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인류 직립 보행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발끝부터 뒤꿈치까지의 아치 모양이 발의 강성을 높인다고 추측했어요. 그런데 미국 예일대학교 마두수단 벤카데산 교수팀은 발끝과 뒤꿈치 사이의 아치 모양(세로 아치)이 아니라,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아치(가로 아치)가 발의 강성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지요 ... ...
- 문화재가 간직한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말했답니다. 무술오작비, 역사의 오류를 바로잡다?! 지난해 12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정재영, 최강선 교수팀은 3D 판독기술을 개발해 578년에 세워진 무술오작비를 해석했어요. 무술오작비는 신라시대 지금의 대구 지역에 마을 저수지를 만들 당시 상황을 기록한 비석이에요. 책임자와 저수지의 ... ...
- 오가노이드, 로봇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때문에 로봇에는 ‘브레인봇’이라는 이름을 붙였지.크리스토퍼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앨리슨 무오트리 교수팀이 개발한 뇌 오가노이드 소식을 접하고, 관련 과학 프로젝트를 하고 싶다고 연구팀에 직접 연락했지. 앨리슨 무오트리 교수팀은 당시 뇌 오가노이드를 개발하고 있었는데, 이 뇌 ... ...
- [시사과학] ② 유소년 축구에서 헤딩이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발생하는 병으로, 과거 ‘권투 선수 치매’라고 불리기도 했거든요. 영국 글래스고대학교 다니엘 맥케이 교수는 축구와 뇌 손상 사이의 관계를 따져봤어요. 연구팀은 1900년부터 1976년 사이에 태어난 축구 선수 출신 7676명과 일반인 2만 3028명의 건강 상태를 비교했지요. 그 결과 축구 선수 출신은 ... ...
- [수학뉴스] 게임 이론으로 암 치료법 찾는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과정과 항암 치료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가 나왔습니다.알렉스 블라디미르스키 미국 코넬대학교 수학과 교수팀은 암세포를 크게 세 가지로 나누고, 각각의 세포가 경쟁적으로 자라는 모습을 가위바위보 게임에 비유했습니다. 예를 들어 백만 명의 사람들이 다 함께 가위바위보를 할 때, 가위, 바위, ... ...
- [기획] 몇 번을 섞어야 무작위일까?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섞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1992년 페르시 다이아코니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자세한 증명 과정을 담은 논문을 학술지 ‘응용확률론연보’에 발표했습니다.리플 셔플을 8번 이상 했을 때 카드가 무작위로 섞인다는 걸 증명하는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 ... ...
- [수학체험실] 정사각형 다섯 개가 만드는 마법 펜토미노 달력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의미하는 ‘미노(mino)’를 붙여 만든 단어로, 1953년 당시 미국 하버드대학교 수학과 대학원생이었던 솔로몬 골롬이 이름 붙였다. 펜토미노 퍼즐을 언제부터 즐겼는지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1907년 영국의 퍼즐 디자이너 헨리 듀드니가 저서 ‘캔터베리 퍼즐’에서 펜토미노 12가지와 ... ...
-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않아 달걀 등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한다. ※필자소개장홍제. KAIST 화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는 광운대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다양한 원소로 이뤄진 나노물질을 설계·합성하고 응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원소가 뭐길래’ ‘원소 쫌 아는 10대’ ... ...
- [미국유학일기] 주 45시간 공부해도, 간신히 평균 성적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프로젝트와 달리 연구 수업은 교수의 지도를 받기 때문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 특히 대학원 진학 시 교수의 추천서는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좋은 모습을 보이고 친해질 필요가 있다. 비단 추천서가 아니더라도 교수들은 여러 회사와 다양한 프로젝트를 하고 있거나 직접 회사를 차린 제자들도 ... ...
- [특집] 비밀의 방 - 보이니치 필사본을 해독하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포커계의 알파고’라고 알려진 ‘AI 딥스택’을 개발한 그레그 콘드랙 캐나다 앨버타대학교 컴퓨터공학과 AI 연구소 교수가 보이니치 필사본 해독에 나섰다. 전세계 390개 언어를 97%의 정확도로 구별하고, 번역할 수 있는 인공지능으로 보이니치 필사본을 분석했다.그 결과 모음이 삭제된 ... ...
이전2302312322332342352362372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