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첨예
급진
선구
끄트머리
앞장
엉덩이
d라이브러리
"
첨단
"(으)로 총 2,80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대국」 일본을 추월하려면 컴퓨터문맹 퇴치가 시발점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오늘날 세계에서 뛰어난 힘과 부를 누리는 미국과 일본이 반도체 컴퓨터 통신과 같은
첨단
전자기술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수준인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한국도 미래에 강하고 부유한 나라가 되려면 이 시대의 핵심기술인 반도체 컴퓨터 통신기술에서 세계적인 수준이 되어야 함은 의문의 여지가 ... ...
해저광케이블을 이용한
첨단
통신서비스 개시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Korea)해저광케이블이 개통됨에 따라 국제통신능력이 증가돼, 한국전기통신공사에서는 최
첨단
고부가가치 통신서비스를 실시하기로 했다. 한미 양국간의 고속 고품질의 통화가 가능한 아쿠넷서비스를 국내 고객들에게 제공키로 한 것.AT&T가 해저 광케이블을 바탕으로 음성과 비음성정보를 제공하는 ... ...
히다치, 64메가D램 발표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기억시킬 수 있다. 즉 9.74×20.28mm의 반도체칩속에 한글 4백만자를 기억시킬 수 있는 최
첨단
기술.80년대초 대형컴퓨터의 주기억용량이 64M바이트였으므로 10전전의 대형 컴퓨터가 64메가 D램이 실용화되면 노트 크기로 축소된다. 3년마다 집적도가 4배이상 상승되고 있는 D램의 개발은 일본업체들이 ... ...
서해안은 자원의 보물창고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실정이어서 그 가치는 점차 증대되고 있다. 특히 모래 속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규사는
첨단
소재인 금속 실리콘원료로서 그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금속 실리콘으로부터 결정·단결정 실리콘을 제조하여 반도체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각국의 골재자원 사용량을 보면 미국이 197 ... ...
NASA 우주탐사기 발사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추적할 수 있는 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확산적외방사계(Diffuse Infrared Backgound Experiment)라는
첨단
장치가 그것이다. 이 장치는 우주초기에 생성된 원시별과 은하들의 방사선을 탐사할 수 있어 특별한 관심을 끌고 있다.COBE는 도합 2.4mm 굵기에 약 2.8t 무게의 관측장비를 싣고서 지구의 주야경계선 부근, .. ...
PARTⅠ 창의성과 민주적 운영 중시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수 없는 심각한 오류였다.현재 소련에는 퍼스널컴퓨터를 양산할 수 없고, 공장기계용의
첨단
과학장치나 또는 전산화된 제어장비도 물론 없다. 소련 전국의 퍼스널 컴퓨터수는 1989년 현재 약 30만대 밖에 안된다. 소련에서 가장 빠른 컴퓨터는 미국의 크레이사나 일본의 후지쓰사와 같은 메이커들이 ... ...
통신망을 이용한 「컴퓨터과외」도 등장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용 국어 영어 수학 프로그램을 서비스받을 수 있게 만든 것. 지난해 'TV과외'에 이은 '신종
첨단
과외'라 할 만하다.이 컴퓨터과외는 스스로 문제를 풀고 학습능력을 체크할 수 있는 학습정보 △진학과 관련된 각종 입시 정보 △학습 및 진로상담을 할 수 있는 상담시스템 등 세가지로 구성돼 있다 ... ...
KIST 도핑컨트롤 센터장 박종세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현재 워낙 일이 밀려 있어 9월 이후에나 보자고 미뤄놨습니다."-도핑 기술이
첨단
기술 수출의 첨병 역할을 한다고 봐야 되겠군요."도핑컨트롤 기술은 당장 돈이 되는 분야는 아닙니다. 중국이나 소련으로의 기술 이전은 무역이 아니라 국가차원의 공동연구로 봐야 합니다. 이는 어느 나라나 ... ...
기술장벽 뛰어넘는 호기로 삼아야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막상 협력단계에서는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적지않다. 세계 최고의
첨단
기술을 손쉽게 얻을 수 있다고 들떠있기 보다는 대등한 관계에서 협력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차분히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이다 ... ...
Ⅰ 호르몬의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동물실험을 통해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은 초보단계다. 필자는 이러한 시도가
첨단
생명공학의 발전계기를 마련하는 매우 중요한 연구라고 생각한다. 수용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내분비학(호르몬) 연구의 1차목표는 호르몬의 농도측정과 부절절한 호르몬을 적절하게 조절해주는 것이다. 그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