당조절 실패가 ... ...
- 슬픔을 꽤 잘 견디는 사람들의 패턴 2017.12.23
-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큰 슬픔을 느끼지 않고 비교적 안정적인 정서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IB 제공 ● 삶은 계속 될 것이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상실 후 큰 슬픔을 느끼지 않는 것이 방어적이거나 슬픔을 억누르는 행동이라고 보는 시각과 다르게, 많은 사람들(약 45%)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2017.12.19
- 망각하기 위한 심리치료 행위가 아니라면) 대신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기억을 습득하고 유지하려고 노력하다보면 자연스럽게 부정적인 기억은 고유망각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서서히 사라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2017.12.12
- 미래 과학의 힘에 막연히 기대할 게 아니라 오히려 현실을 직시해 이미 도달한 정점을 유지하기 위한 생활스포츠 활성화 등의 노력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평소 생명과학의 발전을 깊은 애정으로 지켜보는 필자이지만 이번에는 저자들의 생각에 십분 공감하지 않을 수 없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이전231232233234235236237238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