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엄마를 두 번 울리는 미토콘드리아 유전병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건강한 다른 여성의 것으로 교체하는 방법이었다.하지만 최근에는 이렇게 태어난 ‘세 부모 아이’조차도 유전병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또 한 번 고민을 안겨주고 있다 ... ...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놓고, 지난 5년간 실제로 측정한 악취 데이터와 비교해 악취를 예측할 수 있는 식을 세웠다. 그리고 이것을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해 지도로 표시했다.완성된 악취 지도는 한 도시의 악취 현황을 한눈에 나타낸다. 실제로 측정한 지점의 악취 데이터와, 측정하지 않았지만 예측되는 악취 데이터를 ...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미토콘드리아와 진핵세포의 동거는 수십억 년 전에 시작됐지만, 아직 이들의 동거는 불편하다. 에너지 공장에서 내뿜는 불쾌한 매연은 퇴행성뇌 ... 언제 시작됐을까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용암도마뱀들은 서로 다른 종류끼리 교배를 할 수 없다. 클라크 박사팀은 앞으로 오랜 세월이 지나게 되면 12종류의 용암도마뱀들이 서로 다른 도마뱀들로 진화하게 될 것이라고 본다.부채춤 추는 티라노사우루스가 있었을까머나먼 과거에 살았던 공룡은 어떻게 서로 의사소통을 했을까. 정말로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실습 1회차윤정은 기분이 나빴다. 당연히 몹시 좋지 않았다. 토요일에 학교로 향하는 지하철 안에서 기분이 좋을 대학생이 한반도에 어디 있겠는가. 이게 다 소연이 때문이라는 ...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던 그곳에서 충전기를 꽂고 눈을 꼭 감고 있었다. 아주 조금 더 확장된 프로세스로 ... ...
- 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눈이 쏠리고, 결과에 사람들이 깜짝 놀란 이유예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이세돌 9단 VS 알파고 인공지능의 무한도전!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Part 2. 인공지능 키워드 1. 빅데이터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가상현실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3D 안경을 쓰고 각각 떨어져 있는 자리에 앉았어요. 두 친구의 눈앞에는 각각 3D TV 세 대가 있었지요. TV 화면 속에는 나무토막이 쌓여 있는 젠가가 놓여 있었어요. 그리고 실제 젠가를 하는 것처럼 허공에 손을 쭉 밀자 가상현실 속에 있는 나무토막이 실제로 쏙 빠졌어요.“이런 작동이 가능한 비결은 ... ...
- [수학동아클리닉] 거울 속 수학세상이 보이는 마술피리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무늬를 만들어낸다. 빛이 어떻게 반사되기에 아름다운 무늬를 만들어 내는 것일까?1세기경 알렉산드리아의 수학자 헤론은 빛은 최적의 경로를 찾아 가장 짧은 길로 이동한다고 주장했다. 자연은 늘 빠르고 효율적인 방향으로 움직이려 하기 때문에 빛도 가장 짧은 길을 따라 이동한다고 생각했던 ... ...
- [수학동아클리닉] 큰 수 만들기 대회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여러 번 곱할 때, 곱하는 횟수를 이용해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5를 두 번, 세 번, 네번, … 곱한 것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5×5=52, 5×5×5=53, 5×5×5×5=54, … 이때, 52, 53, 54, … 을 통틀어 5의 거듭제곱이라고 하며 곱해지는 수 5를 거듭제곱의 밑, 곱하는 횟수 2, 3, 4, … 를 거듭제곱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거대마젤란망원경(GMT)이 완성되면 관측천문학이 또 한번 도약할 것”이라며 “지금까지 세운 AGN 관련 가설을 대폭 수정하게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별의 요람, 은하의 파괴자 활동성 은하핵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Part 2. 무수한 기체 ... ...
이전2292302312322332342352362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