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도한 소금섭취 막는 짠맛수용체 발견과학동아 l2013년 03호
- TMC-1이 규명됐다.황선욱 고려대 의대 교수팀은 전기생리학적 방법으로 예쁜꼬마선충에 존재하는 미지의 단백질이 과도한 소금 증가에 반응해 전기적으로 활성화되는 수용체단백질 TMC-1임을 밝혀냈다. 통각신경세포막에 분포하는 TMC-1이 활성화되면 전기신호가 뇌신경에 전달되고, 이로 인한 ...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떨어지는 유성은 마찰열 때문에 수천℃ 이상으로 가열된다. 만약 유성 내부에 가스가 존재하면 이 열은 가스를 팽창시켜 폭발시킬 수 있다. 또 극초음속으로 진행하는 유성의 앞부분에서 발생하는 충격파는 암석질의 유성을 산산조각낼 만큼 강력시사기획하다. 15~25km 고도에서 유성이 폭발하며 ... ...
-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물질의 한 가지 상태로 거의 대부분의 입자가 에너지가 가장 낮은 바닥상태에만 존재하는 상태다.그 다음에는 간섭레이저 빔을 이용해 특정 운동에너지를 가지는 원자만이 채울 수 있는 광격자(optical lattice)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무한히 다양한 운동에너지를 가질 수 있는 원자가 극저온에 가까운 ... ...
- 떼려야 뗄 수 없는 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속(Xanthomonas), 코리네박테륨(Corynebacterium), 간균 (Bacillus) 등 수없이 많은 세균이 존재해 통칭 ‘잡균’이라고 부른다. 이 중 방수를 위해 빈틈을 메우는 실리콘에서 잘 보이는 검은색 반점은 흑국균(Aspergillus niger)이다. 붉은색을 띠는 때는 세라티아 마르세센스(Serratia marcescen ...
- 고독한 우주의 방랑자, 외톨이 행성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중심핵에 남아 있는 방사성 동위원소 붕괴열이 지표면을 가열해 액체 상태의 바다가 존재할 수도 있다.또는 행성이 목성처럼 거대한 행성이라면, 이중행성이나 행성-위성의 조석 효과 덕분에 열이 생길 수 있다. 유로파처럼 생명 거주에 적절한 환경이 될지도 모르는 것이다.행성계 형성 초기에 관한 ... ...
- 빙하가 녹으면 바이러스가 잠을 깬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유전자로 생식에 의한 유전자 재조합으로는 절대 보유할 수 없는 유전자다.자연생태계에 존재하는 박테리아가 외래종으로부터 수입한 이질적 유전자들을 대량 보유한다는 사실은 박테리아가 매우 다양한 형태로 형질을 바꿔나갈 수 있다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수평적 유전자 전이는 동물이나 ... ...
- ‘너’와 ‘나’를 잇는 끈 협력과학동아 l2013년 02호
- 것도 모자라 침입자가 나타나면 몸을 던져 싸웁니다. 원숭이도 만만치 않습니다. 위험한 존재가 나타나면 큰 소리를 질러서 집단을 피신시킵니다.대신 자신이 침입자의 주목을 끌어서 위험에 빠지지요. 개미나 벌, 원숭이 모두 멍청한 걸까요.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고 혼자 슬쩍 피하면 가장 ...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입증한 수학자 튜링수학동아 l2013년 02호
- 논리학적 질문이다. 튜링은 힐베르트의 예상과 달리 그러한 판별방법이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했다. 이 과정에서 판별방법이 무엇인지 그 개념을 분명히 하기 위해 ‘튜링기계’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그는 판별방법, 즉 알고리즘의 개념을 분명히 하고, 알고리즘으로 표현될 수 있는 ... ...
- [수학뉴스]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수학적인 레시피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상상 속에만 존재했던 물질을 실제로 만들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미국 콜로라도대 물리학자들은 위상수학 이론을 이용해 새로운 특성을 가진 물체를 만드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이반 스멀리유크 교수 연구팀은 먼저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진 작은 입자들을 만들었다. 고전적인 ... ...
- Let's MATH PARTY!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사각형 안에 어떤 두 점을 선택해 직선으로 연결했을 때 그 직선이 사각형 안에만 존재하면 우리가 아는 사각형 형태가 되는데, 이를 ‘볼록 사각형’이라고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오목 사각형’이라고 한다.1932년 에스터 클라인은 적어도 점을 5개 찍어야 볼록 사각형을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다. ... ...
이전231232233234235236237238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