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문명에서 빼놓을 수 없는 컴퓨터. 컴퓨터를 처음으로 만든 사람은 바로 수학자들이다. 19
세기
영국의 수학자인 찰스 배비지는 톱니바퀴를 이용해 복잡한 계산이 가능한 계산기를 만들려 했다. 배비지는 비록 자기가 생각한 계산기를 완성하지 못했지만 배비지 사망 200주년인 1996년 영국의 ... ...
수학자도 거부한 수, 음수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관한 인도의 연구 결과는 아랍을 거쳐 유럽에도 전달됐다. 아주 오랜 세월이 흘러 16~17
세기
에도 유럽 수학자 대부분은 음수를 수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음수를 수라고 생각하더라도 방정식의 해로는 인정하지 않았다. 방정식의 음수 해를 허구의 해 또는 거짓 해라고 불렀다.파스칼은 0에서 4를 빼는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을 녹이며 뱀은 개구리를 잡아먹는 점을 이용했다. 이와 비슷한 놀이인 ‘양권마’가 17
세기
경 일본으로 전해져 현지 발음인 ‘장켄봉’으로 바뀌었다고 한다.인도에도 비슷한 놀이가 있다. 인도에서 가위는 쥐, 바위는 호랑이, 보는 코끼리를 상징한다. 쥐(가위)는 코끼리(보)의 콧구멍 속에 들어가 ... ...
2. 모양 속에 안전 있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있다. 각 도형의 꼭지점을 중심으로 건너편 꼭지점 사이를 지나는 원호를 그리면 된다. 19
세기
독일의 기계공학자 프란츠 뢸로는 처음으로 정삼각형을 이용해 어디서나 폭이 같은 ‘뢸로삼각형’을 개발했다. 이처럼 폭이 일정한 도형을 ‘뢸로다각형’이라고 부른다. 통기타를 칠 때 쓰는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결국 x³+y³=1729와 같은 방적식의 모든 해 중 자연수인 것을 찾는 문제로 볼 수 있는 거지.17
세기
에 1729라는 한 개의 수에 대해서 알려진 성질이 1917년에 라마누잔과 하디의 일화로 인해 택시수라는 이름을 얻으면서 방정식 x³+y³=T를 만족시키는 해(x,y)의 가짓수를 찾는 문제로 바뀐 거지. 이런 것이 ... ...
3. 교통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인도는 언제 처음 나눠졌을까?역사 속에서 차도와 구분된 인도가 등장한 시점은 기원전 4
세기
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로마 제국은 500여년에 걸쳐 8만km가 넘는 포장도로를 건설했다. 마차가 다니는 4m 너비의 차도를 만들고, 양 옆으로 3m 너비의 인도를 함께 만들었다. 차도 옆에 경계석을 세우고 ... ...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우리나라 사람들은 고양이 소리를 ‘야옹’이 라고 말하는데, 영어권에서는 ‘mew(뮤)’라 고 말한다. 그러면 동서양의 고양이는 서로 다 른 소리를 내는 걸까. 아니면 소 ...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한글, 21
세기
를 위한 15
세기
... ...
패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일종의 ‘변이’로 취급하고 통계적인 방법으로 야구를 분석했다. 그의 결과에 따르면 19
세기
후반부터 20
세기
후반까지 메이저리그 평균타율은 2할 6푼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어떤 해의 평균타율과 그 평균값에서 벗어나는 타율의 값, 즉 표준편차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감소하고 있었다 ... ...
마술과 함께 수학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이는 그릴 수 없다. 고대 그리스시대부터 거의 2000년 동안 풀리지 않던 이 문제는 19
세기
에 이르러서야 그릴 수 없다고 증명됐다.델로스의 문제는 어디서 왔을까?델로스의 문제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예언과 의술의 신인 아폴로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와 얽혀 있다. 사람들은 아폴로에게 재앙의 ... ...
리튬이온전기 꽂고 전기차 시대 ‘스위치 온’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제기된 것이다.실제 고대인들이 전지를 썼다는 강력한 증거가 나온 적도 있다. 기원전 3
세기
에 지금의 이라크 일대를 지배했던 파르티아인들은 흙으로 만든 그릇에 화학물질을 담아 불을 켠 것으로 보이는 물건을 만들었다. 럭비공처럼 덩치가 컸지만 고대인들이 만든 초보적인 전지였던 셈이다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