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재
light
불빛
광
빛
전등
화난
d라이브러리
"
불
"(으)로 총 2,41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는 어떻게 변할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횡격막의 활동이 보다 쉬어질것도 예상할 수 있다.이상의 것은 물론 예측에
불
과하다. '
불
과' 4만5천년 전에 있었던 현생인류의 진화의 마지막 단계조차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형편에 수 백만년 후에 나타날 진화의 모습을 예측하는 것은 무리일 지 모른다. 게다가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달리 ... ...
하늘을 나는 인간의 꿈 기구에서 초음속 비행기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말에 이르러서는 대형 수송기나 여객기에도 관심이 집중되었다. 그리고 1970년 중엽 영
불
합동의 콩고드 기와 소련의 Tu-144 초음속 수송기가 항로에 올랐다.20세기 중엽부터의 항공기 개발의 또 하나의 방향은 단거리 및 수직 이착륙기(STOL, VTOL)였다. 이런 종류의 항공기는 군사용 및 민간용으로 195 ... ...
지상최대의 건축물 만리장성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방어선으로 북방유목민의 침입에 대비한 것이다.원래 장성은 난공(難攻)이긴 해도
불
락(不落)인것은 아니었다. 그것은 역사가 말해주고 있다. 그렇다고 하여 무용지물이냐 하면 그런것도 아니다. 한 예를 들면 명나라시대 말엽 동북부에서 일어난 청(淸)의 공격에 대하여 명나라 군대는 왕조자체가 ... ...
AIDS 예방에 노골적인 표현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같았으면 호된 비난을 당할 정부발표문서가 말썽없이 받아 들여지고 있다. AIDS가 강건너
불
이 아닌 이상 참고삼아 이보고서의 내용을 간추려 본다.▶ 이제 미국의 교과과정에 정상적인 성교육이외에 호모섹스도 포함시켜야 할 명백한 사태가 발생했다. AIDS의 정체를 성교육시간에 정확히 가르쳐야 ... ...
단일 종 연구에서 인간 참여까지 생태학의 진화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19세기의 위대한 탐험가나 박물학자들의 저술에서 영감을 얻어낸 일종의 박물학에
불
과했다. 다음 단계는 '독립 생태학'으로서 특정 생물이 살고 있는 환경과 그 생물이 다른 생물과 공생적 혹은 적대적 관계를 맺는가를 세밀히 연구하게 되었다.1920년대에 들어오면 '먹이 연쇄' '수의 피라밋'같은 ... ...
'라보아제'가 몰고온 화학혁명 연금술에서 근대화학으로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그 물질로부터 도망치므로 연소된 물질은 반드시 중량이 감소되어야만 했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사실은 반대로 그 무게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라보아제'는 어떻게 설명하였을까.그는 금속의 무게가 증가하는 이유를 금속과 공기중의 산소와의 결합으로 설명하였다. 다시 말해서 어떤 물질이 ... ...
인류기원의 혁명적 반론 이브는 흑인이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고생물학자들이 흔히들 말하는 진정한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보다는 덜
불
투명하다. 만약 정말 우리와 비슷한 모습을 한조상이 아프리카에서 나왔다면 윌슨의 말이 맞는 셈이다. 증거가 될 새로운 화석의 출현을 기다려 보기로 하자 ... ...
국제 저작권 가입을 앞두고 과학출판의 제도적 지원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역시 길지 않음을 생각할 때, 우리가 기술입국을 국가 지상목표로 한다면 이대로 강 건너
불
보듯 앉아만 있을 수는 없다. 소련의 경우는 국가가 모든 언론과 매체를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국제저작권 조약 가입을 앞두고 현대의 고전이라 할수 있는 세계의 명저들의 목록을 만들어 복사 및 ... ...
신소재의 과학 꿈의 재료를 설계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고감도의 측정을 가능케 하였다. 또한 SOR 방사광의 X선을 사용하여, 종래에는 연구가
불
가능했던 미세구조를 고분해 X선회절로 분석할 수 있게되어 재료의 강도 전기적 성질 내식성 등에 관해서 상세한 지식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강력한 실험설비는 분명 재료과학의 발전에 필수적인 요인임에 ... ...
난대림에서 고산식물까지 식물생태계의 특징과 의문점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또다른 이유로는 바람에서 찾고 있다. 4월에서10월에 이르는 생육기에는 주로 남풍이
불
어오는데, 이로 인해 토양의 수분이 증발하고, 잎에서도 증산작용이 일어나므로 식물이 자라기에 안좋다는 것이다. 아뭏든 한라산의 북(또는 동)과 남(또는 서)에서 구상나무림이 현저하게 다른 분포를 보이고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