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이저 1호, 혜성의 고향까지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발표했다.아직까지 오르트 구름의 존재에 대한 직접적인 관측 결과는 없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오르트 구름이 태양계 중심으로 들어오는 모든 장주기혜성과 헬리혜성, 그리고 수많은 소행성의 근원이라고 믿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오르트 구름까지를 태양권이라고 정의한다면, 보이저 1호가 ... ...
- 공룡의 아버지를 쓰러뜨린 시조새의 깃털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듯한 저자의 글솜씨와 따스한 유머 덕분에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 있다.먼저 오랫동안 과학자들을 괴롭혔던 질문부터 하자. 새의 깃털은 왜 진화했을까. 비행? 처음부터는 아니었다. 하도 고민이다보니 깃털이 새의 ‘벌레잡이 주걱’이었다는 황당한 주장도 나왔다. 지금은 체온 조절용으로 ...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사실을 알아낸다. 이를 ‘케플러의 가설’이라고 한다. 케플러의 가설은 1998년 미국의 수학자 토머스 헤일스가 컴퓨터를 활용해 증명했다.결국 우유병들을 효율적으로 채우려면 49개 이상일 때부터는 정육각형 방식으로 채워야 한다 ... ...
- 미토콘드리아 시계가 흔들리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하나 더 발견했습니다. 사람의 유전자가 생각보다 다양하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유전학자들은 이것도 중립설로 해석했습니다. “인간 유전자의 다양성이 적은 이유는 인간이라는 종 자체가 태어난지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라고요. 인간이 생겨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면, 오랫동안 각지에서 ...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없이 숙주가 빠르게 죽어버리는 것은 바이러스에게 바람직한 상황이 아니다. 바이러스 학자들이 가장 잘 진화된 형태로 꼽는 HIV는 숙주인 사람을 아무런 치료 없이도 보통 10년에서 15년 간 살려둔다.그런데 그런 바이러스의 의도가 잘 먹히지 않을 때가 있다. 바이러스가 전혀 새로운 숙주와 만났을 ... ...
- 기생충은 억울하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실제로 촌충 연구를 위해 직접 알을 먹고 몸에 기생충을 키운 것으로 유명하다.기생충 학자들이 주변 사람을 ‘숙주’로 연구했다는 말은 듣지 못했지만, 그래도 혹시…? 기생충은 ‘의외성’이 많다. ‘기생충 열정’의 저자 서민 단국대 의대 교수의 말마따나 우리나라는 기생충을 다룬 대중서가 ... ...
- [체험] 정육면체와 정팔면체의 합체! 자이로스코프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이 기계를 학습 교구로 사용해도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래서 프랑스의 물리학자 장 베르나르 레옹 푸코에게 이 장치를 추천했다. 푸코는 이를 지구의 자전과 관련된 실험에 사용하면서 ‘지구의 회전을 보는 장치’라는 뜻으로 자이로스코프라는 이름을 붙였다.1860년대에 전기 모터가 ... ...
- 수학으로 다시 태어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식이다. 신호 전달을 2차원으로 확대한 후크의 신호탑17세기 후반에 활동한 영국의 과학자 로버트 후크는 단순한 형태의 신호탑과, 자신이 개발한 망원경을 이용한 통신법을 만들었다. 후크의 통신법으로 신호를 주고받으려면 우선 사방이 잘 보이는 지붕이나 언덕 같은 장소에 여러 개의 막대를 ... ...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년 08호
- 04, 1540, 1720, 2170, 2440, 5590 등을 곱하면 만들 수 있고, 무한히 많다.3 불법 소수2001년 미국 수학자 필 카모디는 미국 영화 협회로부터 소송을 당했다. 이유는 DVD 불법 복제를 가능케 하는 코드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는 불법 복제에는 반대했지만, 현재의 저작권법이 소비자보다는 영상물을 만드는 ... ...
- [뉴스 포커스] 대한민국 대표 수학자 박종일 교수,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수학동아 l2013년 08호
- 00만 원의 상금, 어떻게 사용하실 건가요?상금의 일부는 내년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에, 그리고 또 일부는 서울대학교에 기부할 계획입니다. 나머지는 우리 집사람이 알아서 쓰겠지요? 허허~. 한국 수학계에서는 상금을 받은 사람이 우리 수학계의 발전을 위해 일부 기부하는게 당연한 ... ...
이전2292302312322332342352362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