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도
매스컴
연설
언론기관
기관
뉴스
"
언론
"(으)로 총 2,425건 검색되었습니다.
2032년 지구 멸망? 핵탄두 2500개 위력 소행성 접근 중
동아일보
l
2013.10.18
있다고 우크라이나 천문학자들이 최근 경고했다. 18일(한국시간) 데일리 메일 등 외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크림 반도에 자리한 크림 천문대 측은 '2013 TV135'라고 이름 붙인 거대 소행성을 지난주 발견했으며 세계 과학계도 지금껏 발견한 것 중 가장 위험한 소행성 두 개 중 하나라는 데 ... ...
[에디터칼럼] 한글과 노벨상
2013.10.09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한 명도 배출하지 못하느냐에 대해 이런 저런 이야기들이
언론
을 통해 쏟아져 나오는 시기이기도 하다. 재미있는 것은 매년 똑같은 지적과 개선방안이 제시되고 있지만, 바뀐 것은 하나도 없다는 점이다. 노벨상이 한 나라의 과학기술 수준을 완벽하게 반영하는 것은 ... ...
[노벨물리학상 특집] 힉스의 모든 것 4
과학동아
l
2013.10.09
“일상생활은 아무 것도 달라지지 않는다”다. 없던 입자를 발견하는 것도 아니고, 일부
언론
이 실수했듯 우주 탄생 직후 사라진 화석 입자를 발굴한 것도 아니다. 단지 이론 상의 예측을 확인한 것뿐이다. 더구나 아직 힉스 입자라는 공인은 없는 ‘관측’ 단계다. 질량을 준 입자가 아니니 질량의 ... ...
[노벨물리학상 특집] 힉스의 모든 것 3
과학동아
l
2013.10.09
먼저 중요한 오해를 하나 해결하고 넘어가자. 어쩌면 이 글에서 가장 중요한 지적이다.
언론
에는 “힉스 입자가 다른 입자에 질량을 준다”는 말이 많이 나왔다. 심지어 입자물리학자들도 이렇게 말한다. 하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틀린 말이다. 다른 입자들에게 질량을 주는 현상은 ‘힉스 ... ...
탄소배출 제로… “녹색도시 모델하우스”
동아일보
l
2013.10.04
C&C는 2일 자사의 녹색기술이 집약된 이곳 체험센터의 통합컨벤션센터와 체험형 연수원을
언론
에 처음 공개했다. 이 건물들은 강릉시와 환경부, 국토교통부, 강원도가 2020년까지 1조 원을 투입해 추진하는 ‘글로벌 명품 녹색도시 마스터플랜’의 랜드마크다. 탄소배출 ‘제로(0)’를 실천해 국내 ... ...
삼성-애플 스마트폰 ‘금빛 전쟁’
동아일보
l
2013.09.27
가져다준다고 알려져 많은 중국인이 금색 제품을 부적처럼 몸에 지닌다. 중국 현지
언론
에 따르면 17일 시작된 중국 내 아이폰5S 예약판매에서 골드 컬러는 1시간 만에 예약이 완료됐다. 20일 일부 물량이 시장에 나온 뒤에는 프리미엄이 붙어 정가 5288위안(약 92만 원)의 두 배를 넘는 1만600위안(약 18 ... ...
성층권 외계 생명체, 단세포 조류… “실체가 궁금해!”
동아닷컴
l
2013.09.23
외계 생명체를 발견했다고 주장해 눈길을 끌었다. 지난 20일(현지시각) 영국 BBC 등 현지
언론
은 셰필드 대학교 밀튼 웨인라이트 교수의 학술지에 실린 논문을 통해 외계 생명체의 존재를 보도했다. 웨인라이트 교수의 연구팀은 최근 체스터와 웨이크필드 사이 27km 상공에 풍선을 띄워 성층권에서 한 ... ...
“후쿠시마 원전서 세슘-스트론튬 하루 600억Bq 바다 방출”
동아일보
l
2013.09.22
빈에서 열린 국제원자력기구(IAEA) 과학포럼에서 이런 내용을 보고했다고 일본
언론
이 전했다. 보고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전 사고 직후인 2011년 3월 26일부터 같은 해 4월 7일까지 13일간은 세슘 137이 하루에 약 100조 Bq씩 총 1300조 Bq 배출됐다. 이후 차츰 감소해 지금은 300억 Bq 정도 나오는 것으로 ... ...
日 신형 고체연료 로켓 ‘엡실론’ 발사성공
동아일보
l
2013.09.16
발사가 성공한 것이다. 일본의 고체연료 로켓 발사는 2006년 9월 이후 약 7년 만이다. 일본
언론
은 15일 신문 1면에 엡실론 발사 성공 사실을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인구 1만7000명의 가고시마 현 기모쓰키에는 엡실론 발사 장면을 보기 위해 14일 약 2만 명이 몰렸다. 200인치 대형 스크린을 통해 발사 ... ...
방사능 오염수, 믿을 정보 없는 게 가장 큰 문제
동아사이언스
l
2013.09.13
얼려 지하수의 접근을 막겠다는 ‘동토차수벽’ 계획을 밝혔는데, 전문가는 물론 일본
언론
들도 회의적이다. 서 교수는 “원전 주위를 1.4km에 이르는 냉각수 파이프로 둘러싸 그 안의 땅을 얼리겠다는 것은 일종의 공상과학소설”이라며 “설사 설치한다 하더라도 지진이 잦은 후쿠시마에서 지진이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