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9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초파리 뇌 속 깊은 곳까지 분자 단위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전체를 분자까지 비교할 수 있도록 3차원 이미지로 영상화하는 데 성공했다. 크기가 수
나노
미터(㎚)에 불과한 분자의 모습을 고속으로 포착하는 기술은 이전에는 없던 것이다. 다양한 현미경 기술이 활용돼 왔지만 각자 단점이 뚜렷했다. 전자 현미경(EM)은 ㎚ 해상도를 갖지만 단백질 종류를 ... ...
울산과기원, 입자 고르고 균열한 '그래핀 양자점' 개발
2019.01.17
본연의 전기적·광학적 특성을 나타내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신 교수팀은 백금
나노
입자가 배열된 실리카(SiO₂) 기판 위에 육방정계 질화붕소를 올린 뒤, 메탄(CH₄) 기체 속에서 열처리하는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육방정계 질화붕소 단일층 내부에 그래핀 양자점이 형성된 2차원 평면 ... ...
UNIST, 접는 천연색 발광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선명한 색을 구현하는 광학재료인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로 유연성이 뛰어난 발광소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천연색 화면을 보여주는 디스플레 ... 적용해 PeLED의 안정성과 성능을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들 연구는 국제학술지 ‘
나노
레터스’ 15일자에 발표되기도 했다 ... ...
세포 내로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생체분자
나노
구조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DNA와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세포 내로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새로운
나노
구조체를 개발했다”며 “세포 내 단백질 치료제의 전달 뿐 아니라 동반 진단용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국내
나노
학술지 ‘
나노
컨버전스’ SCIE 등재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나노
컨버전스 표지 - 사진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내에서 발간되는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가 과학기술 분야의 대표적인 인용 색인 데이터베이스인 ... 수 있는 기회가 열렸다”며 “앞으로도 연구자 중심의 편리한 연구 환경을 조성해
나노
연구역량 강화를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 ...
암세포에만 달라붙는 물질로 항암제 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5
쥐에게 투입해 기존에 보고된 암 표적 물질보다 약 3배 이상의 전달률을 보이는
나노
구조체 3종을 발굴하는 데 성공했다. 발굴된 구조체에 항암제를 탑재해 암 질환 쥐 모델에 주입하자 다른 장기에는 손상을 주지 않고 암 조직에만 선택적으로 약물이 도달하는 항암 효능을 보였다. 안 ... ...
쥐가 움직일 때 변화하는 뇌 신경세포 관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과정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 두꺼운 생체 조직 내에서도 수
나노
미터(nm, 10억분의 1m) 크기의 변화까지도 정밀하게 볼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small GTPase 활성을 관찰하기 위해서 ‘형광공명에너지전달(FRET)’이라는 방식을 이용했다. 이는 2가지 ... ...
미세플라스틱 몸속 들어오면 세포 꼼짝 못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제브라피시 배아에 흡수된 미세플라스틱의 분포. 영양을 공급하는 난황을 비롯해 척수 등 주요 신경과 기관에 퍼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 있는 연구와 실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나노
스케일’ 지난해 12월 1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DNA 종이접기'로 누구나 쉽게
나노
구조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9
수 있다”며 “생체 내에서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약물전달과 바이오센서,
나노
로봇 같은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신성철 총장 美 노스웨스턴대 '올해의 자랑스러운 동문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1.09
1989년부터 KAIST 교수로 자리를 옮긴 신 총장은
나노
자성체 스핀 동력학을 연구하는 ‘
나노
스핀닉스’ 분야를 개척했고, 20여 년간 300여 편의 관련 논문을 발표하고 37건의 국내외 특허를 등록·출원했다. 이 같은 공로로 신 총장은 2008년에 자성학 분야 한국 과학자로서는 최초로 미국 물리학회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