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아리탐방] 수학으로 메이크 잇! 대전대신고 FINDER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말했다. ‘수학은 가르치는 데 방향이 없다’고 생각하는 2학년 김민재 학생은 “수학에 필요한 직관력은 나이와 상관없고, 사람마다 문제를 푸는 방법도 다르다”며, “선배들이 후배들의 아이디어를 경청해줘서 열심히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FINDER 학생들은 스스로 생각해서 자유롭게 만들고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수학에 구멍이 났다면?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단원까지 다 공부하려고 하다가 포기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단원 별로 쪼개서 지금 당장 필요한 내용을 사전에서 찾아본다는 마음으로 접근하면 가벼운 마음으로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EBS Math 적극 활용하기!만약 혼자서 공부하기가 버겁다면 ‘EBS Math(ebsmath.co.kr)’를 이용해 보세요. EBS ...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기술적으로 어려운 과정은 아니다. 다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북한과의 공동연구가 필요하다.현재 연구를 위해 백두산에 가려면 북한이나 중국을 거쳐야 한다. 백두산이 국경 지역에 있는 데다가 정치외교적인 상황이 겹쳐 지금은 어느 쪽으로도 허가가 나지 않고 있다. 백두산 남북공동연구는 ... ...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당장은 쓰임새가 없어 보여도 한 발짝 물러서서 보면 더 나은 사회로 만드는 데 꼭 필요합니다.특히 기초과학 분야는 바로 쓰이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언젠가는 사회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습니다. 가령 기초 연구가 치료제 개발로 이어지는 것처럼 말이죠. 물론 예상은 잘 안됩니다. 하지만 ... ...
- 적군 감시하는 렌즈 공학자 "물리의 매력에 빠진 중학생이었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같은 군수품에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같은 고민 나눌 수 있는 선의의 경쟁자 필요김 수석연구원의 이력은 독특하다. 군 복무가 의무가 아닌 여성이고, 군대라는 집단과 별 인연이 있는 것도 아닌데, 19년 간 방산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중학교 때부터 수학과 ... ...
- [스쿨리포트A+] 이론 실습 연계 보고서 - 멘델의 유전법과학동아 l2020년 01호
- 3학년 때 처음 나오는 유전의 기본 원리는 경우의 수, 확률, 통계와 같은 수학적 사고가 필요해 많은 학생이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래서 중학교 3학년 과학과 고등학교 2학년 생명과학Ⅰ 교과서에서는 유전학적으로 외계인을 구성해보는 유전 현상 모의 활동을 통해 학습의 이해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 ...
- [진로체험] 박영용 씨젠생명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전공자가 화학이나 생명과학 전공자의 일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에요. 의사소통에 필요한 수준의 지식은 회사에 와서 배워도 충분합니다. 어떻게 생명과학 분야에서 일하게 됐나요?처음부터 이 분야로 오려고 계획했던 것은 아니었어요. 고등학교 때 수학을 가장 잘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 ...
- 빵빵! 찍찍이 운전기사 나가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운전대 역할을 하는 3개의 구리선을 설치했어요. 하지만 쥐의 마음을 움직이려면 보상이 필요했지요. 그래서 연구팀은 쥐가 차를 이동시키면 시리얼을 주며 운전 거리를 점차 늘렸어요. 훈련 결과, 쥐는 먼 거리에 있는 시리얼을 향해서 정확하게 차를 몰았고, 좌우 방향을 바꾸는 데에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탱글탱글 톡톡! 먹는 물병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상황에 대비해서 의료품을 전부 다 가지고 갈 수 없다”며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필요에 따라서 인간의 장기를 출력하면 응급 상황에도 대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의견을 밝혔답니다. 어떻게 된 걸까?☞ 결과 : 말랑말랑, 맛있는 물방울 젤리가 완성! 한천은 이름이 조금 생소해도 ... ...
- [가상인터뷰] 대왕고래는 심박수를 마음대로 조절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뒀다가 필요한 장기에 조금씩 보낼 수 있지. 그러면 심박수가 변해. 이를 통해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거야. 잠수할 때는 심박수를 1분에 2회까지 줄여 에너지를 최대한 적게 써. 크릴새우를 먹고 소화할 때는 에너지를 많이 쓰기 때문에 심박수가 분당 8회로 늘어났지. ... ...
이전2282292302312322332342352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