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더 큰 클라우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가능한 멀티 클라우드 기술이 이를 해결해 줄 것”이라고 말했다. 멀티 클라우드는
전
세계 다양한 클라우드 공급자의 서비스를 동시에 쓸 수 있는 기술이다.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각각 가장 적합한 클라우드들을 선택해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다. A라는 클라우드 공급자의 ... ...
[인터뷰] 수학 증명 과정은 롤러코스터 타는 것과 같이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김상현 교수는 미분동형사상군의 특이정칙성을 모든 실수 범위에서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유한생성군을 발견해 위상수학의 난제를 해 ... 사람에게 주는 상이에요. 기초과학, 공학 등에 걸친
전
과학기술 분야에 주는 상이라
전
체 281명의 수상자 가운데 수학자는 10명밖에 되지 않아요 ... ...
[탐험대학]코로나19도 우리를 막을 수 없다! 한여름의 로켓 탐험기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시간 동안 많은 사람과 협력해야만 가능하거든요. 다른 사람과 협력하며 로켓 발사에 도
전
할 준비가 된 청소년 탐험가라면 직접 문제를 정의하고 풀어나가는 과정에서 큰 재미와 보람을 느낄 수 있을 거예요 ... ...
[2교시 실험편] 즐거운 실험시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어디서나 공부할 수 있도록 말이에요.아꿈선 선생님들은 ‘국경 없는 교사회’를 목표로
전
세계에 공부의 즐거움을 선물하고 싶어요. 그래서 작년부터 실험 영상을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으로 번역하고 있답니다 ... ...
[헷갈린 과학] 피칸 vs 호두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0호
현재 미국은 세계 최대 호두 생산지예요.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에서 생산된 호두가
전
세계 호두 공급량의 66%를 차지하지요. 이는 캘리포니아 북부의 토양이 비옥하고 일조량이 풍부한 덕분이랍니다.호두는 불포화지방산이 많아 뇌 발달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100g당 650kcal로 칼로리가 ... ...
[에디터노트] 같은 구름 아래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저장하는지, 어떻게 여러 사람이 접속해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지는 대학에서 공학을
전
공한 사람도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렇습니다. 제 얘깁니다.) 유두호 디자이너는 이런 클라우드 기술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인포그래픽으로 그려냈습니다. 또 일상의 모든 데이터를 보관, ... ...
[한페이지 뉴스] 소행성 베누가 돌조각을 뿌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돌고 있다. doi: 10.1029/2020JE006549돌조각이 발생한 원인을 분석한 논문은 그 보다 한달
전
인 8월 같은 학술지를 통해 발표된 바 있다. 미국 사우스웨스트연구소(SwRI)와 NASA 마샬우주비행센터 등 공동 연구팀은 혜성이 태양에 의해 부서져 생긴 유성체와 베누가 충돌해 베누 표면에서 돌조각이 생성될 수 ... ...
추석 모듬
전
, 고소한 맛의 비결은?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담당했다. 현재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연구관으로 근무하며 일반 대중들에게 과학을 쉽게
전
달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튀김의 발견’ 옮긴 책으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 읽기’가 있다. doowon72@gmail ...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사실이 과학계의 새로운 연구 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앞으로 다양한 DNA 연구를 통해 유
전
자와 세포의 조절 작용을 명확하게 밝힐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김경규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에서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200 ... ...
[나의 미국유학일기] 친해지는 시간이 다를 뿐 영어가
전
부는 아냐~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나뉘어 있었기에 내가 끼어들기가 힘들었다. 3학년은 모두 처음 보는 사람들이고, 예
전
에는 친했던 4학년조차 2년의 공백 때문인지 미묘한 거리감이 느껴졌다. 친한 선배들은 이미 졸업을 한 상태였다. 더군다나 2년 동안 영어를 쓰지 않아 다시 여러 명이 모인 자리에서 말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