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d라이브러리
"
밖
"(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시의 아름다움을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영화관, 식당, 상점 등 여러 가지가 들어 있는 복합적인 빌딩을 건설하고, 건물 안에서
밖
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하철역과 연결시키는 식이다. 이때 어떤 가게를 넣을지, 몇 층에 무엇을 배치해야 효율적일지도 모두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영화 주인공보다 배경에 주목하는 ... ...
세포 구조의 알파와 오메가, 지형류의 발생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혈구가 생성될 때 미성숙 적혈구는 핵을 갖고 있지만 성숙과정에서 탈핵(핵을 세포
밖
으로 밀어냄) 과정을 거치면서 핵이 존재하지 않는 세포가 된다. 핵은 세포에서 가장 큰 세포소기관으로 핵이 없어진 적혈구는 세포막 안에 많은 공간을 산소를 운반하는 단백질인 헤모글로빈을 저장하는 데 ... ...
나노기술이 여는 식도락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이미 시장에 나와 있다.2008년 3월 세계적인 환경단체인 ‘지구의 벗’은 ‘실험실
밖
으로 나와 우리의 접시 위로: 식품과 농업에서의 나노기술’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나노입자가 들어간 식품이나 식품 관련 제품은 이미 100가지 이상이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다.물론 이 ... ...
이상한 기계나라의 앨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시간을 줄여 줘요. 게다가 에너지도 20%나 적게 쓸 수 있지요. 이
밖
에도 냉장고, TV 등 터치 기술은 빠르게 생활 속으로 들어오고 있답니다.만지지 않아도 알아요!끝이 날 것 같지 않던 긴 악수행렬이 드디어 끝나고 있었다. 마지막에 악수할 기계는 정말 귀엽게 생긴 기계 ... ...
인터월드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나는 뜨거운 목욕과 피를 씻어낼 진통제가 필요해. 나를 갉아먹는 이놈들을 잡아서 몸
밖
으로 쫓아내야 해. 워커! 너는 길을 알고 있어! 시도해!”나는 사람을 잘못 골랐다고 다시 그에게 말하려고 하다가 멈췄다. 그리고 만델브로의 반복구조 문양이 미친 듯 소용돌이치는 이곳 인비티윈 속을 다시 ... ...
세상만사 둥글둥글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길고 외접하는 초록색 정육각형의 길이보다는 짧겠지요. 이번에는 원의 안과
밖
에 정12각형을 그려 볼게요. 정12각형은 정육각형보다 원에 더 가까워 보이지요? 이처럼 원에 접하는 다각형의 변을 점점 늘려 가면 훨씬 정확한 값을 구할 수 있답니다. 이와 같이 아르키메데스는 정96각형까지 ... ...
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훌쩍 넘어선 거리다. 즉 안드로메다성운은 우리 은하에 있는 성운이 아니라 우리 은하
밖
에 있는 외부은하임이 분명하다고 생각했다.우리 은하 구조와 섬우주론에 대한 논쟁은 1920년 미국 학술원에서 섀플리와 커티스의 논쟁으로 이어졌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다. 결국 1925년 미국의 에드윈 허블이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꿀벌 초유기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있을 때는 공중에서 원을 그리고(원형춤) 10∼100m 안에 있을 때는 초승달을 그리며 100m
밖
에 있을 때는 숫자 8을 그리는 춤을 주로 춘다는 사실도 알아냈다.벌은 집 안이 더러울 때 나선형을 그리거나 불규칙적으로 이리저리 뛰면서 배를 좌우로 힘껏 흔든다. 꿀과 꽃가루가 가득해 기분이 좋을 때 ... ...
1936년 한스 셀리에 박사의 스트레스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3판 나옴)’에서 “지속적인 정신적 스트레스는 최근에 나타난 것으로, 대개는 인간과 그
밖
의 사회적 영장류에만 한정된다”며 “우리는 단순히 생각만으로도 격렬하고 강한 감정을 경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 뇌가 실제 세계의 위험과 머릿속 상상의 위험을 구분하지 못하는 셈이다. ... ...
나무의 숨겨진 힘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물의 양은 2L 페트병 500개의 양에 해당한다고 한다. 나무는 왜 이렇게 많은 양의 물을
밖
으로 내보내는 것일까. 그것은 바로 물이 잎으로 빠져나감으로써 잎과 줄기의 수분 함유율의 차이가 생기고, 잎의 부족한 수분을 채우기 위해 자연적으로 확산현상이 일어나 물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