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2,90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 '뉴턴사과' 지구중심낙하 정설 아니다
과학동아
l
199405
대체로 본 지표의 자전 속도는 약 3백m/s에 이른다. 다만 지표상에 있는 집 나무
땅
더구나 대기까지도 지표와 같은 속도로 자전하고 있기 때문에 지표에 붙어사는 사람은 이를 느끼지 못할 뿐이다.결국 지구의 이러한 운동으로 지표상에 있는 모든 물체는 빠른 속도로 원운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 ...
인간은 수명 결정하는 유전자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404
발견과 유사한 연구성과가 미국의 토마스 존슨으로부터 나왔다. 마흔살되는 1988년에
땅
속에 사는 작은 벌레의 유전자를 변화시켜 평균수명이 70% 가량 증가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놀랍게도 이 벌레 역시 산화방지 효소를 다른 벌레보다 더 많이 생산하고 있었다. 존슨은 그가 변화시킨 유전자를 ... ...
생물- 지표종 이용, 환경오염 정도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04
2급수 정도에서도 잘사는 것으로는 붕어 잉어 종류가 있다. 수수미꾸라지 개미꾸라지 등
땅
속에 파고드는 종류들은 오염이 심해져도 그런대로 견딘다. 하지만 지금은 이들도 못살겠다고 아우성이다. 공장폐수로 인한 중금속류 퇴적 때문에 3급수 이하에서는 거의 전멸하고 만다.물의 오염도 ... ...
한반도에서 시조새 화석 발견됐다
과학동아
l
199404
예리한 발톱이 있고 또 날 수 있는 조건이 지어지지 못한 것으로 보아 이 시조새는
땅
에서 나무나 곤충으로 날아오르지 못하고 날개끝에 붙어 있는 예리한 발톱을 가지고 나무에 기어 올랐으며 나무 위에서 날개깃을 가지고 활공비행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조선 시조새 화석이 발견된 지층 ... ...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
과학동아
l
199404
가장 큰 물체는 무엇일까? 바위, 63빌딩…. 아마도 우리가 인식하지 못할 뿐이지 주저앉아
땅
을 만지는 사람은 가장 큰 물체를 만지고 있는 것이 된다. 그러면 지구는 과연 얼마나 클까?지구의 모양에 대한 고대인의 생각은 대체로 평평하다고 생각한 지구와 구형이라고 생각한 지구로 요약될 수 있다. ... ...
43만 가구 일시에 정전시킨 '섬락현상'
과학동아
l
199403
이번에 정전 사태가 없었다.이번의 광역정전사고에 대해 전기 전문가들은 전력선을 아예
땅
에 묻거나 염해에 견디는 특수 애자를 개발하는 일 등 대책이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미구에 닥칠 중국산 '산성 눈보라' '공해 눈보라' 등에도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덧붙인다 ... ...
2. 현대 로켓의 시조 V-2와 그 후예들
과학동아
l
199403
m를 상승하여 가로 세로 1.6cm짜리 필름이 든 카메라로 사진을 찍고 낙하산을 이용, 사뿐히
땅
에 내려왔다.로켓의 아버지 고다드고다드 박사에게 '로켓의 아버지'라는 별명이 생긴 것은 그가 액체 추진제 로켓을 연구하여 많은 성과를 거두었고, 또 그의 연구가 미국의 우주 개발에 많은 도움을 주었기 ... ...
새벽 동쪽 하늘의 수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199403
국자 모양의 북두칠성이 완전히 엎어진 모습을 하고 있어 국자안의 내용물이 모두
땅
으로 쏟아질 것만 같은 느낌이다. 이 국자의 손잡이가 만드는 곡선을 따라 동쪽으로 이동하면 밝은 1등성 하나가 보인다. 목동자리의 알파성인 아크투루스다. 이 곡선을 계속 연장하면 처녀자리의 알파성 스키파를 ... ...
PART.2 학습·오락용 특선 21
과학동아
l
199403
밭을 갈고 씨를 뿌려 농작물을 수확해야 하며 이 농작물을 팔거나 은행에서 융자를 받아
땅
을 넓혀 젖소를 비롯한 말 돼지 등의 가축을 기른다. 물론 가뭄 등 천재지변이나 해충에 대비해야 하며 살충제나 화학비료 대신 냄새가 없는 전자비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장르 : 시뮬레이션● 가격 : 2만 ... ...
나쁜것, 좋은것, 혹은 양쪽 모두?
과학동아
l
199403
옮겨 살 수 있을까? 비밀은 수가 많고 끈질기며 추위에 잘 견디는 칡의 뿌리에 있다.
땅
위의 부분이 추위나 사람들의 제초 작업으로 잘려죽더라도 뿌리는 봄에 새싹을 틔울 수 있다. 또한 이 식물은 하루에 1피트(약 30cm)씩 자라는 덩굴을 뻗어 어디에든 닿을 수 있다. 덩굴은 마디를 가지고 있고 각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