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해, 12만 년 전 완전히 말랐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연구진은 사해 밑바닥에서 지질학적 역사를 확인할 수 있는 퇴적층을 분석해 지난 12월
초
미국 지구물리학연맹(AGU) 연례회의에서 발표했다.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해 퇴적층이 과거에 수차례 수위가 바뀌었고 간빙기에는 호수가 줄어들기도 했다. 최후의 빙하기에는 수면이 현재보다는 높았다. 사해 ... ...
[1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12월 5일 NASA는 케플러 우주 망원경의 관찰 결과 생명체 서식권에 위치한 행성을 하나를 최
초
로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이 행성이 바로 ‘케플러-22b’이다. 이번 발견을 계기로 지구와 유사한 생명체가 살고 있는 행성을 찾기 위한 인류의 도약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을지 주목되고 있다. 생명체 ... ...
행복 만드는 빛을 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1cm 거리에서 얻을 수 있다. 이외에도
초
고자장이나 엑스선, 플라스마 연구에도 이
초
고출력레이저를 이용하고 있다.“새로운 현상을 처음 발견한다는 것은 정말 가슴 떨리는 일입니다.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설계하고, 실험결과가 자신의 가설에 적중했을 때 느끼는 희열은 정말 대단하죠. 동시에 이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단일종을 모아 키우기 때문에 전염병이 창궐하기 쉬운 구조다. 우리나라도 2011년
초
구제역으로 400만 마리 이상의 가축을 속수무책으로 살처분한 경험이 있다. 문제는 가축 전염병에서 인수공통전염병(사람과 동물이 같이 걸리는 전염병)이 나올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이런 우려는 2003년 태국 방콕에서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저항 때문에 열이 많이 발생해 금속이 버틸 수 없으므로 저온에서 저항이 0이 되는
초
전도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다.95% 신뢰도도 부족해충돌 결과는 ATLAS와 CMS라는 두 개의 검출기로 관찰한다. 이 둘은 크기는 다르지만 역할은 비슷해 서로 결과를 검증하고 보완해준다. 힉스는 수명이 매우 짧아 직접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를 틀끌림 현상이라고 한다. 마치 우유에
초
콜릿을 넣고 숟가락으로 돌려 저으면
초
콜릿이 회오리 모양으로 뒤틀려지는 것과 비슷하다.이렇게 아인슈타인의 우주에서 나타나는 휜 시공간과 틀끌림 현상을 검증하려면 아주 정밀한 자이로스코프가 필요하다. 자이로스코프는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안에서 커터칼과 접착테이프를 갖고 비행기를 만들었다. 중요한 건 마음가짐이다.”최
초
의 비행기를 만든 라이트 형제는 제일 먼저 비행기를 만들기도 했지만 시행착오도 많았다.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바라는 것도 바로 이것이었다. 거창한 도구가 없어도 뭔가를 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고 열정이 ... ...
나도 생방송 보니하니 진행자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점은 무엇인가요?이혜진 PD : 어떤 프로그램보다 진행자의 인성을 중요하게 생각했어요.
초
등학생 친구들이 ‘나도 저 오빠, 언니처럼 되고 싶다’는 생각하길 바랐죠. 또 월요일에서 목요일까지 진행하는 생방송이라 성실함과 순발력을 갖춘 진행자여야 해요. 이런 점에서 지금의 보니 안재성 군과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무척 기대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화성라이프!Part1. 2049 인류 최
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Part3. 2150 지구로 보내는 편지Special 화성탐사선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활발하다. 생물의 내부를 흉내 내는 것은
초
소형 비행로봇을 개발할 때 진가를 발휘했다.
초
소형 비행로봇의 모델은 바로 ‘파리’. 크기가 작을 뿐 아니라 생물학적 연구도 많이 돼 있기 때문이다.[스위스 로잔연방기술연구소(EPFL)의 다리오 플로레아노 교수팀이 개발한 ‘메뚜기로봇’. 이 로봇은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