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조류독감 발생 현황(2월 9일 현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교대할 때 기관사에게 운행방법을 지시하듯이 생체는 신경교대를 이용해 신경의 활성을
조절
한다 고속증식로(Fast Breeder Reactor)란 발전을 하면서 소비한 연료보다 많은 새 연료를 생산하는 원자로를 말한다 고속증식로를 사용하면 우라늄연료의 이용률을 현재보다 약 60배 이상 늘릴 수 있다 핵분열을 ... ...
소비자 마음 읽는 독심술사 뉴로마케팅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감지해 이미지로 기록한다.사람의 뇌 중 바깥부분은 논리적·이성적인 능력을
조절
하는 반면, 안쪽부분은 감정적·직관적인 능력을 관장한다. 이 실험에서 참가자들의 뇌는 주로 안쪽부분이 활성화됐다. 캐릭터를 보면서 실제로 어떤 감정을 느낀다는 것이 증명된 셈이다. 그런데 캐릭터의 드라마화 ... ...
무한질주 슈퍼카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충격흡수장치도 필수.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높이를 자동으로 높이도록 하는 전자
조절
시스템과 연결돼 주행중 지면에서 받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빠른 제동 능력을 갖기위해 바퀴마다 마찰로 인한 과열 방지 기능이 있는 5-6개의 알루미늄 디스크 브레이크가 설치된다.이처럼 첨단을 ... ...
DLP 고선명(HD) 프로젝션 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구성하는 1백30만개의 미세거울들이 초당 5천번 이상 반사각을
조절
해 빛의 명암을
조절
한다. 다양한 색깔은 눈의 잔상효과를 이용해 합성한다. 예를 들어 적색과 청색이 순간적으로 바뀔때 남는 잔상 때문에 자주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DLP칩 1개는 모두 1천6백7 ... ...
꽃피는 시기
조절
유전자 한국인이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겨울을 난 식물이 언제 꽃을 피울지를 판단하는 메커니즘을 한국인 유학생이 유전자 차원에서 밝혀냈다.미국 위스콘신대에서 박사학위 과정을 밟고 있는 성시범씨는 애기장대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봄이 올 때까지 꽃을 피우지 못하게 하는 유전자의 작동 메커니즘을 밝혀내 ‘네이처’ 1월 8 ... ...
숲이 잉태한 자연과 인간, 숲으로 돌아가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숲은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공간이었다. 강가에 늘어진 나뭇가지는 그늘로 수온을
조절
해 어린 연어가 살기에 적당한 환경을 만들어주고, 포식자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은신처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리고 다자란 연어는 자신이 태어난 강가로 돌아와 산란과 동시에 죽음을 맞음으로써 숲속 동물들의 ... ...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쥐는 낮에도 활발한 활동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프리온이 낮과 밤의 생체리듬을
조절
하는 기능에 관여할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프리온이 꼭 필요한 단백질이라면 프리온 질병에 걸린 환자에게 정상 프리온을 많이 넣어주면 어떨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자들은 ...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찰칵 소리를 내며 불을 붙이는 압전(壓電)소자, 카메라의 셔터 속도와 조리개를 자동
조절
하는 수광(受光)소자, 음향기기 등에 붙어 음량이나 다른 물리량의 크기에 따라 반짝이는 발광소자, 그리고 초고성능 컴퓨터용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조셉슨 접합소자 등이다지구상의 임의의 지점에 ... ...
지방에 대한 5가지 오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섭취량 감소보다는 단순당류 탄수화물의 양을 적게 먹는 ‘저탄수화물 식단’이 체중
조절
과 성인병예방을 위한 건강법으로 설득력을 얻고 있으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결국 살이 찌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운동을 거의 하지 않고 너무 많은 칼로리를 섭취하는데 있다.심장질환 예방에는 ... ...
3 더위가 사람 잡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고온에 노출될 경우에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 장기간 고온에 노출돼 체온
조절
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열에 약한 단백질로 만들어진 효소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세포막이 파괴되기 때문에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가장 흔한 질병은 일사병이다. 그밖에 심장질환,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