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민
국민
주민
도시민
백성
민중
대중
뉴스
"
시민
"(으)로 총 2,640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진 것이 줄어들수록 보수적이 되는 이유는?
2016.06.28
위협이 되는 인종문제와 관련된 정책뿐만 아니라(외국인을 더 이상 받으면 안 된다거나
시민
권을 쉽게 주면 안 된다는 등의 태도를 보임) 다른 정책들, 국방비와 건강보험 정책 등에 대해서도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렇게 보수화 되는 현상은 ‘소수인종의 지위 상승이 백인들의 ... ...
과학기술인들이 모여 ‘ESC’를 만들었다... ESC의 정체는?
2016.06.18
과학기술에 대해 고민하는 학자 및 저술가, 과학교사와 언론인, 과학기술에 관심 있는
시민
들의 집단지성을 믿습니다. 6월 18일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에서 열린 ‘ESC’ 창립대회. 100여명의 과학기술인이 참여한 가운데 성대하게 열렸다. 윤태웅 ESC 대표가 창립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 변지민 기자 ... ...
양극화된 미래를 그린 영화 ‘엘리시움’과 스위스의 ‘기본소득’
2016.06.18
것에 대하여 진지한 고민을 하지 않아왔던 많은 국가의 정부, 정당 그리고
시민
단체들이 스위스의 시도를 계기로 이에 대한 진지한 논의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인공지능과 로봇이 가져올 경제적 문제의 대안으로 기본소득을 제시한 ‘제2의 기계 시대’(왼쪽)와 양극화된 미래 ... ...
보행 중 스마트폰 안전 사고 유발…"걸을때는 안전하게"
포커스뉴스
l
2016.06.17
관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서상만 시 보행친화기획관은 "이번 시범사업이
시민
들에게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의 위험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600개 펜 상자에 사랑을 담아 전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6.15
옮김은 ‘누군가에게는 버림,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옮김’이라는 가치 아래 모인 청년
시민
단체 ‘옮김’과 함께 하는 활동이에요. 옮김은 몽당 크레파스는 물론 한 번 쓰고 버리는 호텔의 비누나 이면지를 재가공해서 필요한 지역으로 옮기는 일도 하고 있답니다. 녹인 크레파스를 틀에 붓고 ... ...
[토요판 커버스토리]미세먼지 불안한데… 궁금증 Q&A
동아일보
l
2016.06.04
내놨지만 실질적인 효과가 나오기 전까지 계속 매캐한 공기 속에 시달려야 하는
시민
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가습기 살균제는 안 쓰면 그만이지만 미세먼지는 사방을 떠다니기 때문이다. 김신도(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임영욱(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 허양임 교수(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의 조언을 ... ...
군 미필 이공계 학생들 "전문연구요원 제도 폐지 반대"
포커스뉴스
l
2016.06.03
총학생회 회장은 "지난달 23일부터 시작한 서명운동에 이공계 학생과 국회의원을 비롯한
시민
1만4696명이 동참했다"고 밝혔다. 한편 국방부는 지난달 17일 병역자원 부족을 이유로 산업기능요원, 전문연구요원 등 이공계 출신에게 부여해온 병역특례를 점진적으로 축소해 2023년 전면 폐지할 ... ...
[토요판 커버스토리]악! 엽기 비웃는 異常범죄 시대
동아일보
l
2016.05.28
이상 범죄의 실체를 분석하는 건 ‘평범한 이웃’의 얼굴을 한 범인에게 선량한
시민
이 아무 이유 없이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권 경감은 “이상 범죄자는 피해자와 상호작용에서 생긴 감정이 아니라 개인적·주관적인 감정을 범죄로 표출한다”고 말했다. 몇 년 전 버스 정류장에서 연인이 ... ...
연구자와
시민
이 함께 멸종위기종 살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26
한다”고 말했다. 이어 “단순히 연구자뿐만 아니라 지구사랑탐사대에서 활동한
시민
들의 도움 덕분에 수원청개구리 연구와 복원을 할 수 있었다”며 “올해 확인된 수원청개구리들이 번식해서 내년엔 더 많은 수원청개구리들의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책의 향기]21년 전 사라진 삼풍백화점, 그날의 기록
동아일보
l
2016.05.21
‘메모리 서울프로젝트’의 일환이기도 하다. 이 프로젝트는 빠르게 변화하는 서울과
시민
의 삶을 잊지 않도록 기록하기 위해 기획됐다. 이 책은 5명의 ‘기억 수집가’가 2014년 10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삼풍 사고 당사자 108명을 인터뷰해 59명의 구술을 실었다. 붕괴 현장에서 골프채를 훔치는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