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체도형 종합선물세트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있는지 쌓기나무의 개수를 세어 봅니다. 그리고 다음에 주어진 활동을 합니다. 그러면
반대
경우를 미리 생각해 보았기 때문에 쉽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 쌓기나무의 수를 하나씩 늘려가면서 어떤 모양이 될지 생각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중학교 수학 1학년 비유와 상징 253쪽 중학교 1학년이 ... ...
인간 심판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센서는 무겁고 정교해 충격을 많이 받는 축구공에 맞지 않다.
반대
로 축구공에 쓸 수 있을 정도로 작고 가벼운 센서로는 정밀한 측정이 어렵다. 필요에 따라 장소를 옮길 수 있는 호크아이 시스템과 달리 경기장마다 지하에 전선을 깔아야 한다는 점도 부담스럽다.장점 영상으로 ... ...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잃어버린 사람이 부지기수일 정도다. 하지만 통돌이는 다르다. 통신만 유지되면 지구
반대
편에 있어도 조종이 가능하다. GPS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데다 무선 송수신 장비를 이용하면 컴퓨터 앞에서 게임용 콘트롤러(조이스틱)로도 조종할 수 있기 때문이다.더구나 통돌이는 비디오카메라가 달려 ... ...
불멸의 책 남긴 역사 속 과학자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알 것이다”라는 실언을 했기 때문이다. 다윈이 너무 말을 아껴서 문제였다면 왓슨은 그
반대
였던 셈이다.왓슨은 ‘이중나선’을 쓸 때부터 솔직한 독설로 유명했다. 그는 이 책에서 자신이 연구한 DNA 구조에 대한 내용 외에도, DNA 구조를 밝히려는 과학자들의 노력을 회고했다. 그 과정에서 X선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수문 하나의 폭이 30m에 불과하다. 이렇게 큰 수문이 강 곳곳에 설치되다 보니 사업에
반대
하는 학자들로부터 운하의 전 단계가 아니냐는 의심을 받기도 한다. 40m면 한강 대형 유람선의 15배 무게인 5000t짜리 배가 지나다닐 수도 있는 폭이기 때문이다.우리가 서 있던 도남서원이 있는 강의 서쪽은 흙만 ... ...
수학 퍼즐에 빠진 철학자, 마틴 가드너의 삶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대표주자였다. 카르납 교수 덕분이었을까. 이때부터 가드너는 근거가 희박한 유사과학을
반대
하는 자세를 취하게 된다. 또 수학과 결합한 철학에 집중했으며 과학 전반에 관심을 갖게 됐다.1년간 대학원을 다닌 가드너는 프리랜서 작가 활동을 시작한다. 여러 잡지에 글을 기고하던 그는 미국의 유명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한다는 점. 범위가 너무 방대한 경우에는 실험할 내용이 너무 많아서 시간이 오래 걸고,
반대
로 주제가 너무 간단한 경우에는 심도 있는 연구를 할 수 없다. 주제를 정할 때는 선생님이나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시간 계획과 팀 구성이 중요 연구 활동 자체는 생각보다 어렵지 ... ...
국내 과학글쓰기의 현주소를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시선으로 사회적 이슈에 질문을 던지는 글입니다. 사회적 이슈가 있을 때 찬성과
반대
양쪽에서 객관적으로 과학적 사실을 전달할 수 있는 건 오직 이공계인들뿐입니다.”김 교수는 과학글쓰기가 자칫 과학의 신기한 내용을 홍보하는 글로 흘러갈 수 있다고 염려하며 이 같이 말했다.여기에 대해 ... ...
우주범선, 여름 밤하늘을 항해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이카로스(IKAROS)가 실렸다. 이카로스는 발사 6개월 뒤에 금성에 도달하고 3년 후엔 태양의
반대
편을 탐사하는 임무를 띠고 있다. 이카로스에는 마름모꼴 형태의 태양돛이 달려 있는데, 대각선 길이가 약 20m인 반면 태양돛을 이루는 막의 두께는 불과 0.0075mm로 사람 머리카락 두께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분명히 대응해야 한다”며 “진화론의 사회적 영향과 확산에 대해서는 기독교가 명확히
반대
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종의 기원’ 발표 이후 10년 만에 진화론이 과학계의 인정을 받자, 천주교는 아예 진화론의 존재 자체를 무시해왔다. 거론할 가치조차 없다는 것이 천주교의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