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d라이브러리
"
구멍
"(으)로 총 2,357건 검색되었습니다.
백두산-동북아 최상의 새들의 낙원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띄나 40~50마리의 큰 무리도 있다. 5월 초순에서 하순에 걸쳐 지상 10~15m 높이의 자연 나무
구멍
에 번식하는데, 알은 5월 초순, 한배에 7~12개의 알을 낳는다. 포란은 암컷이 전담한다. □검독수리 해발 8백~1천8백m의 고산산림에서 5~7월에 번식하는 텃새이나 매우 희귀한 종이다. 여름에는 멧토끼 산새 및 ... ...
「하드록 디스킷」개발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개발돼 연간 20억원의 수입대체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이 디스킷은 레이저로
구멍
을 뚫는 등 물리적처리를 통해 복제를 방지하는 수입 제품과는 달리 소프트웨어 기술만을 이용, 국내 기술진에 의해 개발된 것. 즉 특수 복제방지 알고리즘을 사용해 하드디스크는 장당 1백개, 플로피디스크 1장에 1 ... ...
체르노빌 원전사고의 진상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건설하고 있다. 현재 키에프시의 제빵공장과 우유공장들은 최근에 새로 지하 깊이 뚫은
구멍
에서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다. 체르노빌 철거민들은 계속 치밀한 검진을 받고 있다. 이들은 암과 그밖의 방사능질환의 징후를 찾기 위해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고 있다. 또 로에서 1백마일 이내를 여행하는 ... ...
물속 물질의 원자구조 최초로 사진 찍어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사진에서보듯 잔잔한 파도처럼 보이는것이 젖은 흑연의 표면에 있는 원자의 외형이다. 이것은 물속에 있는 물질의 원자구조를 사진에 나타난 최초 ... 성공으로 학자들은 앞으로 생물학자들이 살아있는 세포의 막에있는 수용체(리셉터)와
구멍
(채널, 孔)을 볼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국토개발과 자연보존이 조화이루어야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똥풍뎅이를 취급하고 있읍니다. 벌은 맵시벌·꽃벌 등은 연구되고 있지만 그밖의
구멍
벌이니 말벌 잎벌 등은 손을 못대고 있는 실정입니다. 잠자리도 일본인이 손을 댔지 우리는 별로 한 것이 없고 파리류도 쉬파리 등 몇종류를 제외하곤 방치상태이며, 노린재 매미 진딧물은 많이 밝혀진 셈이지요. ... ...
빛은 파동인 동시에 입자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廻折現象)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볼펜 뚜껑 같은데 작은 바늘
구멍
을 뚫고 들여다 보면 회절무늬를 볼 수 있다. 광전효과가 일으킨 파문 19세기에 이르러서 빛은 사실상 파동이라고 알려져 있다. 왜냐 하면 빛은 파동의 특성인 간섭무늬와 회절무늬를 만들고 있었다.지난번에 ... ...
대기권이 파괴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것은 남극지역의 특이한 기상학적·공기화학적 관계에 기인할 것이다.이 성층권 오존
구멍
은 해마다 새로 생긴다. 그리고 그것은 매년 약 4%씩 더 깊고 넓어지고 있다.사건의 무대인 성층권을 떠나서 아랫쪽의 11km 공기층인 대류권으로 내려가 보자. 이 층은 지구 오존총량의 10%를 함유하고 있다. ... ...
석회동굴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스폰지워크는 벌집지형이라고 불리우는데 동굴의 천정부 또는 벽면에서 보는 작은
구멍
들이다. 모암을 벌레가 먹은듯이 연결되게 용식한 경우가 많다.또한 록스판이란 지형도 역시 단양의 고수굴속에서 볼 수 있는 지형물이다. 그 모양에 따라 달리 불리우고 있으나 벽면을 이루고 있는 형태로 ... ...
화학물질의 중독, 폭발사고의 예방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그런데 간단한것처럼 보이는 이 환기장치도 실상 설계가 매우어렵다. 쉽게말해 환기
구멍
이 너무 커도 효과가 없고 너무작아도 효과가 없는 것이다. 적정규모의 환기장치를 하는 것은 누출개스의 양과 질 그리고 공장이나 일반건물의 구조와 긴밀히 관련된다. 현재 개스사고의 위험이 있는곳에서 ... ...
바다의 탄생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초속 10㎞를 훨씬넘는 맹스피드로 지구의 대기권에 돌입, 순간적이긴 하나 대기에
구멍
을 뚫고 충돌할 때의 에너지는 열이 되어 대량의 수증기를 증발시켰다. 증발된 증기는 열파동이 되어 눈깜짝할 사이에 성층권 상부에 도달하여 지구를 감쌌다. 운석자체는 산산조각이나 먼지가 되어 이 또한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