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측
예기
예견
전망
기대
예보
예감
d라이브러리
"
예상
"(으)로 총 4,038건 검색되었습니다.
01. 다시 태어나도 이공계 가겠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나 돼 부모(21%)보다 높았다. 언론은 4.8%였다. 기타 의견이 21.8%나 돼 다양한 요인이 있음을
예상
할 수 있다. 과학기술인 중 절반은 이공계 진로 선택을 고등학교 때 결정했다. 고등학교 때 전공을 결정했다고 답한 사람이 49.3%였으며 그 다음은 초등학교(25.3%), 중학교(24.5%)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교 ... ...
밤하늘에 쏟아지는 우주폭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단계인 천체의 주위 원반에서부터 다량의 물질이 이 천체로 빨려들 때 발생하는 것으로
예상
된다.HH34는 지구에서 약 1500광년 떨어져 있다. 만일 정체를 알 수 없는 폭포 HH222도 이 천체와 같은 거리에 있다면 폭포의 전체 길이를 추정할 수 있다. 그 길이는 무려 3광년에 달한다. 저 폭포수에 맞는다면 ... ...
뉴트리노의 갓난 울음소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우주 극초단파 배경의 요동을 줄인다고 가정했다. 이어 우주 극초단파 배경을 관찰해
예상
보다 작은 변동치를 발견했다. 그 결과 뉴트리노가 요동을 줄인다는 측정과 맞아 떨어졌다. 트로타 교수는 “초기 우주의 뉴트리노와 CMB 사이의 관계를 통해 다른 입자들에 대해서도 더 잘 알 수 있게 될 ... ...
바다의 왕자 로봇 물고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로봇 물고기를 보면 이런 잠수함이 공상과학에서만 존재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예상
할 수 있다. 앞으로 개발될 로봇 물고기는 스스로 환경에 적응해 진화할 것이다. 물속 흐름의 변화에 따라 로봇 물고기의 거동과 추진방법이 달라지도록 설계될 것이며 이를 위해 지능적인 제어장치가 설치될 ... ...
귀신 잡는 첨단 해병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화생방 정찰차, 비살상용 무기가 포함돼 있다. 놀랍게도 실현 가능시기가 언제가 될지
예상
하기 어렵지만 한국판 미래개인병사전투체계(Future Warrior System)도 도입한다는 중장기 계획도 있다. 차세대 로켓포로 적을 제압한다해병대의 주요 무기를 하나하나 자세하게 알아보자. 해병대의 미래 ... ...
8월의 페르세우스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1982년 이후 다시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아갔다. 결국 마스덴의
예상
은 틀린 것으로 판명됐으며 스위프트-터틀 혜성도 잃어버린 혜성이 되고 말았다. 집념의 천문학자와 돌아온 혜성그러나 작은 힌트는 다른 곳에서 나타났다. 이미 오래 전인 1902년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린이 ... ...
사하라 사막 지킴이 '모래아리 까끄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문제는‘사막의 악동’이라는 별명을 가진 사막 지킴이‘모래아리 까끄르’의 방해가
예상
된다는 것이다. 썰렁 홈즈의 도전은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그리고 모래아리 까끄르의 방해는 어떤 것일까?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도 함께 도전해 보자.휘발유를 꺼낼 방법은 무엇인가?사막 횡단 ... ...
우주에서 펼쳐진 별들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는 “2020년은 돼야 레이저 우주무기가 등장할 것”이라고
예상
했다.최근 주목 받는 우주무기는 위성이다. 위성은 레이저를 발사하기도 하지만 그 자체로 훌륭한 우주 무기가 된다. 위성을 적 위성에 부딪히거나 땅 위에 있는 적 기지에 충돌시키면 된다. 위성은 크기가 ... ...
우주에 아리랑 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15분 후 미국항공우주국(NASA) 맥머드 지상국과 첫 교신을 가졌다. 원래 아리랑 1호의
예상
수명은 3년이었지만 아직도 지상 685km 고도에서 하루에 지구를 열네 바퀴 반 돌면서 6년째 임무를 다하고 있다. 아리랑 1호는 우리 기술력이 부족해 외국과 공동으로 개발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2호는 국내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먼저 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질병은 뭘까. 오 교수는 “심장과 혈관 질환일 것”으로
예상
한다. 완벽하진 않지만 지금도 심혈관 질환에 줄기세포 이식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신경계 질환 중 파킨슨병을 꼽았다.황우석 교수팀 연구가 6월 17일자 ‘사이언스’ 표지에 실렸다.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