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질환
단지
재앙
우환
병환
항아리
d라이브러리
"
병
"(으)로 총 2,358건 검색되었습니다.
콩나물의 식품공해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되고 재배공장 전체를 소독해야 한다.그래서 썩은 것을 예방하고 일부가 썩더라도 그
병
이 더 번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부패 방지약(방부제)이 쓰인 지가 오래 된다. 이것은 한편에서 농약이 여러모로 발달한 것과 때를 같이 한다. 아무리 콩나물이 썩는 것을 방지하고 싶어도 적당한 농약이 개발되어 ... ...
적당한 운동, 25-45년의 회춘효과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미국의 생물학자, 화학자들이 뉴욕에 모여 최후의
병
(죽음)에 이르는 기간을 연장할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토론했다.이 회의에서 대부분의 학자들은 노쇠는 면역계통이나 호르몬계통의 누적되는 손상으로 생기는것이라고 말하고 구체적으로 세포나 분자의 활성(活性)을 통해 ... ...
의약품에서의 미생물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페니실린에서 보듯 미생물은 인류보건에 큰 공헌을 했다. 유전공학과 함께 미생물의 역할은 더욱 비약할 것이다.의약품 생산고의 20%가 항생 ... 것이다.앞으로 십여년이 지나면, 무서운 암을 위시하여 인류의 생명을 앗아가는 여러
병
이 미생물의 도움으로 거의 다 치료될 수 있게 될 것이다 ... ...
NMR로 식물을 진단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그룹은 뿌리의 수소원자가 움직이는 상태를 관찰하여 뿌리조직 속의 수분의 흐름이나
병
의 경과, 종자의 성장 과정을 조사하고 있다. 이 스캐너는 식물에 손상을 주지 않기 때문에 필요한 만큼 계속하여 조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NMR 스캐너를 자연상태의 식물뿌리 조직을 분석하는데 응용한 ... ...
항생제의 과다사용이 가져온 것 갓난아기 수난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실제 인도네시아에서 아기들이 많이 당하고 있다. 이 나라에서는 장티브스나 기타 설사
병
의 1차 치료로 값싼 '클로르앰페니콜' 이라는 항생제를 많이 쓰고 있는데 이미 환자의 3분의 1가량이 내성을 보여 치료가 어렵게 돼가고 있다. 내성 박테리아 피하는 길 학자들은 내성을 가진 박테리아를 ... ...
방사능, 아무리 적은 양도 안전하지 않다.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임신 후 처음 석달 동안 X선 사진을 찍은 여성이 낳은 아이가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백혈
병
이 걸릴 확률이 두 배라고 보고하고 있다. X선을 지금 보다 조심스럽게 쓴다면 이 귀중한 진단도구의 혜택을 잃지 않고도 방사선에의 노출을 줄일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보건물리학 창시자의 한사람인 '칼 ... ...
비상걸린 청소년의 정신질환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억압에 대한 비정상적인 생화학적 반응들이 시상하부를 통해 결과적으로 이러한 질
병
증세를 가진 사람들에게서 우리가 발견하는 다양한 생화학적·행태적 변화를 야기한다고 말해주고 있읍니다." 프레드릭 굳윈의 말이다. 동물의 경우 억압에 대한 반응으로 시상하부에서 생성되는 호르몬들이 ... ...
뉴튼, 다윈이후의 영국의 현대 과학자 5인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학자들이 그를 처음 보는 그 순간부터 이
병
에 걸렸다는 재미있는 이야기도 있다. 모트
병
환자는 이 세상에 무척 많은가 보다. 노벨상의 보고-케임브리지의 카벤디시연구소 영국이 자랑하는 이론물리학의 수퍼두뇌 센터, 케임브리지 '카벤디시' 연구소. 여기에는 과학자의 이름을 붙인 건물이 세 개 ... ...
종양수술의 새로운 가능성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아니라 그 이상의 서광도 보여준다. 이러한 개가가 알려지자 '카롤린스카'
병
원의 부인 암
병
리학 과장 '페터손'은 가망이 없는 6명의 환자를 보내 대부분의 경우 종양의 퇴치를 보았다. 다른 암전문의 2명도 그들의 환자를 의뢰하여 효과를 본 후 '소수의 신봉자'가 되었다. 하지만 그들은 이 요법이 ... ...
수확량, 품질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적의 새농법 눈앞에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돌연변이 육종방식으로 개발해낸 게 바로 안산깨다. 안산깨는 참깨육종역사상 최초의 내
병
성품종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 안산깨에는 불포화지방산인 리놀산이 46.9%로 많이 함유돼 있어 좋은 기름을 만들 수 있다고 한다. 깨의 빛깔이 백색이어서 시장성이 좋은 것도 또다른 장점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