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비
활동사진
시네마
필름
영상
영화관
스크린
d라이브러리
"
영화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필요한 시험을 치를 때 시간이 훨씬 빨리 간다고 평가했다. 반면 일을 하거나 지루한
영화
를 볼 때, 줄을 서서 기다릴 때 시간이 가지 않는다고 답했다.한편 아이들의 경우 시간을 재는 과정과 시간과 무관한 과정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다. 즉 모든 정보가 한데 섞여 있는 셈이다. 그 결과 아이들은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분포하는 멜라닌 색소의 양에 따라 회색, 옅은 갈색, 밤색 등으로 보인다.우리는 때로
영화
배우 폴 뉴먼의 파란 눈이 멋있다며 부러워한다. 멜라닌 색소는 적황색과 흑갈색 두가지인데 어떻게 파란 눈이 나올 수 있을까. 파란 눈은 파란 색소 때문이 아니다. 파란 눈에는 멜라닌 색소가 부족한 대신 ... ...
1 제인구달 인간과 동물의 경계 허물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제인이란 이름의 애인이 있다. 그런데
영화
속 정글이 아닌 실제 정글에도 같은 이름을 가진 여성 과학자가 있다. 바로 영국 출신의 제인 구달 박사다. 그에게는 침팬지 친구가 여럿 있다. 그 중 죽마고우는 침팬지 피피. 구달 박사가 아프리카에서 처음 피피를 만났을 때 1살이었다. 그런데 어느덧 ... ...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나도 영상 작가8백만 화소 시대. 디지털카메라가 영상 시장에 대변혁을 몰고 왔다.
영화
제작에 흔히 쓰이는 35mm 필름의 화소수가 1백16만 화소이니 그 화질의 우수성은 충분히 짐작 가능하다.2003년은 필름의 시대가 가고 디지털카메라와 카메라폰이 정상에 우뚝 올라선 해다.20-30만화소 대에 머물던 ... ...
첫 키스를 부르는 크리스마스 나무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매달아두는데, 바로 그 밑에 서 있는 소녀에게는 누구나 키스를 해도 된다고 합니다.
영화
‘당신이 잠든 사이에’에서 산드라 블록과 빌 풀맨도 크리스마스 아침에 현관문 위에 매달려 있는 겨우살이 장식 밑에 우연히 같이 서있다가 키스를 하면서 결국 결혼에 성공하게 됩니다.이 풍습은 북유럽의 ... ...
자크루즈리의 해양건축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관심을 갖게 됐나?스킨스쿠버 기술을 완성시킨 프랑스 해군 꾸스또의 일대기를 그린
영화
‘태양이 닿지 않는 세계’를 본 것이 계기였다. 꿈많던 어린 시절 바다속 탐험은 신선한 충격이었다. 잠수부가 코발트색 깊은 바다 밑에서 수면을 향해 조심스럽게 올라오는 명장면을 회상할 때마다 아직도 ... ...
전화와 e메일 바짝 따라잡은 메신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메신저를 이용해 1만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다. 또 지난 5월에는 국내 개봉
영화
의 주인공을 메신저의 아바타로 만들어 네티즌의 관심을 끄는 이색적인 마케팅이 전개됐다.한편 2002년 6월 한반도가 월드컵 열풍에 휩싸였을 때 네티즌들은 메신저로 응원 구호를 서로 주고받기도 했다. 같은 ... ...
사면초가에 몰려 신곡 중단한 벅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보면 기술의 발달을 법이 막고 있던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비디오가 나왔던 초기에도
영화
관련 저작권자들이 들고 일어났었다. 하지만 그때마다 상황에 맞게 법이 재해석된 사례가 있다”면서 “저작권자는 자신들의 권익이 침해받을 것이라고 우려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도움을 받을 ... ...
2 온몸으로 느끼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상황을 경험하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몰입감 높이는데 필수그러나 이런 다이나믹
영화
를 관람하는 관객은 시청각 정보나 그에 따른 움직임을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존재일 뿐이다. 사용자에게 좀더 현실감과 몰입감을 주려면 사용자가 직접 가상현실 속에 참여 할 수 있어야 한다.컴퓨터 그래픽으로 ... ...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날아다닐 수 있었던 것은 바로 거미줄의 높은 강도와 탄성력 때문이다. 이런 내용은
영화
초반에 거미를 연구하는 국방과학연구소가 나오는 장면에서도 소개가 된다.한편 거미 실크는 높은 온도에서도 잘 변하지 않는다. 또 공기가 잘 통하면서도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는 방수 기능을 갖고 있다.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