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보"(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미래 기술 예측하는 ‘첨단 경영’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연계하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센터장을 맡고 있는 이 교수는 현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근로복지공단 등과 함께 중소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한 분석 및 예측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예산이나 시간, 전문성이 대기업보다 부족해 새로운 기술이나 사업을 분석하는 데 ... ...
- [News & Issue] 올 여름, 진화한 공포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감지할 뿐만 아니라 앞뒤, 양 옆에 달린 진동 센서로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 이외의 정보를 주는 역할도 한다. 기자의 등 뒤에 좀비가 있다는 것을 알려준 것도 바로 이 진동센서였다(다시 생각해도 진땀이 흐른다). 광학식 모션캡쳐 기능과 베스트, 이 모든 것을 제어하는 컴퓨터 시스템이 합쳐지면 ... ...
- Part 2. 생활에서도 스포츠 컨디셔닝하라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과학적인 데이터와 방법을 이용해 선수들에게 최상의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선수들 스스로 자기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Q 이번 지침서에서 가장 주안점을 둔 부분은?시차다. 브라질과 우리나라는 12시간의 시차를 갖고 있다. 어떻게 시차적응을 빨리 할 수 있을지가 이번 ... ...
- [Tech & Fun] 공포는 사람을 편협하게 한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만큼 감정이 단순하지는 않다. 어떤 감정은 이성보다 더 정확하고, 더 빨리 우리에게 정보를 주며 행동에 영향을 끼친다. 예를 들어 ‘공포’는 거대한 적을 경고하고, ‘분노’는 적을 쓰러뜨릴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본능적인 감정의 반응은 빠르고 직접적이기 때문에 생존에 필수적이다.감정은 ...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보낸다. 올해는 홍콩, 스웨덴, 폴란드 등 외국 대학의 학생들도 참가하고 있다.손상혁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펠로우의 실험실을 찾은 세 학생은 저마다 DGIST에 온 이유가 달랐다. 박민철 씨(고려대 제어계측공학과 4학년)와 박광호 씨(경북대 전자공학부 3학년)는 대학원 진학에 뜻을 두고 이곳을 ... ...
- [수학뉴스] “미래 직업 200만 개 중 40만 개가 수학·컴퓨터 분야의 일자리”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합니다.수학동아 : 수학이 정말 중요해지는 거로군요.이향숙 : 맞아요. 세상을 이끄는 정보통신산업은 수학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수학을 모르면 앞서 나가는 인재가 될 수 없어요. 수학과 학생도 기술을 알아야 하고, 공대생도 수학을 더 공부해야 합니다.수학동아 : 서로 부족한 부분을 ...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DNA 중 레트로바이러스와 관련된 부분은 전체의 8%이고, 레트로전이인자 계열의 유전정보까지 더하면 바이러스와 유사한 부분이 40%를 넘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지난해 3월, 영국 케임브리지대 알레스테어 크리스프 교수팀은 인간의 유전자 2만 개 중 145개가 외부에서 수평 전달을 통해 유입됐음을 ... ...
- [Knowledge] 쓴 풀이 곧 약이 되리니…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식물을 집단 구성원들에게 널리 알려준다고 해도 시스템이 없으면 불과 몇 세대 만에 그 정보는 사라지고, 구성원들이 질병을 견디고 생존할 가능성은 낮아질 것이다. 영장류가 약초를 이용할 줄 안다는 놀라운 사실 뒤에는, 민간요법을 자식 세대에 전수한다는 더 놀라운 사실이 있었던 셈이다.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친해졌기 때문에 정 대리는 그와 같은 사람만이 접할 수 있는 기막힌 사연이나 놀라운 정보를 즐겁게 들려 주었다. “정부에서 벤처 기업에 돈을 지원해 주는데 너무 안전한 곳, 너무나 잘될 게 뻔한 곳만 지원하는 게 문제라고 요즘 비판을 많이 받잖아요. 그렇게 안전하게 잘될 게 뻔한 곳은 꼭 ... ...
- info. 파랑을 나타내는 키워드 7수학동아 l2016년 08호
- L*). 원추세포는 빨강과 초록, 파랑이 각각 자극하는 비율에 따라 색을 구별하는데, 이 정보가 두 가지 값으로 바뀐다. RG축(a*)에 따라 빨강과 초록, BY축(b*)에 따라 노랑과 파랑을 구별하는 것이다.이 세 값을 구 모양의 스펙트럼으로 나타낼 수 있다. 현재 조명이나 스크린 등을 개발할 때 가장 ... ...
이전231232233234235236237238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