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뉴스
"
알
"(으)로 총 4,353건 검색되었습니다.
메뚜기 점프원리 규명·아이언맨 소재 발굴…美육군 과학자들이 뽑은 연구 10選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학습 기술을 개발했다. 딥테이머(Deep TAMER)와 사이클오브러닝(Cycle-of-Learning)이라는 새로운
알
고리즘을 이용해 인간이 가르쳐주는 것을 로봇이 더 적은 정보로 더 빨리 습득할 수 있다. 시범, 실시간 개입, 피드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학습시킬 수 있다. 미 육군연구소(ARL)이 선정하고 연구에 ... ...
바이오산업 메카 꿈꾸는 홍릉에 300억원 특화펀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연구비를 지원하고 사업화 이후에는 민간 벤처캐피털을 통해 성장해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홍릉 클러스터링 추진단의 김현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기술정책연구소 정책기획팀장이 홍릉형 R&DB 모델인 ‘H-TRAIN’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 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com 홍릉은 최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인체에 무해해 유전자 치료 실험에 즐겨 쓰는 바이러스다. 조합항체 MD3603의 효과를
알
아보기 위해 AAV를 넣은 스프레이를 다양한 독감 바이러스에 감염시킨 생쥐의 코에 뿌려 생존율을 조사했다. 그 결과 보통 1주일이면 모두 죽는 병원성이 큰 독감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대부분 살아남았다. ... ...
멸종위기 꿀벌 살릴 백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17
것으로 여겨졌다. 연구진은 2014년 특정 박테리아를 먹은 나방이 면역력을 가진
알
을 낳는다는 점에 착안해, 이 같은 일이 꿀벌에서도 나타나는 지를 확인했다. 여왕벌이 병원균이 들어있는 음식을 먹으면, 병원균이 내뿜는 핵심 분자가 여왕벌의 난황단백질인 비텔로제닌(vitellogenin)과 결합한다는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아빠 없는 하늘 아래
2018.12.16
하지 못했다며 속상해하는 아버지가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유전자 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대부분의 소녀는 아버지가 없어도 큰 문제없이 잘 성장합니다. 80% 이상의 소녀는 아버지가 없어도 초경 연령이 크게 바뀌지 않았습니다. 물론 아버지 부재에 취약한 일부 소녀도 있을 수 있습니다. ... ...
네이처가 뽑은 2018년을 빛낸 과학 동영상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수 있다. 로봇을 만든 리 크로닌과의 인터뷰를 통해 로봇의 원리와 어떤 새로운 것을
알
아냈는지 물었다. 네이처 제공 쥐들이 차고 군도 (Chagos Archipelago)라는 섬의 조류 개체 수를 줄였다. 새가 사라지면서 바닷새의 배설물이 바위 위에 쌓여 굳은 덩어리인 구아노도 사라졌다. 이는 주변 생태계에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모스 전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2.15
대응하는 모스 부호가 LED에 나타난다. 또 각 팀이 입력한 모스 부호를 듣고 어떤
알
파벳인지 맞추는 게임을 하며 모스 부호를 해독하는 연습도 해 봤어요. 수업을 마친 김민서 친구는 “아두이노에 여러 전선을 연결하는 것이 조금 헷갈렸지만, 암호를 입력하고 해독하는 멋진 장치를 만들 수 있어 ... ...
[표지로 읽는 과학] 현실로 성큼 다가온 양자 네트워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정보를 담고 있어 중간에 광자를 몰래 탈취해도 수신자는 금방 암호가 깨진 사실을
알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일반 광케이블을 이용하는 유선 양자통신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연구자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양자 얽힘의 특성까지 완벽하게 구현해 무선 양자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 ...
[여기에 과학]뒤짱구는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적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것을 확인했습니다. UBR4나 PHLPP1은 제대로 발현되지 않으면 우리 뇌 발달에 치명적이라고
알
려져 있습니다. 연구진은 "네안데르탈인 유전자 변이는 두개골 뒷부분을 약간 덜 둥글게 만들 뿐 뇌 기능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를 가진 현대인은 뒤통수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고생은 과연 인간을 성장시킬까
2018.12.15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을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
기 쉽고 공감 가게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겸손, 마음 챙김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