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속"(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방위대 모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공학자들이 모인 학회에서 열렸어요. 학회의 이름은 ‘지구방위학회’! SF영화 속에서나 등장하는 이름 같지만, 과학자들은 꽤 진지했지요. 이런 학회가 왜 열렸을까요? 소행성 충돌 막는 ‘지구방위학회’ 2013년 2월 15일 아침,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에서 햇빛보다 3배 밝은 섬광이 번쩍 ... ...
- [과학뉴스] 로봇배달원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로보틱스’와 함께 개발한 2족 보행 로봇 ‘디지트’의 영상을 공개했어요. 영상 속 디지트는 자율주행 자동차를 타고 목적지에 도착해요. 자율주행 자동차의 트렁크 문이 열리면 몸을 접어 부피를 줄이고 있던 디지트가 몸을 펴고 내려 두 팔로 옆에 있던 짐을 들지요. 그리곤 두 발로 걸어 고객의 ...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한 대와 휴대전화 크기의 검은색 단말기 하나가 전부였다. 해커는 공용 와이파이에 접속한 뒤 해킹을 통해 카페에 있는 사람들이 자신의 단말기를 거쳐 와이파이를 사용하도록 만들었다. 그러자 해커의 노트북에는 카페에 있는 사람들의 온갖 정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름부터 직업, 취미, 최근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깊은 관심을 보였다. 무카이 박사도 예외는 아니었다. “교육은 우리가 꿈을 마음속에 그리게 만들고, 그 꿈을 추구하도록 만든다고 믿습니다(I strongly believe that education enables us to envision and to pursue our dreams).”그는 항상 이렇게 말하곤 했다. 그의 부드러우면서도 강한 ...
- 수동의 크리스마스 교통지옥 돌파기, 빅데이터 히어로가 탄생하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와~, 굉장하다. 너 정말 똑똑하구나!”라고 말한 뒤, 줄곧 그 미소는 수동이의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다. 학년이 끝나기 전에 친해질 만한 계기를 찾던 중 태형이 크리스마스 파티를 연다는 소식을 들었다. 하지만 파티 당일까지도 태형은 아무 연락도 하지 않았다. ‘파티를 빌미로 만날 수 있을 줄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이호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의 연구실에는 거대한 냉장고 4대가 놓여 있다. 냉장고 안에는 음식 대신 이차전지가 빼곡하 ... 무엇이든 먹어 치워 퇴비로 만들기 때문에 쓰레기 처리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며 “지속적으로 지렁이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
- [지구사랑탐사대] 쉿! 조용히 귀 기울여 보세요♬ 소리모아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돌아나가는 ‘회절’이 잘 일어나기 때문이에요. 덕분에 새들은 나무가 울창한 숲속에서도 쉽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지요. 뿐만 아니라 소리를 이용하면 한치 앞이 보이지 않는 컴컴한 밤에도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답니다.” 이야기를 들은 지사탐 대원들은 고개를 끄덕였어요. 교수님은 이야기를 ... ...
- [과학뉴스] 세계에서 가장 빠른 ‘개미계의 우사인 볼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깊이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빨리 달리는 것”이라며 “생리적 한계에 가까운 근육 수축 속도를 내고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실험생물학저널’ 10월 16일자에 실렸다. doi: 10.1242/jeb.19870 ... ...
- [과학뉴스] 거대 공룡이 뇌를 식힌 방법은 침?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생물의학과 교수팀은 공룡의 해부학 기록을 분석해 과거 거대 공룡들이 콧구멍과 입 속 수분을 증발시켜 뇌의 온도를 조절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해부학 기록’ 10월 16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컴퓨터단층촬영(CT) 장치로 공룡의 후예인 조류와 파충류에서 동맥과 정맥의 ...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시간이었다. 김영식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다. 2014년 바닷물 속 나트륨을 활용한 해수전지를 개발했고, 상용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06~2010년 존 구디너프 미국 텍사스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 ...
이전231232233234235236237238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