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몸길이는 건물 5층 높이인데 눈은 당구공만큼 작아서 눈이 퇴화되는 증거라고 말하는 과학자도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사람의 눈보다 훨씬 크고 최근의 연구 결과도 고래가 시력이 좋다는 사실을 뒷받침 한다.동물원 고래가 공연을 할 수 있는 이유고래는 사람처럼 수정체 두께를 바꾸는 대신 눈 ... ...
- 오크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이런 슬픈 운명을 가진 명왕성과 유사한 왜행성을 오르쿠스라고 명명한 천문학자들의 ‘작명 센스’가 대한민국 인터넷 공간에서 못생겨서 놀림받는 사람을 일컫는 오크라는 말을 염두에 둔 것은 분명 아닐 겁니다. 하지만 오크와 오르쿠스, 반명왕성으로 이어지는 각 단어의 의미가 묘하게 ...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없이 숙주가 빠르게 죽어버리는 것은 바이러스에게 바람직한 상황이 아니다. 바이러스 학자들이 가장 잘 진화된 형태로 꼽는 HIV는 숙주인 사람을 아무런 치료 없이도 보통 10년에서 15년 간 살려둔다.그런데 그런 바이러스의 의도가 잘 먹히지 않을 때가 있다. 바이러스가 전혀 새로운 숙주와 만났을 ... ...
- 의학 - 물리학자가 암 정복에 도전을?과학동아 l2013년 08호
- - 물리학자가 암 정복에 도전을?물리학자가 암에 도전장을 내놨다. 물리학자이자 우주론자인 폴 데이비스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교수와 찰스 라인위버 호주국립대 교수는 최근 지금까지와 다른 방식으로 암을 바라봐야 한다고 주장했다.암은 세포 안에 뿌리박힌 ‘고대의 유전 프로그램’으로 그 ... ...
- [뉴스 포커스] 대한민국 대표 수학자 박종일 교수,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수학동아 l2013년 08호
- 00만 원의 상금, 어떻게 사용하실 건가요?상금의 일부는 내년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에, 그리고 또 일부는 서울대학교에 기부할 계획입니다. 나머지는 우리 집사람이 알아서 쓰겠지요? 허허~. 한국 수학계에서는 상금을 받은 사람이 우리 수학계의 발전을 위해 일부 기부하는게 당연한 ... ...
- 수학으로 다시 태어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식이다. 신호 전달을 2차원으로 확대한 후크의 신호탑17세기 후반에 활동한 영국의 과학자 로버트 후크는 단순한 형태의 신호탑과, 자신이 개발한 망원경을 이용한 통신법을 만들었다. 후크의 통신법으로 신호를 주고받으려면 우선 사방이 잘 보이는 지붕이나 언덕 같은 장소에 여러 개의 막대를 ... ...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년 08호
- 04, 1540, 1720, 2170, 2440, 5590 등을 곱하면 만들 수 있고, 무한히 많다.3 불법 소수2001년 미국 수학자 필 카모디는 미국 영화 협회로부터 소송을 당했다. 이유는 DVD 불법 복제를 가능케 하는 코드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는 불법 복제에는 반대했지만, 현재의 저작권법이 소비자보다는 영상물을 만드는 ... ...
- 수학과 세상의 경계를 넘나든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세상의 여러 문제에도 관심을 가졌던 스메일. 그는 진정 편견을 뛰어넘은 위대한 수학자가 아닐까.IMPA★ 브라질 리오데자네이루에 있는 세계적인 수학 연구소."스메일은 통상 해오던 방식에 구속되지 않은 담대함으로 새로운 방식과 틀을 만들어 수학문제에 접근한다." _미국수학회 소식지 ... ...
- [체험] 정육면체와 정팔면체의 합체! 자이로스코프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이 기계를 학습 교구로 사용해도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래서 프랑스의 물리학자 장 베르나르 레옹 푸코에게 이 장치를 추천했다. 푸코는 이를 지구의 자전과 관련된 실험에 사용하면서 ‘지구의 회전을 보는 장치’라는 뜻으로 자이로스코프라는 이름을 붙였다.1860년대에 전기 모터가 ...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에너지가 투입되지 않는 조직화된 모든 것은 시간이 가면서 물리적으로 붕괴된다.물리학자 에르빈 슈뢰딩거는 주위의 에너지(또는 질서)를 얻어 엔트로피의 증가를 막거나 감소시켜 질서를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 생물의 고유한 특성이라 주장했다.바이러스의 활동구역이 뒤섞이고 있다.1차 ... ...
이전2292302312322332342352362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