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긴
d라이브러리
"
오래
"(으)로 총 3,67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신약 개발과 새로운 치료 기술로 이어진다. 신명헌 교수는 “기생충이 우리 몸에서
오래
살아 남았다는 것은 우리 몸을 그리 손상시키지 않고도 면역 시스템을 피하는 기술이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즉 기생충이 면역 시스템을 억제하는 물질을 분비하거나 직접 면역 세포를 죽인다는 것이다 ... ...
수성, 금성, 토성이 한 자리에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새벽에 5행성 모두를 한 곳에서 동시에 볼 수 있다. 이것은 매우 드문 현상으로
오래
전 점성술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취급했다. 이런 천문현상의 기록은 역사 기록의 연대를 검증하는데 큰 도움을 주기도 한다. 유감스럽게도 다음 5행성의 회합은 2040년이 돼야 볼 수 있다. 그러나 5행성은 아니지만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움직이다가 우연히 충돌해야 비로소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 과정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많이 드는데 비해 생산물의 양이 적은 경우가 많다.그러나 유기화합물 분자가 나노공의 좁은 공간 안에 붙잡혀 있으면 꼼짝없이 반응을 일으킬 수밖에 없다. 서로 충돌할 확률이 훨씬 높기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1로(b) 인식해 데이터를 저장.장점 :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 용량이 큼.단점 : 기록 시간이
오래
걸림 강유전 메모리(F램, Ferroelectricity)작동원리 : 강유전체의 분극 특성을 이요해 데이터를 저장. 분자가 전류와 반대방향의 극성을 띠면 저항이 커서 전류가 잘 흐르지 못하고(a), 같은 방향이면 저항이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말 수와 의욕이 부쩍 줄고 주의를 제대로 기울이지 못한다. 방안에 틀어박힌 지 이미
오래
. 정상적인 사회생활은 불가능하다.병원을 찾은 박씨에게 의사는 약물치료 대신 가상현실을 이용한 사회적응훈련을 권한다.사이버정신분열증클리닉에 들어선 박씨는 머리에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를 ... ...
헌혈은 정맥, 맥박은 동맥 - 혈관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정맥은 몸의 각 부분에서 혈액을 모아 심장으로 보내는 혈관이고, 동맥은 심장에서 나온 혈액을 온몸에 보내는 혈관이다. 동맥은 정맥보다 ... 위해서다. 이때 피부 모세혈관에 혈액이 공급되지 못해 감각이 둔해진다. 추운 곳에
오래
있으면 손, 발, 귀 등이 얼얼해지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기억능력 발달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좋아하는 선생님의 수업은 귀에 쏙쏙 들어와
오래
기억되고 싫어하는 선생님의 수업은 뒤돌아서면 바로 잊어버리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공포 기억을 연구하는 고려대 심리학과 최준식 교수는 “두려움은 강한 정서적 자극”이라며 “야단치거나 체벌을 ... ...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고열 가스가 새어나와 주연료 탱크에 불이 옮겨 붙어 폭발했던 것이다.문제는 NASA가 이미
오래
전부터 오링의 부식 가능성을 알고 있었다는 점이었다. 사고 발생 1년 전에 이미 로켓 추진기 설계기사는 NASA에 오링의 결함을 보고했었다. 특히 1986년 1월 15일 챌린저호 발사 2주전 챌린저호의 발사를 ... ...
걸음걸이 돕는 힘줄 지킴이 무릎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두 발로 일어선 후부터는 발꿈치를 들고 있기가 힘들었을 것이다. 까치발 자세로
오래
서있으면 힘든 것처럼 말이다. 따라서 발꿈치를 내려 지금처럼 발꿈치가 땅에 닿게 된 것이다. 즉 사람은 네 발이 아닌 두 발로 서있기 때문에 땅에 닿는 발 면적을 넓힐 필요가 있었다.사람의 발꿈치가 땅에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상황이 열악해지면 영구히 소멸되는 비운을 맞기도 한다. 시냅스가 안정적으로
오래
유지되려면 연결된 두 신경세포가 계속해서 상대에게 서로 긍정적 영향을 끼쳐야 한다.시냅스에서 신경전달 효율 변화에 관여하는 메커니즘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하나는 신경말단에서 분비되는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