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재교육원 탐방] 우리 영재는 우리 동네에서!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기자가 김병수 노원과학영재교육원장이 직접 수업을 하는 수학사사반에 조심스레 침입한 건 3월 10일. 입교식을 한 뒤 겨우 두 번째 수업이 열린 날이었다. 수학사사반은 중학교 1학년 학 ... 가까운
곳
에서 교육의 소재를 찾는 노원과학영재교육원은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곳
이었다 ... ...
Intro. 매스토랑, 수학 담긴 요리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수학이 담겨 있다면 믿으시겠습니까? 매스토랑에서는 다른
곳
에서 볼 수 없는 기상천외하고 독특한 방식으로 요리합니다. 매스토랑 음식이 마음에 든다면 집에서도 즐겨보세요. 수학적 알고리듬을 이용한 배달 서비스로 신선한 재료를 신속하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유명 요리사 실력을 갖춘 로봇 ... ...
Part 3. 집에서도 즐기는 인생맛집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CES에서 최고상을 수상한 몰리는 바로 올해부터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이제 맛집 찾아 먼
곳
까지 갈 필요가 없어요! 후식이 필요하다고요? 식사를 마친 뒤 마시고 싶은 커피를 선택하면 신속하게 커피를 만들어주는 바리스타 로봇도 있습니다. 주문이 들어오면 바리스타 로봇은 로봇팔로 컵을 잡고 ... ...
[실전! 반려동물] 왜 아무데나 오줌을 싸는 걸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개를 키우면 대부분 개가 화장실에서 똥을 누도록 훈련해요. 이때 개가 주로 생활하는
곳
과 화장실이 떨어져 있어야 해요. 또 바닥에 물기가 있으면 개가 화장실에 들어가는 것을 싫어할 수 있어 바닥을 마른 상태로 유지해야 하지요. 만약 화장실이 맘에 들지 않으면, 개는 아무 데나 똥과 오줌을 눌 ... ...
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해석하면 우리는 10500개의 우주 중에 우리 우주의 모습을 만들어내는 암흑에너지를 가진
곳
에 우연히 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나머지는 무엇인가? 여기서 자연스럽게 우주가 여러 개라고 생각하는 ‘다중우주론’이 나온다. 우주가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 하나가 아니라 약 10500개의 우주가 ... ...
Part 3. 더욱 특별해진 동반자, 반려견 함께할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치료하자, 페페의 이상 행동도 멈췄어요. 이후에도 페페는 이상 행동을 반복해 암이 다른
곳
으로 번졌다는 사실을 알리며 주인의 목숨을 구했답니다. 페페가 주인의 암을 알아챈 비밀은 바로 냄새에 있어요. 종양이 커질 때 특유의 휘발성 물질을 배출하는데 개가 이 냄새를 맡아 암을 탐지하는 ... ...
[매스미디어] 블랙 팬서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수트와 날카로운 손톱은 모두 비브라늄으로 만들어서 총알 정도는 거뜬히 막아내고 높은
곳
에서 뛰어내려도 끄떡없다. 빠르게 회전하는 바퀴를 손톱으로 두부 썰 듯 자르는 장면을 보면 아이언맨의 수트나 울버린의 아다만티움보다 강력할지도 모른다. ○ ‘비브라늄’에 관한 토막지식!➊ ... ...
[영재교육원 탐방 2] 극단으로 간 영재들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첨단과학반은 국가 지원으로 부산대 과학영재교육원을 포함해 전국에서 단 세
곳
의 영재교육원에만 추가로 개설된 반이다. 이 반에서는 순수자연과학과 더불어 첨단과학기술산업이나 의공학을 배운다. 그래서 이 반에 지원한 학생들은 드론, 인공지능 같은 4차산업 분야에 관심이 많다. 다른 팀과 ... ...
Part 2. 장비‘빨’ 제대로 받자!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의족이 적절한 각도에서 멈추게 한다. 어떤 유체★에 압력을 주면 그 압력은 유체의 모든
곳
에 똑같은 크기로 전달된다. 허벅지와 함께 움직이는 피스톤이 의족 무릎 속 기름을 밀면, 압력이 제동 장치까지 전달돼 의족의 속도를 서서히 줄인다. 유체★ 기체와 액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 기체와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2001년에는 러시아 연구선 유즈모호를 타고 스코시아해를 가로 질러 웨델해 깊숙한
곳
까지 들어가는 과감한 탐사도 진행했다. 해빙이 녹아 뒤로 물러나고 생물의 번성이 달라지는 과정을 지켜보려면 연구선에 탄 채 몇 달을 기다려야했지만, 이미 녹은 지 꽤 오래된 바다부터 얼음이 한참 남은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