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체화
체현
실현
형상화
구상
인격화
전형
뉴스
"
구현
"(으)로 총 3,04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빠른 DB” 볼트DB 한국 상륙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8.06.15
일어날 때마다 100여개의 쿼리를 날려야 하기 때문에 기존 RDB로는 이와같은 시스템을
구현
하기에는 성능 문제가 있다고 한다. 볼트DB 한국사무소 김재천 이사는 “일반적인 DB는 트랜잭선 하나가 발생할 때 0.05초 안에 응답을 준다고 한다고 하는데, 트랜잭션이 초당 10만, 100만 건이 일어나면 얘기가 ... ...
공간 일부만 보고 전체 모습 유추하는 AI… 2D 장면 몇 개로 3D 영상 만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6.15
D 구조 파악 볼 수 없었던 뒷모습까지 이미지로 생성 모든 각도에서 본 장면 영상으로
구현
마치 그림 속 동물이 3D로 눈앞에 나타나는 것과 같다. - 구글 딥마인드 사람은 다양한 각도에서 사물을 보고 이를 종합해 사물의 3차원(3D) 형태를 인지한다. 경험이 쌓이면 이리저리 돌려 보지 않고도 ... ...
음파 그대로 통과… ‘3D 음향투명망토’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연구진은 지난해 2차원 구조의 음향투명망토를 개발한 데 이어 이번에 3차원(3D) 구조로
구현
하는 데 성공했다. 3D 음향투명망토는 사면체 8개를 이어 붙인 팔각뿔 형태다. 너비는 1m, 높이는 0.6m 규모다. 각각의 사면체 하나당 92개의 직사각형 철 조각이 격자를 이루며 층층이 쌓인 형태다. 전체는 ... ...
‘액션코딩 아이팝콘’ 학교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1
이곳에서 교사의 지도 하에 자유롭게 재료를 이용하며 자신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구현
할 수 있다. ‘메이커 교육’의 저자이기도 한 황중원 교사는 “메이커 교육은 학생들이 좋아하는 만들기 과정을 통해 각종 도구와 친해지고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 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 능력을 ... ...
현대과학이 ‘프랑켄슈타인’ 다시 만든다면… 꽃미남?
동아사이언스
l
2018.06.01
말했다. 올해 1월 ‘사이언스’는 프랑켄슈타인 특집기사를 통해 21세기 과학을 통해
구현
할 수 있는 인체 대체 기술을 네 가지 유형으로 정리했다. △인공 심장 등 기계 장기 △다른 동물의 장기를 인체에 이식하는 바이오 장기 △세포를 이용해 실험실에서 키운 미니 장기(오가노이드) △인공 팔, ... ...
문어처럼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 전자피부로 제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31
서울대 연구진, 전자피부 이용한 소프트로봇 제어 실현 이해를 돕기 위해 연구진이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든 이미지. 사람의 손 모양으로 만 ...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 5월 30일자로 게재됐다. 전자피부로
구현
되는 소프트 로봇의 다양한 움직임. 서울대 공대 제공 ... ...
광합성하고 대사 활동하는 인공 세포 만들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한미 공동 연구진이 식물처럼 스스로 빛을 이용해 에너지를 내고 대사 활동을 하는 인공세포를 만들었다. 복잡한 세포의 작동을 가장 가깝게 모사 ... 있다. 신 교수는 “기능이 저하된 세포를 대체하거나 나아가 인공 장기나 인공 조직을
구현
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DGIST, 1000배 빠른 빅데이터처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5.28
처리 기술이다. 무수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해 빠르게 학습해야 보다 완벽한 AI를
구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GIB 제공 최근 국내 연구팀이 기존의 빅데이터를1000배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김민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팀은 28일 빅데이터 패턴을 ... ...
살아있는 생물에서 양자효과 첫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8.05.22
내에서 양자적 특성이 관측된 바 없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양자 현상을 첨단기술로
구현
하게 된 뒤부터 생물체 내에서도 무생물에서처럼 양자적 현상이 똑같이 발생하는지 논쟁이 이어졌다. 관건은 생물체 내 양자들이 서로 같은 상태를 공유하는 양자 중첩 특성을 보이느냐는 것이었다. ... ...
미래 건 양자컴퓨터 5파전..."양자 통제 기술과 소재가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8.05.11
중이다. 정 박사는 “작년 말에는 IBM이 50개 큐비트를, 올해 3월에는 구글이 72개 큐비트를
구현
했다고 발표했다”며 “아직 논문 등으로 증명은 되지 않았지만, 열심히 연구 중인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 인텔이 공개한 49큐비트 양자컴퓨터 칩. 아직 성능이 논문 등으로 공개되지는 않았다.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