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피커 시스템2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가해질때
잘못
되면 찌그러지는 음질이 될때가 있는데 이러한 원인은 인클로저 제작이
잘못
되어 있을때도 발생된다. 어느정도 스피커 유니트와 내부 연결이 끝났다면 스피커 시스템으로서 면모를 갖추었다고 보겠다. 스피커 유니트가 8옴(Ω)일때 터미널에도 8Ω로서 표시하여 주도록 한다. 이런 ... ...
컴퓨터 교실⑤ 하드웨어의 사령탑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가장 강력한 보안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자칫
잘못
하면 보완장치의 설치로 인하여 커널의 규모가 시스템 전체의 문제시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운영체제 설계시 충분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시스템 보안을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 ...
믿을 수 없는 '과학확률' 10여년간 150여건의 중대사고 발생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사고가 일어났다. 간과할 수 없는 사실은 대부분의 큰 사고가 사소한 실수로 시작되며
잘못
된 조작, 부주의 등 인간적 요인이 중요한 사고원인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1천㎿급 쌍동이 원전인 미국의 '브라운스 페리'에서는 1975년 단 한자루의 촛불로 사고가 났다. 공기누출을 알아보려 촛불을 켰는데 ... ...
서울의 소음공해, 위험수준이다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이롭게 이용하는 슬기를 우리는 일찌기 알고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이로운 소리도
잘못
이용되면 우리의 정서를 해치고 심한 경우엔 생명마저 앗아가는 공해로서의 소음 즉 흉기로 둔갑하고 만다. 과연 소음이란 무엇인가? 생각해 볼 만하다.소음이란 곧 내가 원치 않는 소리이다. 근래 우리가 ... ...
컴퓨터 프로그램 보호법 공청회 개최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우리나라 정보산업계에서 소프트웨어를 마구잡이로 복사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
이다" 라고 지적하면서 실제로 우리나라는 막대한 돈을 미국 등 외국회사에 지불하고 있으며 개인들이 일부 소프트웨어를 복제 사용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그 정도는 우리나라뿐이 아니고 전세계 어디서나 ... ...
이스라엘 들쥐의 기묘한 행동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흥미롭게 보도했는데 이에 대해 '텔 아이브'대학의 동물학자 '하인리히 멘텔스존'은
잘못
된 표현이라면서 "자살은 인간만이 하는 것이고 동물은 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정말 동물은 자살을 하지 않는가? 이것은 고래의 경우를 보더라도 아직 단언할수 없는 문제이다.어쨌든 학자들의 조사에 따르면 ... ...
음성인식시스템 말을 알아 듣는 컴퓨터가 나온다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여러가지를 들 수 있겠으나 대개 그 응용분야가 적절치 않았거나 응용분야에 대한
잘못
된 이해 그리고 음성 입출력장치의 가격이 너무 비싼 것이 문제였다.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이제 격리단어자동인식 연구는 실용화 단계에 와있다. 그러나 그것은 최근의 일이며 이또한 인식방식의 연구개발과 ... ...
금수강산을 수놓는 식물들의 세계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흔히 산이나 들에 나는 식물을 잡초(we-ed)라고 하는데, 이 말은
잘못
된 것이다. 잡초는 사람으로 말미암아 인가 근처에 나는 식물이다. 바랭이 쇠비름 등이 잡초에 속한다.잡초라고 하는 것중에는 귀화식물이 있다. 잡초는 대게 외국에서 들어온 것이 많고 그 유래가 ... ...
머리칼로 건강상태를 안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점유하고 있는 것은 성인병의 대부분이 식원병(食源病)이고 모발의 미네랄값은 식사의
잘못
을 예리하게 반영하기 때문이다.세포레벨에서의 영양대사장애가 질병을 유발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오늘날 영양대사의 균형이 발생하는 질환의 수는 당뇨병이나 ... ...
블랙홀의 정체는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그 때까지 알려졌던 검은 구멍의 개념과는 정반대되는 생각이었으므로 그는 그 결과가
잘못
이 아닌지를 되풀이 조사하고 망설이다가 74년에 처음으로 발표하였다. 이것은 바로 '검은 구름의 증발' 또는 '호킹 복사'로 알려지게 된 현상이다.이것은 마치 흑체복사와 유사하므로 흑체온도에 해당하는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