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능력
역량
권력
정력
에너지
기력
뉴스
"
힘
"(으)로 총 4,16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에 이로운 단백질공장을 만들다…효소·항체설계자 3인에 노벨화학상(재종합)
2018.10.03
짧은 시간에 인간에게 필요한 기능을 가진 효소나 항체를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진화의
힘
'을 인간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놀드 교수는 원하는 성질을 갖는 효소를 만드는 ‘유도 진화’라는 개념을 창안했다. 원래 진화는 자연에 존재하는 개념으로, ... ...
생명진화의
힘
을 유용한 도구로…美英과학자 3인 노벨화학상 수상(종합)
2018.10.03
아놀드·조지 스미스·그레고리 윈터- 노벨위원회 올해 노벨 화학상은 생명 진화의
힘
을 인간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길을 연 미국과 영국의 과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화학상 선정위원회는 3일 프랜시스 아놀드(62)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교수, 조지 스미스(77) 미국 ... ...
"빛을 도구로 쓰는 인류의 탄생”…노벨물리학상 발표현장 이모저모
과학동아
l
2018.10.03
에너지를 키운다음, 다시 짧은 펄스로 압축시킨다. 그러면 펄스의 길이는 짧지만 그
힘
이 훨씬 더 강해진 레이저를 얻을 수 있다. 이 기술이 등장한 이후 레이저의 강도는 다시 4~5년마다 두 배 이상씩 증가하고 있다." "이 기술은 정말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기 시작했다. 기초 연구와 응용 연구, ... ...
‘레이저 정밀기기 산파’ 노벨 물리학상, 3명 공동수상… 55년만에 여성도 영예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레이저 빛의 초점이 맺히는 지점에 물체를 가두는 기술로 물체를 움직이는 빛의 방사선
힘
을 이용한다. 애슈킨 연구원은 1987년 레이저 빛을 이용해 살아 있는 박테리아를 손상시키지 않고 붙잡는 데 처음 성공한 이래 이를 응용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를 이끌었다. 광학 집게는 나노 기계는 물론이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천 년 가까운 시간이 흐르겠지만) 애완동물은 될 수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힘
이 사람보다 서너 배 더 세고 머리가 워낙 좋아 개처럼 자유롭게 놔둬서는 사람이 제압당하기 십상일 것이다. 반면 소형 유인원인 긴팔원숭이는 과거 애완동물로 키웠다는 역사도 있지만 여기에 50세대 선별까지 ... ...
혼조 교수“'당신 덕분에'들었을 때가 행복…내 연구 지금부터가 시작”
과학동아
l
2018.10.02
것이라고 믿는다”면서 “이 치료법이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올라가려면 더 많은 사람의
힘
이 필요하며, 지금은 그 시작일 뿐”이라고 말했다. 노벨위원회 제공 ... ...
적 위성 요격하고 1시간만에 지구 반대편 폭격하는 '우주전' 현실로
과학동아
l
2018.10.01
개발했다. 문제는 우주공간에는 공기가 없다는 점이다. 공기를 압축해 배출하는
힘
을 이용하는 제트엔진으로는 우주를 비행할 수 없다는 뜻이다. 변 교수는 “우주공간으로 나가는 로켓은 연료와 산화제를 모두 싣고 로켓엔진을 사용한다”며 “우주와 지상에서 비행 가능하려면 터보제트엔진과 ... ...
면역기능의 브레이크를 풀다…항암치료 길 연 美日 과학자 노벨의학상 수상(종합)
2018.10.01
높인다는 점에서 기존 치료법과 구별된다. 이 때 특이한 것은 직접 면역세포(경찰)의
힘
을 강화하지 않고, 암세포(범인)가 가진 독특한 ‘경찰 회피 능력’을 억제한다는 데에 발상의 전환이 있다. 범인인 암세포에게는 경찰의 눈을 속이고 숨바꼭질을 할 수 있는 비장의 기술(면역관문)이 있는데, ... ...
새 모이를 훔쳐 먹는 곰
팝뉴스
l
2018.09.29
모습이 한 마리의 돼지를 연상하게 한다고 말하는 네티즌도 있다. 물론 실제로는 곰은
힘
도 세고 포악하다. 길들여진 곰도 그럴텐데 사진 속 야생 곰이야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그런데 뒷마당에 곰이 찾아온다면 입지가 좋은 집일까 아니면 최악의 집일까. 저런 집에 살기 무섭겠다고 말하는 ... ...
"땡큐 슈퍼맨~"…하반신 마비 환자들"두 발로 다시 걷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8
전문가들은 전기자극을 뇌신경신호와 동기화하는 방법을 찾아낸다면 보다 더 큰
힘
으로 다리 근육을 움직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연구는 하반신 마비 환자였던 영화 슈퍼맨 주인공을 맡았던 미국 영화배우 고(故) 크리스토퍼 리브가 만든 자선 재단의 후원을 받았다. 이 재단은 수년간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