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일어나고 면역기능이 떨어진다. 또 우주에서 먹고, 마시고, 생활하는 데 필요한 엄청난 양의 물과 음식, 연료도 문제다. 우주선을 발사할 때 1kg당 1000만원이 넘는 비용이 든다. 우주비행사들의 폐쇄공포증을 다룬 영화 ‘팬도럼’처럼 좁고 답답한 우주선에서 수개월 동안 머무르는 동안 어떤 심리적 ... ...
- 옥토끼, 달에 중국 국기를 꽂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창정2F호가 중국 최초의 우주인 양리웨이가 탄 선저우5호를 성공적으로 우주로 보냈다. 양리웨이와 선저우5호는 고도 332~336km에서 21시간을 머무른 후 지구로 무사히 돌아왔다.창정 발사체는 현재 4호까지 이용되고 있으며, 이번에 창어3호와 위투호를 달에 무사히 보낸 창정3B호는 지구 저궤도까지 ... ...
- 비트코인도 털린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제재가 힘들다는 점을 노린 것이다.이러한 비트코인에 대한 각국 정부의 반응은 다양하다. 2013년 8월 독일 재무부가 비트코인을 합법적인 화폐로 인정한 반면, 12월에는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에서 금융기관의 비트코인 거래를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발표 직후 비트코인은 3일만에 36%나 ... ...
- 두 얼굴의 양자역학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에너지만 가질 수 있다. 띄엄띄엄하다는 것을 고상한 말로 양자화되어 있다고 하며, 양자역학이라는 이름은 여기서 나왔다.이 정도면 할머니에게는 첫 번째 강의로 넘치고도 남을 것이다.전자는 두 개의 구멍을 동시에 지나간다. 이것은 전자가 파동의 성질을 갖기 때문이다. 아직도 수없이 많은 ... ...
- 아무거나 중독이라 말하지 말라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받아들이면서 개수를 늘려나간다. 수용체 개수가 늘어날수록 섭취하는 중독물질의 양은 점점 늘어나며(흔히 내성이라고 한다), 섭취량이 수용체 개수에 비해 부족해지면 중독 물질을 추가로 섭취하도록 뇌에 신호를 보낸다. 과하게 만들어진 수용체를 만족시키기 위해 뇌가 중독물질을 계속 ... ...
- 미래는 컴퓨터에게서 노인의 지혜를 얻는 세상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경험의 축적이 중요한 모든 분야에 컴퓨터공학이 접목돼 혁신을 일으킬 겁니다.Q. 다양한 영역을 넘나드는 융합학문이군요.A. 융합학문이라고 하면 여러 분야의 상식을 폭넓게 아는 융합상식을 잘못 생각하는 사람도 있지요. 두 학문에서 모두 전문가 수준에 이르러야 진짜 융합학문을 할 수 있어요. ... ...
- 콜록콜록, 작지만 무시무시한 미세먼지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일반적으로 식물들은 음이온을 조금씩 내뿜는대~.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먼지들은 양이온을 띄기 때문에 식물이 뱉은 음이온과 붙어 크기가 커지지. 이렇게 무거워진 미세먼지들은 더 이상 떠다니지 못하고 바닥으로 떨어지고 말아.초미세먼지들은 식물들이 직접 먹기도 해. 식물은 잎의 뒤쪽에 ... ...
- 무한도전 & 무한변신 미래 디스플레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변신초고선명(UHD) TV는 고선명(HD) TV에 비해 영상이 4~16배 더 선명하고, 소리도 2~4배 더 다양해져요. 또 가까운 곳에서 봐도 선명하기 때문에 TV를 더 가깝게 볼 수 있어요. 그만큼 두 눈에 화면이 가득해져, 영상에 푹 빠져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생기지요.84인치(213㎝) 초고선명 TV는 21인치(54㎝) 고선명 ... ...
- 애기장대가 알려 준 장수의 비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맺을 때까지 약 6주면 될 정도로 빨리 자라고, 크기가 작아서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양을 기를 수 있어요. 또 한 포기에서 무려 1만 개의 씨앗을 수확할 수 있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자료도 많지요. 게다가 유전체 크기도 사람 유전체의 20분의 1 정도로 작아서 연구하기 쉽고, 돌연변이체도 쉽게 ...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발견했어요. 호수의 온도는 영하 3℃. 게다가 빙하 밑에 깔려서 빛 한 줄기 들지 않고 영양분은 거의 없어요. 또 산소는 너무 많지요. 과학자들은 이런 환경에서는 생명체가 살 수 없을 거라 생각했어요. 그런데 1996년 미국 몬태나주립대학교 존 프리스쿠 교수가 호수 안에서 미생물을 발견했답니다 ... ...
이전2292302312322332342352362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