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징
특질
특색
성격
개성
성질
속성
d라이브러리
"
특성
"(으)로 총 4,15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하라 사막 지킴이 '모래아리 까끄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생각해 보면 모래아리 까끄르가 오아시스의 물을 시간 안에만 뜰 수 있게 한 것, 낙타의
특성
을 알고 고르게 한 것, 모두가 자연을 사랑하고 보호하려는 마음에서 문제를 낸 것이었다. 그리고 결국 썰렁 홈즈를 도와 우승을 한 것이었다. 자연 사랑과 감동이 가득한 사막 횡단 이야기. 사막의 석양은 ... ...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초점이 서로 다르게 맺힌다.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렌즈의
특성
을 이용해 불규칙한 굴절률을 교정한다.렌즈 어떻게 눈에 맞나평소 렌즈 제조사는 사람들의 시력정보를 적극적으로 수집한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여러종류의 렌즈를 사전에 제작해두고 시장에 내놓는다. ... ...
수학과 과학 가상실험실 - 익스플로어러닝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DNA를 만들어 볼 수 있다.또한 제한된 공간에서 인간이 활동할 때 질병이 옮아가는
특성
을 이해하는 시뮬레이션 실험도 할 수 있다. 소도시와 대도시 중 사람에 의해 전염되는 병이 잘 퍼지는 곳은 어디일까. 실험 결과 매일 다양한 사람을 접촉하는 대도시에서 훨씬 빠르게 많은 사람에게 전염되는 ... ...
5. 중생대 한반도는 동식물의 낙원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되고 있다. 이들은 전기백악기에 이르러 전성기를 맞이한 것으로 보인다.지질학적
특성
상 아직까지 한반도에서 새 화석을 발견하지는 못했지만 이 같은 정황을 미뤄볼 때 한반도 남쪽지역은 중생대 새들의 주요 서식처였을 것이란 추측이 우세하다.울창한 중생대의 숲한반도 곳곳에서 중생대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1970년대에 실시된 국제협동 연구 프로그램이다 미국의 해양과학자를 중심으로 환경
특성
· 환경예보 · 해저평가(海底評價), 생물자원의 연구를 중심으로 하고 그 아래로 각기 몇 가지 연구계획이 실시되었다 데이터를 집적시켜 목적에 따라 각기 필요한 처리를 일괄처리 하는 방식 데이터 처리의 한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 기록 시간이 오래 걸림 강유전 메모리(F램, Ferroelectricity)작동원리 : 강유전체의 분극
특성
을 이요해 데이터를 저장. 분자가 전류와 반대방향의 극성을 띠면 저항이 커서 전류가 잘 흐르지 못하고(a), 같은 방향이면 저항이 작아 전류가 잘 흐른다(b).장점 : 비휘발성. 전력소모 적음. 상대적으로 비용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신비가 밝혀진다. 거대망원경을 이용해 태양계 밖 지구와 비슷한 외계행성의 존재와
특성
이 규명된다.[ 2021~2025년 등장할 기술들 ]>>> 2021• 태양계 행성 탐사위성 실용화• 태양계 밖 지구유사 외계행성 존재 규명(2014)• 도심내 이동용 헬리콥터 실용화(2014)• 개인 단거리 이동용 제트팩(분사추진기)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2004년 ‘사이언스’에는 이와 다른 내용의 논문이 실렸다. 이 논문에서는 내이의
특성
만을 측정하는 이음향방사라는 기구를 이용해 수백명의 영아와 유아를 검사했다. 그 결과 우측 측두엽으로 많은 정보를 주는 좌측 내이는 순음, 좌측 측두엽에 많은 정보를 주는 우측 내이는 클릭음에 각각 더 ... ...
머리카락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또한 아프리카인의 머리카락도 시험관에 배양해봤다. 그 결과 머리카락의 곱슬곱슬한
특성
이 모낭에서 처음 만들어질 때부터 유전적으로 입력돼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실제로 지난해 5월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제레미 네이선스 박사팀은 ‘프리즐드6’이라는 유전자가 곱슬머리와 관계있다는 ... ...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생물이나 분자 형태의 물질은 1~100meV가량의 매우 낮은 에너지의 빛으로도 그 구조나
특성
을 잘 분석할 수 있다. 그래서 T선을 사용해 X선처럼 투과 사진을 찍으면 내부의 구조 등 모습뿐만 아니라 어떤 물질인지도 알 수 있게 된다.1995년 ‘옵티컬 레터스’에는 반도체칩과 나뭇잎의 투과영상이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