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작아지기 때문에 약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대량 생산도 가능하다. 이번 결과는 세계적
학술
잡지인 ‘생물화학지’ 4월호에 실렸다.목련 꽃봉오리에서 천식 특효물질 뽑아 봄을 알리는 식물 목련은 화사한 꽃을 자랑한다. 꽃이 피기 전의 목련 꽃봉오리인 ‘신이’ 가 약재로 좋다. 여러 종류의 ... ...
여우야, 여우야, 살았니 죽었니?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있다. 환경부는 “토종 여우 표본이 완료되면 국립환경연구원 동물표본실에 보관,
학술
용으로 이용할 방침” 이라고 밝혔다.국립공원관리공단의 한상훈 박사는 “1997-2002년 환경부의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 야생여우가 살고 있는 흔적이 있다고 보고됐을 뿐 정확한 개체수는 밝혀진 바 없다” 고 ... ...
예술로 피어난 과학 식물세밀화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설명했다. 이곳에서라면 식물학자들의 지식과 세밀화가들의 예술적인 역량이 결합해
학술
적 가치가 높은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3명의 세밀화가가 참여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작업은 먼저 광릉숲에서 자라는 식물을 대상으로 했다.광릉요강꽃을 비롯해 광릉숲을 ... ...
건강한 혈관생성 단백질 세계 최초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치료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번 연구결과는 그 우수성과 중요성을 인정받아 세계적
학술
지인 ‘미 국립과학원회보’ (PNAS) 4월호에 이례적으로 2편의 논문으로 나뉘어 게재될 예정이며 국제특허도 출원 중이다 ... ...
재미 최현규 박사 세계 의학계 돌풍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NEJ) 3월 11일자에 최 박사의 논문 ‘통풍과 식사요법’이 실렸다. 4월 발행 예정인 의학
학술
지 ‘랜싯’(Lancet)에도 통풍을 주제로 한 또다른 논문 게재가 확정됐다.NEJ에 게재된 이번 논문은 12년간 4만7천명의 의료 관련 전문인을 지속적으로 관찰한 뒤 통풍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입증한 것. ... ...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접히는 모양과 유사하다고 해서 ‘접힘자’ 모델이라고 한다. 1992년 이 모델이 국제지질
학술
회의에 처음 발표됐을 때만 하더라도 큰 반향을 얻지 못했다. 당시에는 작은 한반도에서 그렇게 극적이고 엄청난 사건이 있었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그러나 그 후 이를 지지하는 구조지질학, ... ...
퀴리부부, 라듐의 존재를 입증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공동작업이 시작된 것이다. 1898년 7월과 12월, 두 사람은 공동명의로 ‘콩트 랑뒤’라는
학술
지에 섬우라늄광에서 분리한 물질속에 마리의 모국 폴란드의 이름을 딴 ‘폴로늄’과 광선(ray)에 해당하는 라틴어를 따서 이름붙인 ‘라듐’이라는 새로운 방사능 원소가 존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그날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가운데 쥬라기 공원 시리즈도 빠뜨릴 수 없다. 쥬라기 공원 시리즈는 대중을 위한 ‘공룡
학술
지’라 할 수 있을 만큼 최신의 공룡연구결과를 담아 왔다.특히 2편과 3편을 자문한 핵심과학자는 미국 몬타나주립대의 고생물학자인 존 호너 교수다. 호너 교수는 1970년대 말 ‘마이아사우라’라는 ... ...
제주서 5만년 전 사람 발자국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제주에서 5만년 전 구석기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 발자국 화석이 발견됐다. 지난 2월 6일 문화재청은 한국교원대 김정률 교수와 충북과학고 김경수 교사가 ... 따라 문화재청은 화석발견 지역을 천연기념물로 가지정하는 한편 연대측정을 포함해 종합
학술
조사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 ...
암 조기진단 가능성 청신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결국 악성 종양으로 진행될 수 있다” 는 새로운 가설을 제안했다. 이 가설은 세계적인
학술
지 ‘네이처 세포생물학’ 2월호에 커버스토리로 게재됐다. 베일에 가려져 있던 라스에프원에이 유전자의 역할을 상세히 규명해냈다는 점에서 학계가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연구팀은 라스에프원에이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