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헬스
튼튼
건전
몸상태
d라이브러리
"
건강
"(으)로 총 3,29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선정 2002년 최고 과학 이슈는 소형 RNA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정상회의’ 소식에 맞춰 인류의 미래를 위한 ‘
건강
한 과학’ 연구를 주요 업적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말라리아의 게놈 해독이 이 부분에 포함됐다. 한편 불붙기 시작한 게놈 연구에 쥐 게놈의 완전 해독이 꼽혔으며, 유전자 치료를 받고 치명적 암이 발생한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이기 때문에 2000년 1월 미국 오리건 영장류연구센터와 오리건
건강
과학대학 공동연구팀이 ‘테트라’라는 이름의 암컷 원숭이를 복제한 것은 인간복제의 서막이라고 볼 수 있다. 테트라는 복제양 돌리와 달리 정상 원숭이의 수정란을 4개로 쪼개 각각의 배아로 만든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밝혔다.또 안티노리 박사는 복제된 남아를 초음파로 검사해본 결과 체중 2.5-27kg으로 아주
건강
한 상태라며, 출산할 때까지 아무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90% 이상이라고 자신했다. 그는 복제아는 어떤 기형적인 징후도 갖고 있지 않다며, 자신은 이번 복제인간 연구의 책임자가 아니라 단지 ... ...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등 다양한 질병의 직접적 원인이 된다. 정상 단백질은 세포 내에서 제 기능을 수행하며
건강
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구조나 형태에 이상이 생기면 이는 곧 질병으로 이어진다. 이처럼 질병의 원인이 되는 질환 단백질을 대량으로 탐색하면 다양한 질병의 표적을 발견할 수 있다. 질환 단백질은 정상 ... ...
코르크 마개 퇴출은 생태계 적신호?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그해 빚은 술로 축하하는 것도 그리 나쁘지는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게다가 적포도주는
건강
에도 좋다고 하니 말입니다. 포도 껍질에 포함된 폴리페놀이 인체에 해로운 자유라디칼을 없애주는 항산화작용을 합니다. 똑같이 기름진 음식을 먹는데 유독 프랑스 사람들이 동맥경화나 심장병과 같은 ... ...
한치의 오차 없는 우편 배달 시스템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시스템 전체가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나 등 시스템을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이것이‘
건강
’할 수 있도록 모든 요소를 고려하는 것이다. 산업공학계의‘명의’가 바로 시스템 최적화 연구실의 최대 목표다.연구실은 1990년대 이후 현재까지‘경영 과학’(Management Science) 등 세계적 학술지에 3 ... ...
파킨슨병 정복하는 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김 박사는 성체 줄기세포를, 박 박사는 배아 줄기세포를 이용해 도파민을 생성하는
건강
한 신경세포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파킨슨병 정복이 머지 않은 미래에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하지만 이번에 발표된 두 실험 모두 쥐를 대상으로한 결과다. 현재로서는 이 ... ...
1. 과학적 안목 가진 지도자가 세계 이끈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더 크다고 생각하는가?부시 나는 안전한 음식에 대한 장애물을 반대한다. 그리고 우리의
건강
과 안전을 위한 법규가 건전한 과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믿는다. 1999년 미국에서 생산된 콩의 50%, 면의 40%, 그리고 옥수수의 1/3이 유전자변형 작물이다. 그렇지만 유럽연합은 새로운 생명공학 작물의 ... ...
2002 생리·의학상 - 세포의 자살프로그램 규명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등)의 분화가 올바르게 이뤄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역설적인 표현 같지만
건강
한 사람은 세포사멸프로그램이 잘 작동하는 세포를 갖고 있는 셈이다.세포사멸에 관한 연구로 세명의 과학자가 노벨상을 수상했다고 해서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완성된 것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세포사멸 ... ...
소똥을 사랑한 복제동물의 아버지 황우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황 교수와 학생들은 바로 난소에 주사기를 꽂아 싱싱한 난자를 뽑는다. 조금이라도 빨리
건강
한 난자를 빼내야 복제 실험에 성공할 확률이 높다. 황 교수와 학생들은 거의 말도 하지 않는다. 다 끝나고 나면 어느덧 점심 시간이 훌쩍 넘는다. 황 교수는 대개 9시쯤 학교를 떠나고, 12시를 넘어 잠자리에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